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원권 지폐 어디로?…현금 증가율 최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시중 현금 증가율이 19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화폐발행잔액은 181조947억원으로, 2022년 말(174조8천623억원)보다 3.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올해는 화폐발행잔액 증가율이 3%대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 말 화폐발행잔액 중 5만원권은 159조8천679억원으로 전체의 88.3%를 차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영호 기자]
지난해 시중 현금 증가율이 19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화폐발행잔액은 181조947억원으로, 2022년 말(174조8천623억원)보다 3.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 2004년 말 1.6%를 기록한 뒤 가장 낮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화폐발행잔액은 시중에 공급된 화폐의 잔액을 가리킨다. 한은이 발행한 금액에서 환수한 금액을 뺀 수치로, 환수율이 높아지면 잔액 증가율도 둔화하게 된다.
화폐발행잔액은 지난 2016년 말 97조3천823억원에서 2017년 말 107조9천76억원으로 100조원을 넘어선 뒤 2018년 말 115조3천895억원, 2019년 말 125조6천989억원 등으로 늘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유동성 공급이 확대되면서 2020년 말 147조5천569억원, 2021년 말 167조5천719억원 등으로 크게 늘었다.
화폐발행잔액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16년 12.2%, 2017년 10.8%, 2018년 6.9%로 점차 둔화하다가 2019년 8.9%로 반등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최고조에 달한 2020년에는 17.4%로 뛰었고, 2021년(13.6%)에도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이후 2022년 4.4%로 내린 증가율은 지난해 3%대까지 낮아졌다.
최근의 대면 상거래 정상화에 따른 한은의 화폐 환수율 상승이 화폐발행잔액 증가율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올해는 화폐발행잔액 증가율이 3%대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현금 보유의 기회비용이 높아졌고, 신용카드, 모바일 페이 등 비현금 지급수단 사용이 늘면서 현금 수요가 줄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화폐발행잔액 중 5만원권은 159조8천679억원으로 전체의 88.3%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4.5% 늘었다.
반면, 1만원권 잔액은 2021년 말 17조8천220억원, 2022년 말 16조3천751억원, 지난해 말 15조7천17억원으로 3년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말 비중은 8.7%였다.
5천원권 잔액도 2022년 말 1조4천390억원에서 지난해 말 1조4천384억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사진=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