요즘 벌은 꽃을 못 찾는다? 이유는… [건강해지구]

이슬비 기자 2024. 2. 13. 16: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염물질이 꽃향기를 분해해 꿀벌이 꽃을 못 찾아가게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에 발표된 연구는 살아남은 꿀벌마저 제대로 활동할 수 없는 환경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변화한 꽃향기가 수분 확률도 줄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미국 시애틀에서 약 280km 떨어진 산쑥 지대 달맞이꽃에서 꽃향기를 차단한 후 곤충 방문을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염물질이 꽃향기를 분해해 꿀벌이 꽃을 못 찾아가게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오염물질이 꽃향기를 분해해 꿀벌이 꽃을 못 찾아가게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꿀벌의 수분 활동은 세계 식량 안보와 직결되는 문제다. 꿀벌의 수분 활동이 줄어들면 전 세계 농업 생산량은 8% 감소하기 때문이다. 주요농작물 수분의 79%를 꿀벌이 담당하고, 나머지 21%만 나비, 새 등이 차지한다. 이미 꿀벌군집의 붕괴 현상은 일어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4월 기준 한국양봉협회 소속 농가 벌통 153만7000여개 가운데 61%인 94만4000여개가 폐사한 것으로 추산됐다. 이번에 발표된 연구는 살아남은 꿀벌마저 제대로 활동할 수 없는 환경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미국 워싱턴대 생물학과 제프 리펠(Jeffrey A Riffell) 교수팀은 이전 연구로 환경 오염물질 '질산염 라디칼'이 꽃향기 화합물인 모노테르펜을 분해하는 것을 확인했다. 라디칼은 다른 물질과 반응하기 쉬운 상태를 말한다. 연구팀은 변화한 꽃향기가 수분 확률도 줄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미국 시애틀에서 약 280km 떨어진 산쑥 지대 달맞이꽃에서 꽃향기를 차단한 후 곤충 방문을 기록했다. 그 결과, 실제로 벌, 명주잠자리, 나방 등 곤충들의 방문 횟수가 줄어들었다.

연구팀은 대도시와 인근지역에서 뿜어져 나오는 질산염 라디칼이 꽃향기를 실제로 줄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사했다. 실제로 해당 지역에서의 꽃향기 이동 거리는 산업화 이전 대비 평균 5배 줄어들었다.

연구팀은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이 오존과 반응해 생성되는 질산염 라디칼은 밤에 반응성이 높고 많이 축적돼, 밤에 꽃이 피는 식물들의 향기에 의존해 꿀을 찾는 야행성 곤충들의 활동을 특히 방해할 것"이라며 "후각 교란으로 곤충들이 꿀을 찾지 못해 굶주리게 되면 생태계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꿀벌은 종에 따라 활동 시간이 달라진다.

국내에서도 비슷한 연구가 진행된 적이 있다. 서울대 환경대학원 연구팀이 400마리 꿀벌에게 무선주파수인식시스템(RFID) 초소형 장치를 부착한 후 이동을 조사했더니, 황사 등으로 공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길을 못 찾아 목표 지점으로 이동하는 시간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꿀벌의 비행이 어려워지면 생태계 구성원 모두가 영향을 받아 인간의 식량 위기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최근 게재됐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