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귀와 염석진의 들끓는 욕망, '외계+인'에는 없었다
[고광일 기자]
▲ 영화 <외+계인> 2부 포스터 이미지 |
ⓒ CJ ENM |
*주의! 이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영화 <외계+인>을 보며 가장 놀랐던 대사는 1부에서 나온다. 하바를 터트리려는 외계인과의 대결에서 로봇 썬더(김대명 분)는 점점 불리한 상황에 몰리지만 마지막까지 싸우자는 어린 이안(최유리 분)의 독려를 듣고 "이길 확률 2%... 3%", "인간의 감정은 놀랍구나"라고 말한다. 영화 <범죄의 재구성> 김 선생의 명대사를 빌려 말하자면 다른 사람도 아니고 "청진기 대면 진단 나온다"던 감독이 쓴 대사에 '뇌수술 당한' 정도의 충격을 받았다.
최동훈 감독은 성실하기로 유명하다. <이동진의 부메랑 인터뷰> 책에 따르면 그는 대본 작업을 위해 사기꾼, 도박꾼 취재를 감행하는 건 물론이고 일상에서도 괜찮다 싶은 대사가 나오면 바로 화장실로 달려가 메모하는 습관을 지니고 있다. 영화 <타짜>를 만들 땐 친구들과 밤새워 도박하며 들었던 말을 꼼꼼히 기록했고, 다음날 알아볼 수는 없지만 만취한 상태에서도 메모를 남길 정도라고 한다. 이런 성실함으로 쌓아온 리얼리티가 최동훈 감독의 강점이다. 하지만 상상의 영역으로 나아갈수록 그의 장점은 희석된다.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조선시대를 다룬 <전우치>와 일제강점기로 넘어간 <암살>이 다른 작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평가가 낮은 까닭도 관객들이 기대하는 현실감을 충족시키지 못한 탓이다. 그나마 <암살>은 독립군, 친일파, 변절자 등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았던 인물에 대한 사료들이 남아있고 <전우치>는 영화 촬영을 현대의 배경으로 삼았기에 현실감이 완전히 증발된 것은 아니었다.
▲ 영화 <외+계인> 스틸컷 |
ⓒ CJ ENM |
우선 보이는 건 레퍼런스의 적극적인 활용이다. 영화 마니아가 아니라도 모티브를 따왔을 영화들이 머릿속에서 휙휙 지나간다. <아이언 맨> <에일리언> <서유기> <백 투 더 퓨처>처럼 문화적 DNA로 각인된 수준의 작품들이다. 감독의 취향이 반영된 것처럼 보이는 레퍼런스들을 통해 관객들에게 부족한 현실감 대신 친밀감을 불어넣으려고 하지만 긴밀한 화학적 결합이 아니라 시각적 유사함만 따온 상황에선 과도한 기시감만 충전되는 역효과가 발생했다.
문제는 이렇게 현실감이 사라진 환경이 캐릭터들의 감정선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외계+인>의 주인공은 이안(김태리 분), 무륵(류준열 분), 가드(김우빈 분)이다. 현대 시점에서 외계의 죄수들이 풀려나 도시를 파괴하는 장면을 본 이안과 가드가 그들을 막기 위해 과거라는 시간 안에 죄수들을 가둔 것은 그렇다 치자. 정의로운 캐릭터가 정의를 위해 희생하는 건 뻔하지만 숭고한 감동적인 테마이다. 그러나 극 중에서 이들의 정의감이 제대로 설계되어 발현됐는지는 의문이다.
가드는 인간의 일에 개입하지 않겠다고 입버릇처럼 말한다. 이안을 키우며 가드에게 부성애가 생겼을 수 있지만 그건 인류를 구하겠다는 정의감보다 자녀를 지키겠다는 개인적 바람이 우선이다. 이안은 고려에서 넘어와 가드와 썬더의 손에 자랐고 큰 문제없이 학교 다니며 친구들과 노는 모습이 자연스러운 초등학생이다. 가드의 생체실험(?)으로 또래보다는 뛰어난 지능과 신체 능력을 지녔지만 고려시대와 현대를 넘나들며 무시무시한 외계인의 손에서 지구를 지킬 막대한 책임감을 지닌다는 게 선뜻 이해되지 않는다.
이안과 무륵은 어린 시절에 목숨을 구해준 인연으로 얽혀있으며 서로의 물음에 해답이 되어주는 파트너이기도 하다. 외계 죄수가 몸 안에 가둬져 있다고 생각하는 무륵에게 이안은 '네 안에 뭐가 있든 너는 너야'라고 말한다. 영화의 최종전투가 시작되면 무륵은 이안에게 이 말을 그대로 전해준다. 외계인의 힘으로 얼치기 도사가 됐다고 생각하는 무륵의 무력감, 고려에서 태어나 현대에서 또 다른 외계인의 손에 큰 이안의 외로움은 주고받는 한마디 말로 조금이나마 치유가 된다.
▲ 영화 <외+계인> 스틸컷 |
ⓒ CJ ENM |
성장과 악당의 부재
수많은 명대사를 낳은 <타짜>는 도박영화였지만 한 편의 지독한 로드무비였다. 고니(조승우 분)가 인생의 단맛, 쓴맛까지 모두 보며 스승인 평경장(백윤식 분)의 복수를 하고 지긋지긋한 도박판에서도 벗어나는 성장담이기도 하다. 무륵은 스스로 얼치기 도사라며 자책한다. 재능은 있지만 우왕좌왕이란 고양이들을 부채에서 불러내 싸우는 정도의 도술을 지녔다. 진짜 도사가 되면 뽑아낼 수 있다는 천하보검은 부채 속의 그림이다. 이후 여러 사건을 겪고 1부 마지막에 무륵은 마침내 부채에서 뽑아내 요괴들과 싸운다.
하지만 각성한 도사의 무쌍이 2부에서 펼쳐질 거란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간다. 새로 등장한 맹인 검객 능파(진선규 분)의 날아다니는 비검. 1부부터 활약한 삼각산의 신선 청운(조우진 분), 흑설(염정아 분)은 도술과 신선들의 무기로 외계인과의 싸움을 주도한다. 무륵은 현대에 와서도 도술이 아니라 가드가 남긴 슈트의 힘을 빌려 외계인과 맞선다. <전우치>에서 깨달음을 얻고 부적 대신 삼신기를 휘두르며 화담과 격돌하는 전우치(강동원 분)가 보여준 성장의 카타르시스를 무륵에게서는 뽑아내기 어렵다.
지금도 회자되는 악당인 <타짜>의 곽철용(김응수 분)과 아귀(김윤석 분), <암살>의 염석진(이정재 분)의 욕망은 뚜렷했다. 도박판에서 흘러넘치는 돈을 쓸어 담거나, 욕망에 휩쓸린 상대가 자멸하는 꼴을 보거나. 과장된 몸짓과 행동으로 총알구멍을 두 개나 갖고 있다며 좌중을 휘어잡고 변절자임을 부인하거나. 변호할 필요도 없는 악인이지만 최동훈이 만든 악당들은 돈과 자존심, 부귀영화라는 뚜렷한 욕망으로 움직이며 생명력을 얻었다.
▲ 영화 <외+계인> 스틸컷 |
ⓒ CJ ENM |
최동훈표 영화를 보러가는 이유를 되묻다
최동훈 감독의 영화를 보러 가는 이유는 무엇인가. 데뷔작 <범죄의 재구성>으로 시작해 <타짜> <도둑들>까지 무언가를 훔치거나 강탈하는 일명 케이퍼 무비라고 말하는 범죄영화를 한국에서 제일 잘 만드는 감독임을 생각하면 일상에서 만나기 어렵고, 만나면 인생 고달파지는 전문가들의 생생함을 대리 체험하는 것에 가깝다. 말하자면 <생활의 달인> 범죄자 편을 찾아보는 느낌이라 할까.
고정관념과 달리 최동훈 감독의 케이퍼 무비에서 범죄 장면은 그렇게 세세하게 묘사되지 않는다. <타짜>는 아귀와 치른 최후의 결전을 비롯해 타짜의 속임수가 제대로 묘사된 장면이 드물고 <범죄의 재구성> <도둑들>에서는 아예 계획이 실패한다. 계획의 주도자 혹은 상대방이 성공으로 얻을 수 있는 금전적 이득이 아닌 다른 목표를 설정했기 때문이다. 복수나 자존심, 상대의 파멸 같은 감정적 요소가 그의 영화에서는 돈보다 더 중요하다.
<외계인>의 문제는 SF와 무협의 결합,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시간이 아니라 증발해 버린 감정일 가능성이 크다. 승부와 상관없이 딴 돈의 반만 가져가는 이상한 도박꾼과 승패와 관계없이 손모가지를 날리겠다는 사악한 집념. 왜 이렇게까지 싸우냐고 물을 때 싸우고 있는 사람이 있는 걸 알려주겠다는 사람의 우직함과 해방이 될 줄 몰랐다고 알면 그랬겠냐고 외치는 뻔뻔함. 계산할 수 없는 들끓는 욕망들이 끝없이 맞부딪히던 생생함이 다시 최동훈표 필름에 녹아들길 바란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석열이 폐기하고, 한동훈이 비호한 국기문란의 실체
- [단독] '집단강간' 변호한 국힘 비대위원 "술 취해 심신미약" 주장
- "류희림 위원장, 역대 최악... 조직의 수장으로서 의심스럽다"
- 천둥번개 같은 통증... "엄마, 나 오십견이래"
- '사생활' 이유로 의원 정보 감춘 성남시의회... 결말은 이렇다
- "손바닥 왕(王) 윤 대통령, 진짜 왕처럼... 한동훈도 당한다"
- 도시 브랜딩과 <고기리막국수> 브랜딩은 통한다
- '윤 대통령 사진' 내건 용산 출신 후보들... 지역선 '갸우뚱'
- "세월호 참사 10주기에 예산 전액 삭감, 대전시 규탄한다"
- 현대차 전 사장이 민주당에 입당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