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크플레이션 지속에… 값싼 수입 멸균우유, 편의점까지 진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밀크플레이션'(우유 가격이 오르면서 물가가 오르는 현상)이 지속되면서 우유시장 지형도가 달라지고 있다.
CU는 폴란드산 멸균우유를 직수입해 저렴한 가격에 판매한다고 21일 밝혔다.
최근 우유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수입 멸균우유를 선택하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편의점에서도 멸균우유를 직접 수입하기 시작했다.
수입 우유의 가격 경쟁력이 국산우유 대비 한층 높아지게 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U, 폴란드산 우유 직수입
“우유 가격 결정 구조 개편해야”
‘밀크플레이션’(우유 가격이 오르면서 물가가 오르는 현상)이 지속되면서 우유시장 지형도가 달라지고 있다. 국산 우유가 차지하던 자리에 값싼 수입 멸균우유가 빠르게 치고 들어오는 형국이다. 소비자 선택의 다양성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지만 우유시장 축소가 우려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CU는 폴란드산 멸균우유를 직수입해 저렴한 가격에 판매한다고 21일 밝혔다. 일반우유와 저지방우유 각 1ℓ짜리 제품을 1000원대 후반에서 2000원대 초반에 판매한다. CU에서 판매하는 유업계 흰우유보다 약 35%, CU의 자체 브랜드(PB) 흰우유보다 약 19% 저렴하다.
최근 우유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수입 멸균우유를 선택하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편의점에서도 멸균우유를 직접 수입하기 시작했다. 멸균우유는 보관성을 높이기 위해 멸균 과정을 거치면서 맛 측면에서 소비자 만족도가 낮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오래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에 가격까지 저렴해 경쟁력을 높여왔다.
수입 멸균우유의 시장 장악력 확대는 수치로도 확인된다. 관세청에 따르면 2022년 멸균우유 수입량은 3만1461t으로 전년보다 42% 늘었다. 2018년 4291t이었던 멸균우유 수입량은 2019년 1만484t, 2020년 1만1476t, 2021년 2만 3284t으로 증가세를 이어왔다.
소비자들이 맛보다 가격을 택하게 된 데는 고물가 부담이 계속되는 가운데 우유 가격 인상폭이 유난히 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유 소비자물가지수는 118.13으로 전년 대비 9.9% 상승했다. 14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우유 가격 상승은 치즈, 아이스크림 등 유제품 가격 인상으로 직결됐다.
국산우유가 저렴한 수입 멸균우유로 대체되는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2026년부터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미국과 유럽연합(EU)산 우유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기 때문이다. 수입 우유의 가격 경쟁력이 국산우유 대비 한층 높아지게 된다.
유업계 안팎에서는 국내 우유 가격 결정 구조를 개편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흰우유 소비 자체가 꾸준히 감소하는 데다 수입 우유에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며 입지가 더욱 좁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원유 가격은 통계청이 매년 5월 발표하는 원유 생산비가 전년 대비 4% 이상 차이 날 경우 낙농진흥회가 협상을 통해 조정한다. 판매량이나 생산량과 무관하게 생산비가 오르면 원유 가격이 오르는 구조다. 가격 인상이 필연적인 상황인 셈이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꿈쩍도 않네’ 재건축 패스트트랙에도 집값 요지부동
- ‘가슴 만지며 활짝’... ‘인증샷’ 공유한 국민의힘 시의원
- 임혜동, 류현진에게 “성적 수치심” 협박…3억 받아내
- 한동훈 ‘김건희 명품 의혹’ 관련 “대통령실과 갈등 없다”
- 반도체 등 국가 핵심기술 해외 유출 땐 최대 징역 18년 가능
- 마돈나 또 지각 공연… “양심 없나” 뿔난 관객에 피소
- 美 틱톡서 유행하는 ‘쥐 스낵’ 레시피… 재료는?
- 5만원 5장 찢어 6장… 지폐 연금술의 최후 “징역 3년”
- “인스타·페북서 성희롱 피해 어린이 매일 10만명”
- ‘우회전 일시정지’ 1년…현장은 여전히 혼란 “헷갈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