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수리 사진까지 내건 '비둘쥐' 전쟁…스페인은 불임 사료 뿌렸다
정오가 되고 교차로에 볕이 들자 비둘기 무리가 모여들기 시작했다. 한강공원 쪽에서 날아온 39마리의 비둘기는 인도와 가로등 사이를 오가며 일광욕을 하거나 먹이를 찾았다. 인도는 흰 배설물 자국으로 가득했다. 지난달 30일 서울 마포구 합정역 교차로의 풍경이다.
합정역은 최근 비둘기의 역사 내 진입을 막기 위해 출입구에 비둘기 천적인 독수리 사진을 붙여 화제가 된 곳이다. 6년째 합정역사 내 매장에서 일했다는김모씨는 “최근 한두 달 사이, 비둘기가 역사 안을 걸어 다니는 모습을 여러 번 봤다”고 말했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부터 1월까지 합정역에서만 비둘기 관련 민원이 8건 접수됐다. 공사 측 관계자는 “합정역 근무자들이 ‘이거라도 해 보자’는 마음으로 사진을 20일쯤 붙였는데, 시간이 좀 더 지나야 효과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둘기 민원 급증…개체수 증가 영향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 지자체가 접수한 비둘기 관련 민원은 2018년 1931건에서 2022년 2818건으로 4년 사이에 46%가 늘었다. 특히 서울 시민의 민원이 폭증했다. 2018년 434건이던 민원은 2022년 1315건으로 3배가 됐다.
이렇게 민원이 폭증한 건 사람과 부대끼는 비둘기의 개체 수가 세 배 가까이 늘었기 때문이다. 서울시가 민원 발생지를 조사한 결과 2018년 3267마리였던 비둘기는 2022년 9498마리로 2.9배가량 증가했다.
6000→29만 마리 ‘비둘쥐’된 평화의 상징
도시 비둘기는 1980년대 후반 아시안게임과 서울올림픽 등의 행사에서 ‘평화의 상징’으로 방사된 외래종 집비둘기 6000마리의 후손이다. 2021년 11월 국립생물자원관 연구 결과, 전국에 서식하는 집비둘기는 18만~29만여 마리로 추산됐다.
비둘기는 2~9월 사이 주택·건물·나무 등 다양한 곳에서 번식하면서 1년에 5개에서 최대 10개의 알을 낳는다. 환경 당국은 집비둘기가 도시에서 음식물쓰레기와 사람이 주는 모이 등을 먹으면서 개체 수가 급증한 것으로 보고 있다.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관계자는 “집비둘기는 하루 1~2㎏을 먹어치울 만큼 먹성이 좋다, 잘 먹은 집비둘기는 한 해 5번까지 알을 낳는 등 번식력이 우수하다”고 했다.
비둘기는 강한 산성의 배설물로 건축물과 구조물 등을 부식시킨다. 집비둘기에게 모이를 주려는 사람과 비둘기로 인해 불편감을 호소하는 사람 사이의 갈등도 크다. 이에 환경부는 2009년 비둘기를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했지만, 먹이 급여 행위를 금지하는 법적 근거가 없어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기 어려웠다.
먹이주기 금지법 통과…동물단체 “아사 정책” 반발
환경단체는 이를 “이미 도심 생태계에서 사람에 의존하는 비둘기들을 굶겨 죽이자는 결정”이라며 개체 수 조절을 위한 다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채일택 동물자유연대 정책국장은 “인간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인간이 들여온 동물의 생존권을 박탈하기보다는 공존을 위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비둘기 불임 사료를 도입해 비둘기에게 굶는 고통을 주지 않고 개체 수를 줄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실제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공공장소 34곳에 불임 사료를 뿌리는 자동급여기를 설치한 결과, 2019년 말 비둘기의 개체 수가 55% 줄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원복 한국동물보호연합 대표는 “비둘기도 배고픔으로 인한 고통을 느낀다. 이미 효과가 확인된 불임 사료 도입을 열린 시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불임 사료를 비둘기가 아닌 다른 동물이 먹을 수도 있고,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줄지 아직 확인된 바 없어 중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먹이주기 금지가 ‘아사 정책’이라는 비판에 대해서도 환경 당국의 입장은 다르다. 최유성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사는 “도심에 사는 참새 등 많은 조류가 인간의 도움 없이 살며 개체 수가 조절된다. 비둘기도 그렇게 살아야 생태적으로 균형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진격의 집비둘기에 야생 양비둘기 보존 어려워
“독수리 사진 효과 없어” 환경부가 권고한 비둘기 퇴치법
합정역에 붙인 ‘독수리 사진’은 퇴치 효과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최유성 연구사는 “처음에는 비둘기가 사진을 보고 놀랄 수 있지만 움직이지 않으면 비둘기 퇴치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손흥민 펑펑 울었다...기적 역전승 뒤엔 '좀비·1020분·운' 3박자 | 중앙일보
- 예술적 유방암 수술, 정승필…그는 ‘공감요정’이라 불린다 | 중앙일보
- 참 조그맣고 새까맣던 사내…"나 박정희요" 또렷한 첫 만남 | 중앙일보
- "영국 왕세자빈 혼수상태 빠졌다"…스페인 뉴스 보도에 발칵 | 중앙일보
- 불륜 비밀 까발린 그 남자 응징 나섰다…돌아온 왕년의 언니들 | 중앙일보
- ‘술자리 맥주병 폭행’ 전 야구선수 정수근 불구속 기소 | 중앙일보
- 1조원 넘게 뜯어냈다…"세계 0.1% 부자될 것" 5060 등친 수법 | 중앙일보
- "우영우 먹는 저게 뭘까"…수출 1조 돌파 '검은 반도체' 날았다 | 중앙일보
- 문 닫았던 이대 명물 '빵낀과'…사상 초유 '구청 직영점' 된 사연 | 중앙일보
- "조민 형벌 가혹" 탄원 서명 지지자들…약혼 축의금도 보냈다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