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신한 저리 가”...주담대로 몸집 불리는 ‘인뱅 3사’
1월 22일 인터넷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3사의 전·월세대출울 포함한 주담대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약 26조6383억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말(15조5928억원)과 비교해 무려 70.8%(11조455억원)나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 주담대 잔액은 3.3%(418조3276억원→431조9299억원) 증가하는 데 그쳐 잔액 대비 증가 규모에서 차이가 났다.
은행별로는 카카오뱅크 주담대 잔액이 21조3112억원으로, 1년 새 60.3%(8조158억원) 증가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말 4조9211억원으로 2022년 말(2조2974억원)의 2배 이상으로 불어났다. 지난해 9월 처음으로 전·월세보증금대출을 선보인 토스뱅크는 4060억원 수준이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지난해 상반기 주담대 금리를 공격적으로 인하하고 특판을 진행하며 주담대 공급 규모를 늘려왔다. 이와 관련 가계대출 증가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가 지난해 11월 중 신규 취급한 분할 상환 방식 주담대 평균 금리는 각각 4.44%, 4.34%로 5대 은행보다 낮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경우 연 4.51~4.79%다.
인터넷은행이 주담대 확대에 주력한 이유는 주담대가 은행 입장에서 안정적인 수익원이기 때문이다. 주담대는 신용대출과 비교했을 때 담보가 있어 부실 가능성이 작은 데다 대출 금액은 상대적으로 커 이자 이익을 확대할 수 있다. 또 중저신용대출을 의무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인터넷은행 입장에서 건전성을 높이고 안정적으로 이익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인터넷은행이 ‘중저신용대출 공급’이라는 본래 인가 취지를 외면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금융당국은 인터넷은행 3사의 올해 중저신용자대출 공급 목표를 평균 잔액 기준 ‘30% 이상’으로 결정했는데, 해당 비중 목표를 달성한 곳은 연말 목표치 30%를 넘어선 카카오뱅크(30.43%)뿐이다. 케이뱅크와 토스뱅크는 각각 29.09%, 31.54%로 연말 목표치(각각 32%, 44%)에 미달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전청약 마친 인천 ‘우미린’ 결국 사업 취소…당첨자들 ‘날벼락’ - 매일경제
- 다이소보다 싼 ‘테·쉬·알’…쿠팡도 긴장 - 매일경제
- 경기북부 ‘제2외곽순환도로’ 거의 다됐다…김포∼파주 구간은 내년 개통 예정 - 매일경제
- 성수동에 복합문화예술 공간 들어선다…성동구청, 운영사로 플러엔엑스 낙점 - 매일경제
- 올해 하락률 1위 ETF는 무엇?…이차전지 ETF 하락세에도 개미는 ‘줍줍’ - 매일경제
- 올해 아이 낳으면 ‘이만큼’ 받는다…7살까지 2960만원 - 매일경제
- 조선미녀? 생소한데 美서 대박...매출 2000억 노리는 K뷰티 등극 [내일은 유니콘] - 매일경제
- ‘사이버 농사’ 난리 났다는데...올팜·컬리팜 속속 등장 - 매일경제
- “여보, 도대체 바닥은 어디일까?”…송도 집값 자고 나면 ‘뚝뚝’ [김경민의 부동산NOW] - 매일
- “현실과 맞지 않아”…‘문산법’ 두고 웹툰·웹소설업계 반발 [국회 방청석]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