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비 아껴쓰고 동포 멀리하라…국제결혼업체 신부교육지침 '논란'

방제일 2024. 1. 30. 14: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성차별적 교육 내용에 누리꾼 비판
업체 "잘 살 수 있도록 교육한 것"
기사의 내용과 무관한 신랑 신부 커플 촬영 모습 [사진출처=픽사베이비]

해마다 국제결혼이 느는 추세이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도 적지 않아 사회적인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 최근 외국인 여성을 대상으로 국제결혼을 알선하는 한 업체가 공개한 '신부교육' 지침을 두고 성차별 논란이 일고 있다. 이른바 현대판 칠거지악이라는 것이다. 칠거지악은 아내를 내쫓는 이유가 되는 일곱 가지 사항으로 조선시대 유교사상에서 나온 제도다.

한 베트남 국제결혼 업체가 최근 작성한 외국인 신부교육 지침 게시물이 30일 X(엑스·옛 트위터) 등 사화괸계망서비스(SNS)와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 공유됐다. 해당 게시물은 지난 24일 해당 업체 커뮤니티에 직원이 올린 '기숙사 교육 중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이다.

해당 글에선 베트남 신부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 다뤄진 7가지 주제를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혼인신고 서류 안내' 등 기본적인 법적 절차 안내 외에 '거짓말을 하지 마라', '생활비를 아껴 써라',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을 하지 마라', '한국에 있는 베트남 사람을 멀리 하라', '한국에 가면 남편만 믿고 남편이 최고' 등의 항목을 나열했다.

업체는 공지 글을 통해 베트남 여성의 '장단점'을 소개하기도 했다. 장점으로는 '긴 생머리에 예쁘고 몸매 좋은 여성이 많다', '의외로 피부 하얀 여성이 많다' 등 외모를 강조했다. 반면 단점으로는 '기가 세고 순종적인 여성이 드물다',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고 뒤통수를 친다', '결혼하면 남편이 쥐어 잡혀 산다' 등 근거 없는 주장이 거론됐다.

해당 글에는 베트남 신부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 다뤄진 7가지 주제가 소개됐다. [사진출처=온라인 커뮤니티]

이를 접한 대다수 누리꾼은 성차별적이고 여성 비하적인 내용이 비판하며 '비정상적 결혼'이라 지적하며, "고향 인맥을 끊고 남편 곁에만 남으라는 거냐", "종교단체의 교리 같다", "우리나라 망신"이라 댓글을 달았다. 한 누리꾼은 "시대를 역행하는 비정상적 매매혼"이라며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논란이 확산하자 해당 업체 측은 교육 주제와 관련해 "신랑 신부가 잘 지내고 있는데 (일부 베트남 사람들의) 나쁜 꼬임에 넘어가면 안 좋을 수 있다는 걸 알려줬을 뿐"이라며 "부부가 잘 살 수 있도록 교육 차원에서 얘기한 거다. 사람들이 국제결혼에 대해 잘 모르고, 인식이 안 좋다 보니 문제를 제기하는 것 같다"고 한국일보에 해명했다.

결혼한 10쌍 중 약 1쌍은 다문화 부부

통계청이 지난해 공개한 '2022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다문화 혼인은 1만7428건으로 전년 대비 3502건(25.1%) 늘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8년 이후 최대 폭 증가다.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7.2%에서 9.1%로 상승했다. 결혼을 한 10쌍 중 약 1쌍은 다문화 부부인 셈이다.

다문화 혼인을 한 한국인 남편 연령은 45세 이상이 31.2%로 가장 많았고 30대 초반(19.3%), 30대 후반(17.1%) 순이었다. 부부간 연령 차는 남편이 10세 이상 연상인 부부 비중이 35.0%로 가장 많았다. 외국인 아내의 국적은 베트남이 23.0%로 가장 많았고 중국(17.8%) 태국(11.1%) 순이었다. 이 가운데 한국 남성과의 결혼을 전제로 우리나라로 이주한 외국인 여성의 우울증 경험률이 한국 여성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지난 1일 공개한 여성 건강 통계집 '수치로 보는 여성 건강 2023'에는 2021년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증상 경험률은 27.4%로 한국 여성(14.1%)보다 약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신 국가별로는 필리핀에서 온 여성의 우울증 경험률이 31.5%로 가장 높았고 이어 태국 30.2%, 캄보디아 30.1%. 중국 27.9%, 베트남 25.9%, 일본 23.6%, 한국계 중국 23.3% 순이었다. 또 소득이 적을수록 우울증 경험률이 높았는데 월 가구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결혼이주여성의 37.9%가 우울 증상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월 소득 200만∼299만원은 29.3%, 300만∼399만원 26.4%, 400만∼499만원 24.0%, 500만원 이상 22.5%였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