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 성장률’은 처음…“올해 성장률 2%도 어렵다”
[한국경제TV 김채영 기자]
<앵커>
지난해 우리 경제가 하반기에 나타난 수출 개선세에도 불구하고 1%대 성장에 그쳤습니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전망치엔 부합했지만, 코로나19 이후 다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고금리로 인한 내수 부진에 올해도 저성장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김채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우리 경제가 1.4% 성장하며 우려했던 저성장이 현실이 됐습니다.
수출은 하반기로 갈수록 IT 경기가 회복되며 개선됐지만, 내수 경기 부진이 여전히 심각해 성장률을 끌어내렸습니다.
한국은행도 우리 경제가 저성장 국면으로 접어들었다고 평가했습니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 : 민간 소비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 정도 되고요. 지금은 저성장 국면이고, 민간 소비도 성장률을 조금 하향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어서 예전 숫자랑 비교하면 지금 상당히 낮을 걸로 나올 것 같고요.]
부동산PF(프로젝트 파이낸싱) 여파로 인한 건설업 부진도 성장률을 낮추는데 기인했습니다.
실제로 부동산PF를 중심으로 비제조업이 체감경기가 얼어붙으면서 1월 기업체감경기도 11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승석/ 한국경제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설비투자보다 건설투자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데, 시공 능력 기준으로 (건설업계에서) 16위쯤 하던 좀 비교적 큰 회사가 워크아웃을 하다 보니까 전반적인 기업 심리가 낮아질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죠.]
정부는 올해 경제가 2.2% 성장할 것으로 보고, '상중하중'(上中下中)의 경제 흐름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미국 대선과 수출의 버팀목인 반도체 업황 개선 지연 등 불투명한 대외 여건을 감안할 때 2%대 성장을 장담하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이상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 : 우리나라가 반도체라든지 IT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큽니다. 그래서 업황 사이클이 상승 회복 국면을 타는 게 가장 관건이라고 보시면 되고요. 내수도, 소비도 물가라든지 금리라든지 부담이 증폭될 경우에는 2%도 좀 어렵다.]
고물가·고금리 국면이 올해 상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올해 재정의 65%를 상반기에 조기 집행해 체감 경기를 끌어올린단 복안입니다.
다만 정부의 이러한 재정 집행이 상반기 내수 부진은 완화할 수 있겠지만, 경기흐름 자체를 바꿀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한국경제TV 김채영입니다.
영상편집: 김나래 CG: 손지영
김채영 기자 chaechae@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