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추억] 운현궁 현판·대한민국 국새…현대서예의 대가

권근영 2024. 1. 29. 00: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 초정(艸丁) 권창륜(아래 사진)이 쓴 운현궁 현판. [중양포토]

“서예 이론을 공부하다 보니 서예의 근본 이치가 자연으로부터 나왔음을 깨닫게 됐습니다.”

한라에서 백두까지, 자연에서 서법의 근본을 찾던 초정(艸丁) 권창륜(사진)이 27일 자연으로 돌아갔다. 83세.

고 초정(艸丁) 권창륜. [사진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고인은 1941년 경북 예천에서 태어났다. 주민등록상 출생은 1943년이다. 중앙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 서예의 거목 일중(一中) 김충현(1921~2006)과 여초(如初) 김응현(1927~2007) 형제를 사사했다. 1977년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받으며 이름을 알렸다.

해박한 서예 이론과 탄탄한 고법에 바탕을 둔, 개성 뚜렷한 작품으로 현대 서예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문 오체(전서·예서·해서·행서·초서)는 물론 사군자와 문인화·전각에도 뛰어났다. 운현궁 현판부터 청와대 인수문과 춘추문, 남산한옥마을과 삼청각까지 곳곳에 글씨를 남겼다. 2011년 제작된 제5대 국새의 훈민정음체 ‘대한민국’도 그의 작품이다.

그는 “붓글씨의 공력은 단판 승부에 있다. 덧칠이나 가필을 할 수가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서법을 통달해 자기만의 경지에 이르러야 일필휘지할 수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90년대 지리산을 시작으로 산에 올라 쓴 글씨가 130여 점. 무게 5㎏이 넘는 큰 붓을 짊어지고 산마루에 올라, 현장에서 느낀 대자연에 대한 외경을 세로 7m 큰 종이에 거침없는 기세로 담아냈다.

한국미술협회 회장과 한국전각협회 회장, 중국 베이징대 초빙 교수 등을 지냈다. 2005년 옥관문화훈장, 2018년 일중서예상 대상을 받았고, 2020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됐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발인은 29일 오전 10시30분이다.

권근영 기자 you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