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잘하려면 손글씨 써야"...과학적 입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디지털 기기 사용이 늘면서 손 글씨 쓸 일이 줄어드는 가운데 손으로 쓰는 것이 키보드로 타이핑하는 것보다 뇌의 연결성이 더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르웨이 과학기술대(NTNU) 오드리 판데르 메이르 교수팀은 대학생들이 화면에 나타난 단어를 손 글씨로 쓰거나 키보드로 입력하는 동안 뇌파 데이터를 측정, 분석해 이런 사실을 발견했다고 27일 과학 저널 심리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Psychology)에서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근아 기자]
디지털 기기 사용이 늘면서 손 글씨 쓸 일이 줄어드는 가운데 손으로 쓰는 것이 키보드로 타이핑하는 것보다 뇌의 연결성이 더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르웨이 과학기술대(NTNU) 오드리 판데르 메이르 교수팀은 대학생들이 화면에 나타난 단어를 손 글씨로 쓰거나 키보드로 입력하는 동안 뇌파 데이터를 측정, 분석해 이런 사실을 발견했다고 27일 과학 저널 심리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Psychology)에서 밝혔다.
연구팀은 대학생 36명에게 화면에 나타나는 단어를 보고 손으로 쓰거나 키보드로 타이핑하게 하면서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했다. 참가자들은 뇌파(EEG) 센서 256개를 엮어 만든 측정장치를 머리에 쓴 채, 디지털 펜으로 터치스크린에 직접 필기체로 쓰거나 한 손가락으로 키보드 키를 눌러 입력했다.
측정된 뇌파 데이터를 토대로 뇌의 연결성을 분석한 결과, 손으로 글을 쓸 때 뇌 연결 패턴이 키보드로 타이핑할 때보다 훨씬 더 정교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손으로 쓸 때 지각·인지·판단 등과 관련이 있는 대뇌 꼭대기 부위 두정엽과 뇌 중심부에 있는 신경 네트워크 허브와 접점 사이에서 광범위한 세타파/알파파 연결성 패턴이 일관되게 확인됐다고 밝혔다.
판데르 메이르 교수는 "이는 손 글씨를 쓸 때 뇌 연결 패턴이 타이핑 때보다 훨씬 정교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펜을 사용할 때 손을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얻는 시각·동작 정보가 학습을 촉진하는 뇌 연결 패턴에 기여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참가자들은 디지털 펜을 사용했지만, 실제 종이에 펜으로 쓸 때도 결과는 같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글자를 쓸 때의 손가락 움직임이 뇌 연결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활자체로 쓰든 필기체로 쓰든 학습 효과는 비슷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 결과가 수업 시간 학생들에게 펜을 사용할 기회를 줄 필요가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학생들이 최소한의 필기 교육을 받을 수 있게 지침을 마련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박근아기자 twilight1093@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