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러-우크라 전쟁 불똥…369억 주고 산불헬기 넉달 빌린다

최종권 2024. 1. 30. 14: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림청 산불 진화용 대형 헬기가 물을 퍼 올리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러시아산 헬기 6대 운항 중단…최대 15대 공백 우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산림청이 보유한 러시아제 산불진화헬기 15대가 당분간 사용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러시아 현지 정비업체 협조가 어려운 데다 부품조달이 끊기면서다. 이미 6대는 운항 중단된 상태다.

30일 산림청에 따르면 올봄 산불 진화를 위해 헬기 7대를 미국과 오스트리아에서 임차한다. 대형급 5대는 미국산 CH-47 기종으로 진화용 물 9450L를 한 번에 실을 수 있다. 오스트리아에서 도입한 중형급 헬기 2대는 AS-332 기종으로 담수량은 4259L다. 임차 기간은 오는 5월까지다. 넉 달간 헬기 7대를 빌리는 데 드는 비용은 369억원에 달한다. 여기에는 조종사 등 헬기 운항에 필요한 인력 40여명의 인건비도 포함됐다.

산림청이 임차 헬기를 도입한 이유는 산불을 끌 헬기가 부족해서다. 산림청은 산불진화헬기 대형 7대, 중형 30대, 소형 11대 등 48대를 운용하고 있다. 중형급 29대는 러시아에서 만든 헬기다. 산림청은 이중 절반이 넘는 15대(51%)가 전반기에 ‘운항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산불 발생 지역 주민들이 하늘에 떠 있는 산불진화헬기를 바라보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넉 달간 7대, 미국·오스트리아서 임차


산림청 김만주 산불방지과장은 “러시아산 진화헬기를 고치려면 부품 조달과 함께 정비서비스를 받아야 하지만, 전쟁 여파로 모두 중단된 상황”이라며 “정비를 못 한 6대는 이미 운항을 중단했다. 나머지 러시아산 헬기 9대도 언제든 운항이 중단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임차 헬기 7대를 도입했다”고 말했다.

산림청 중·대형급 헬기는 동시다발적으로 번지는 산불 때 주불 진화에 큰 역할을 한다. 전국 자치단체가 민간업체를 통해 임차한 헬기는 75대로, 70% 이상이 소형급이다. 김 과장은 “지자체 헬기는 소형급이 많아서 통상 초동조치에 투입되고, 산림청 중형급 이상 헬기는 장비·인력 투입이 어려운 산 정상이나 주불을 잡는 데 활용한다”며 “대러 제재가 계속된다면 헬기 보수가 어려워 내년 봄에도 임차 헬기를 도입해야 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헬기 한 대당 550억원, 제작 기간 최소 3년
산림청은 새 헬기 구매 대신 임차 헬기를 도입한 이유로, 막대한 예산과 긴 제작 시간을 들었다. 산불 진화 헬기구매 비용은 대형 550억원, 중형은 250억원 이상이다. 주문을 넣어 제작을 마치기까지 최소 3년이 걸린다. 산림청 관계자는 “돈이 있다고 바로 살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그만한 예산 확보도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산림청 산불 진화용 대형 헬기가 연신 물을 퍼 올리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산림청 "연기만으로도 산불과 다른 화재 구분"


산림청은 이날 임차 헬기 도입 외에 ‘2024년 산불대책’으로 산불관제시스템 개선과 고성능 진화차 추가 도입을 발표했다. 인공지능(AI) 기반 산불감시체계인 ‘ICT 플랫폼’을 전국 20곳으로 확대해 산불을 초기에 감지한다. 이 플랫폼은 산불을 감시하는 폐쇄회로TV(CCTV) 화면 25~30개를 인공지능 기능으로 모니터링한다. 연기가 나도 산불인지, 아니면 다른 화재인지 정확하게 구분한다고 한다. 산불이 나면 상황 관제 요원에게 자동으로 전달한다. 산불상황관제시스템에는 요양병원·초등학교 등 19만6000곳의 위치 정보를 추가로 탑재한다.

산림청은 또 고성능 산불 진화 트럭은 11대를 추가 배치한다. 이 트럭은 3.5t짜리 물탱크에 지름 25㎜ 진화 호스가 달려있다. 기존 진화차 보다 탱크 용량이 3배 이상 많고, 분사압도 4배나 향상된 자동차다. 대형 소방차가 진입하기 어려운 산악지형이나, 민가로 내려오는 산불을 끄는 데 적합하다는 게 산림청 설명이다. 산불 정리하는 진화대원 안전도 지킬 수 있다.

찾아가는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확대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산불은 596건으로, 피해 면적은 4992㏊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산불 원인으로는 입산자 실화가 170건(29%)으로 가장 많고, 쓰레기 소각 72건(12%), 논·밭두렁 소각 57건(10%), 담뱃불 실화 54건(9%), 건축물 화재 41건(7%) 순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은 소각으로 발생하는 산불 차단을 위해 농촌진흥청, 자치단체 등과 협업해 ‘찾아가는 영농부산물 파쇄’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추수가 끝나고 방치한 마른 고춧대, 옥수숫대, 깻대 등을 모아서 파쇄한 뒤 퇴비화하는 사업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영농 부산물 무단 소각이 산불 발생의 주요 원인"이라며 "부산물 파쇄를 원하면 파쇄기를 들고 전국 어디든지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최종권 기자 choi.jongkw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