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집 더 싸다" 말에 헐값…김 수출 '1조 시대' 해결 법 찾았다 [영상]
━
“명품 김을, 헐값에…국제 거래소 필요”
‘K-푸드’ 바람을 타고 김 인기가 치솟고 있다. 해외에서 건강식으로 주목받으며 지난해 수출액은 7억9100만 달러(잠정)로 전년보다 22.2% 증가했다. 우리 돈으로 1조원을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김 100장(1속)으로 따진 수량은 8531만 속에서 1억49만 속으로 17.7% 늘었다.
해외 판로가 다양해졌지만, 산지에서 성사되는 수출 계약은 중구난방이다. 국외 바이어가 국내 유통상을 끼고, 김 제조업체를 돌며 물량을 사들이는 방식이다. 바이어는 산지 시세를 훤히 알 수 있지만, 정작 어민이나 제조업체는 상대방이 얼마에 사 갈지 가늠하기 어렵다. “옆집에서 더 싸게 준다”는 말이 통하기 쉬운 ‘수요자 우위’ 구조다. 애써 키운 김을 헐값에 내다 파는 일이 잦았다.
━
김 샘플에 사이즈·중량·생산일 표기
김 거래소는 서천 소재 김 제조업체가 참여한 서천김 6차 사업화사업단이 위탁 운영한다. 바이어가 김 거래소를 방문해 여러 샘플을 확인한 뒤 현장 입찰하는 방식이다. 지난 26일 찾은 마른김 거래소에는 김 샘플 상자 위에 김 규격과 1속당 중량, 생산지, 생산일, 가공업체를 표기해놓은 안내판이 올려져 있었다.
이중우 서천김 6차 사업단장은 “김 색태와 맛, 얼마나 촘촘하게 제조됐는지 등을 종합 검수해 등급 판정을 내린다”며 “바이어가 일일이 가공공장을 찾아다니지 않고 한 자리에서 여러 업체 물량을 확인한 뒤 매입 가격을 제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제조업체는 한 톳당 가격을 다른 업체와 비교해 등급에 맞게 조정할 수 있어 제값에 김을 팔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천은 서해안을 대표하는 김 주산지다. 마른 김 제조업체가 50개 넘게 있다. 충남에서 생산하는 조미·마른 김이 거의 다 서천에서 나온다. 충남도가 발표한 지난해 충남 조미김 수출액은 1억1640만 달러로 전년 9620만 달러와 비교해 21% 증가했다. 마른김 수출액은 6773만 달러로 전년 대비 22.5% 증가했다.
━
“서천 김 단맛 강해”…충남 수산식품 수출액 90%
조미김과 마른김을 합한 수출액은 충남 수산식품 전체 수출액의 91%에 달할 정도로 압도적이다. 김은 과거 밥반찬 등으로 소비됐으나, 최근 맛김·김자반·김부각·스낵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돼 수출 규모를 키우고 있다. 이중우 단장은 “김 맛은 원초가 햇빛에 노출되는 정도나 수심, 조수간만 차가 좌우한다”며 “서해안에서 나는 서천 김은 색이 짙고 윤이 많이 나며 단맛이 강한 게 특징”이라고 말했다.
한국산 김은 맛이 좋은 데다 저칼로리 건강식품이란 인식이 확산하면서 미국·일본·중국·동남아시아 등 120개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2010년 64개국에서 2배 가까이 늘었다. 2022년 기준 한국산 김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70.6%로 1위다. 김을 ‘바다의 반도체’ ‘검은 황금’이라 부르는 이유다. 충남도 수산물유통가공팀 박기석 주무관은 “마른김은 중국과 미국에 절반 이상을 수출했으나, 한류 문화가 확산하면서 밥 문화가 있는 동남아 시장이 성장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서천=최종권 기자 choi.jongkw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80대에 40대 뇌 가진 사람들…간단한 습관 세 가지의 기적 | 중앙일보
- 개그맨 최형만, 목사 됐다…뇌종양∙청력 상실 '파란만장 근황' | 중앙일보
- “디스크 저절로 나아집니다”…진료 대기만 3년, 척추의 신 | 중앙일보
- '도깨비' F-4 뜨면 질겁했다 …北 "날래 내리라우" 도망 바빠 [이철재의 밀담] | 중앙일보
- '사찰 노예 사건' 스님, 누명 벗었다…6년 만에 밝혀진 학림사 진실 | 중앙일보
- 처음 본 여성에 "교회가자"…거절하자 길에서 머리채 잡은 목사님 | 중앙일보
- 층층마다 사람들 무섭게 꽉 찼다…수원시 "우회하세요" 문자 | 중앙일보
- "난 왜 여자 대회 못나가냐"며 생식기 달린 트젠이 한 행동 | 중앙일보
- 7.46캐럿 갈색 다이아몬드 횡재…자동차 여행중 주운 곳, 어디? | 중앙일보
- "하룻밤 10만원"…문무대왕릉 앞 횟집들 전부 '굿당'이었다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