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린 임금 달라” 北 노동자 중국서 대규모 파업·폭동
1월 19일 일본 산케이신문은 북한 외교관 출신 탈북민 고영환 통일부장관 특별보좌역의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 지린성의 의류 제조, 수산물 가공 하청 공장에서 북한 노동자 수천 명이 연쇄 파업과 폭동을 일으켰다’고 보도했다.
유엔 회원국의 북한 노동자 수용은 2017년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제2397호에 따라 금지됐다. 이 결의에 따라 모든 유엔 회원국은 2019년 12월 22일까지 자국 내 모든 북한 노동자를 송환했다. 하지만 중국이나 러시아 등지에는 여전히 북한 노동자가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산케이에 따르면 현재 중국·러시아·중동·아프리카 등에 북한 노동자 9만여 명이 있다.
폭동은 지난 1월 11일 처음 발생했다. 북한 노동자들은 자신들을 감시하기 위해 북한에서 함께 파견된 간부를 인질로 잡거나, 공장 기계를 파괴한 것으로 파악된다. 폭동이 발생하자 북한은 현지 총영사 등을 급파해 진압에 나섰다고 한다. 산케이는 “북한이 파견한 노동자의 파업과 폭동 확인은 이번이 처음”이라 설명했다.
폭동의 원인으로는 임금 체불 누적이 꼽힌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측이 노동자들에게 “코로나19가 진정되면 귀국할 때 한꺼번에 주겠다”며 임금 지급을 미뤘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북한에 전쟁 준비 자금 명목으로 송금시켰다는 것이 산케이신문의 설명이다.
코로나19가 진정되고 북한과 중국 간 왕래가 재개되며 북한 노동자들이 이 사실을 알게 돼 분노하며 조업 거부에 들어가 사태가 커졌다고 한다. 산케이는 “이번 항의가 확산하면 김정은 정권에도 큰 타격일 것”이라 전했다.
북한 노동자들이 파업과 폭동에 나선 데는 열악한 노동 환경과 적은 임금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북한 노동자들 임금의 상당수가 북한 측 간부 등으로 흘러들어가 노동자들이 손에 쥐는 돈은 월 200~300달러(약 27만원~40만원) 수준이라고 한다. 노동자들은 좁은 컨테이너에서 살며 별도의 작업복 없이 일을 하고, 여권을 몰수당해 자유로운 외출조차 어려운 형편이다.
고 특별보좌역은 “북한 파견 노동자들은 현대판 노예라고 할 수 있다”며 “국제사회는 노동자들의 열악한 인권 상황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호소했다고 산케이는 전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다이소보다 싼 ‘테·쉬·알’…쿠팡도 긴장 - 매일경제
- 北 연일 전쟁 협박...남북 군사력 확인해보니 ‘깜짝’ - 매일경제
- IBK “비트코인 직접 투자하거나 이더리움 선물 ETF 공략할 것” - 매일경제
- 1·10 부동산 대책…수혜주는 바로 여기! [스페셜리포트] - 매일경제
- 디지털 아트 붐 이어갈 작가 어디 있나요 [ISSUE] - 매일경제
- 자만추 NO! 앱만추 시대!…데이팅 앱, 에브리띵 [스페셜리포트] - 매일경제
- 방은 따로, 거실은 같이 ‘코리빙’ ... 日진출·3000억 투자사 진화 ‘이 회사’[내일은 유니콘] -
- 새해 아파트 분양 쏟아진다 [김경민의 부동산NOW] - 매일경제
- 삼성, 갤럭시 S24 공개하며 ‘스마트 반지’ 갤럭시 링 깜짝공개 - 매일경제
- 지식재산제도 바로잡을 정당은 어디인가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