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필향만리’] 中道而廢, 今女畫(劃)(중도이폐, 금여획)

2024. 1. 22. 00:1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제자 염구(冉求)가 “저는 스승님의 가르침을 좋아하지 않는 바가 아니나, (실천하기에는) 힘이 부족합니다.”라고 고백했다. 이에 공자는 “힘이 부족하면 중간에 그만둘 수밖에 없는데, 너는 지금 네 스스로에게 한계선을 긋고 있구나!”라고 말했다. 스스로 한계선을 긋는 한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廢: 폐할 폐, 女: 너 여(汝), 畫: 그을 획(劃). 중간에 그만둔다면, 지금 너는 스스로 한계를 긋는 것이다. 31x70㎝.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 자신감과 오만불손은 다르다. 못하는 이유를 남 탓으로 돌리는 게 오만불손이고, 자기 몫으로 여겨 끝까지 노력하는 게 자신감이다. 부처님은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 즉 “하늘 위, 아래에 오직 나 홀로 존귀하다”고 선언했다. 시인 이백은 “천생아재필유용(天生我材必有用)”이라고 외쳤다. “하늘이 나를 낼 제, 반드시 쓸 곳이 있었을 것이다”라는 자신감의 외침이다. 부처님과 이백만 존귀하고 쓰임이 있을까? 아니다. 우리 모두가 다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으며 소중한 쓰임을 가진 존재들이다. 스스로 ‘부족하다’, ‘못 한다’ 하는 한계를 지어야 할 이유가 없다.

영화 ‘노량’에는 끝까지 적을 섬멸하고자 한 이순신 장군의 ‘불획(不劃)’ 정신이 담겼다. ‘명량’은 더욱 강한 ‘불획’의 의지로 승리한 전쟁이다. 기억하고 배우자! “저에게는 아직 13척의 배가 있습니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