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 부진’에 추락한 홍콩H지수…ELS 손실률 60% 육박

김남준 2024. 1. 21. 17: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자의 잠못드는 밤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상품의 손실률은 60%에 육박하면서다. 해당 상품의 기초 자산인 홍콩H지수가 중국의 소비와 건설 경기 부진 우려에 올해 들어 11.1% 추락한 게 불쏘시개가 됐다.


5대 銀 ELS, 19일까지 손실률 52.8%


21일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판매한 홍콩H지수 연계형 ELS 상품은 올해 들어 19일까지 총 4353억원이 만기가 도래했다. 이 중 2057억원만 상환됐고, 남은 2296억원은 손실을 확정했다. 투자금 대비 손실액인 손실률은 절반이 넘는 52.8%에 달했다.
정근영 디자이너

ELS 손실률은 시간이 가면서 더 커지고 있다.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5대 은행 ELS는 올해 들어 8일부터 첫 만기가 돌아왔다. 이날부터 12일까지 집계한 손실률은 50.7%(1067억원)였다. 하지만 그 후 1주일 뒤인 19일까지는 손실률이 이보다 2.1%포인트 더 올랐다. 일부 상품은 손실률이 60%에 육박했다. 17일에 만기가 돌아온 5대 은행 판매 상품과 미래에셋증권의 ELS 손실률은 각각 56.1%·55.06%에 달했다. 지난 10일 만기가 된 키움증권 ELS 상품의 손실률이 51.72%인 점을 고려하면, 1주일 사이 손실률이 약 5%포인트 더 올라갔다.

中 내수·부동산 부진에 H지수 급락


손실 속도에 불을 당긴 건 불투명한 중국 경제다. 지난해 중국 내수시장이 부진하다는 소식에 홍콩 증시에 상장 된 중국 기업 가운데 50개 종목을 추려 산출하는 홍콩 H지수가 폭락했다.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삼은 ELS에 미친 영향도 컸다.

ELS는 기초가 되는 지수가 가입 대비 만기 시점에 일정 수준 이상이 돼야 원금을 받기 때문이다.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떨어진 만큼 원금 손실액이 커진다. 연초 만기(3년)가 돌아오는 ELS 상품의 가입 당시인 2021년 1~2월 홍콩H지수는 1만~1만2000였다. 하지만 이달 19일 홍콩H지수는 이것의 절반도 안 되는 5127.24까지 떨어졌다

김영희 디자이너


홍콩H지수 하락세는 올해 들어 더 가파르다. 지난해 마지막 거래일(지난달 29일 기준 5768.5)과 비교하면 현재 홍콩H지수는 11.1% 떨어졌다. 이 기간 전 세계 주가지수 가운데 두 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한 것은 홍콩H지수가 유일하다. 특히 중국 정부가 지난해 경제성장률을 발표한 17일엔 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3.94% 폭락했다. 지난해 중국 경제성장률(5.2%)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저효과 등으로 목표한 5%를 넘었지만, 올해는 성장률이 더 떨어질 거란 전망이 나와서다.

특히 중국 내 소비 부진과 부동산 경기 하강이 우려를 키웠다. 지난달 중국 소매판매액은 1년 전보다 7.4% 증가하면서 전월(10.1%)보다 상승세가 크게 둔화했다. 추운 날씨로 의류 소비만 일부 늘었고, 그 외 소비는 모두 부진했다.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았던 부동산 침체도 이어졌다. 지난해 중국 부동산 개발 투자는 9.6% 줄었고, 분양주택 판매 면적과 판매액도 각각 8.5%·6.5% 감소했다.


반등 못 찾는 中 경제…손실률 더 커질 수도


문제는 중국 경제가 올해도 반등 기회를 찾기 힘들다는 점이다. 갈수록 심화하는 미·중 갈등과 첨단 산업에서의 경쟁력 부재, 부동산 시장 침체, 지방 정부 부채 등이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과 금융기관들은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이 5%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JP모건과 골드만삭스는 각각 5%·4.8%로 전망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국제통화기금(IMF)은 4.7%·4.6%를 예상했다. 세계은행은 이보다 낮은 4.4%, 한국은행은 4.5%대를 기록할 거라 내다봤다.

당장 상반기에만 ELS 만기가 10조2000억원이 몰린 상황에서, 중국 경제의 계속된 부진은 대규모 손실 우려를 키운다. 홍콩H지수가 지금처럼 하락세를 이어갈 경우 손실률이 60% 넘어갈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박수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올해 중국 정부의 부양 정책은 불확실하고 대외 환경도 복잡해 (중국의 강점인) '내수시장'으로 버티기 어려울 수 있다”며 “앞으로 미국 금리 환경, 중국 경제지표 부진 등에 따라 홍콩H지수에 대한 (투자자의) 하락 베팅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남준 기자 kim.namju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