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0 젊은층 “기독교가 저렇지 뭐”… 탈종교화 두드러져

박용미,이현성 2024. 1. 16. 03: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축소사회 홀리 브리지] 다시 쓰는 교회의 길
<2>‘교회 강타’ 축소사회
② 교회 신뢰도 하락 쓰나미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촉발된 축소사회는 교회 규모와 사역도 크게 위축시켰다. 전 세계적으로 팽배한 탈종교화 기류는 물론 기독교에 대한 무분별한 비난, 신뢰도 하락도 ‘축소교회’를 부추겼다. 세속화와 종교에 대한 실망으로 시작된 탈종교화는 10~20대 젊은 층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기독교에 대한 낮은 호감도 역시 좀처럼 회복 기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국내 종교인구 37%, 24년 만에 최저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와 목회데이터연구소가 2022년 성인 91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인의 종교 생활과 신앙의식 조사’에 따르면 종교인은 37%, 무종교인은 63%로 1998년 조사 이후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2017년 처음으로 무종교인 비율이 종교인 비율을 앞질렀고 이후 무종교인이 점차 증가하며 종교인과 격차를 벌이는 추세다. 특히 종교를 가진 20대는 5명 중 1명에 불과했다.

무종교인이 종교를 믿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종교에 관심이 없어서’(40%)와 ‘종교 불신과 실망 때문’(28%)이었다. ‘신앙심이 생기지 않아서’(18%) ‘얽매이기 싫어서’(1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목회데이터연구소 측은 “탈종교화 현상을 분석할 때 사회의 세속화 과정에서 종교가 소멸한다는 이론과 사람들에게 종교적 욕구는 있으나 종교가 이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다는 이론이 존재한다”며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현대인에게 어떻게 종교를 변증할 것인지, 시대 변화와 함께 세대별·계층별로 다양화되는 종교적 욕구를 어떻게 충족시킬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탈종교 현상은 한국뿐 아니라 미국 등 선진국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여론조사업체 갤럽이 미국 성인 101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하나님 천국·지옥 등에 대한 미국인의 종교적 믿음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응답자 중 ‘신이 존재한다’고 답한 이들은 74%(중복응답)로 2001년 응답률(90%)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이런 추세는 나이가 어릴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나 55세 이상은 83%가 ‘신이 존재한다’고 답했지만 18~34세는 59%만 신이 있다고 답했다.

실제 기독교인도 줄어들었다. 국내 개신교인 비율은 1998년 20.7%에서 2012년 22.5%로 소폭 증가했으나 2022년 15.0%로 떨어졌다. 미국 최대 교단인 남침례회(SBC) 역시 2022년 성도 수가 1322만명으로 가장 많았던 2006년(1630만명)과 비교하면 5명 중 1명이 교회를 떠났다.

기독교 이미지 ‘이기적’ ‘위선적’

최근 대학생 익명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 2022년 국민일보가 진행한 ‘종교별 이미지 지도’가 게시됐다. ‘이기적인’ ‘위선적인’ ‘배타적인’ 등 기독교 지형 안엔 부정적인 형용사들로만 점철됐다. 학생들은 댓글로 “대충 맞다” “기독교 이미지가 좀 저렇다”며 맞장구쳤다.

이처럼 반등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낮은 신뢰도도 교회에 타격을 주는 요인이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기윤실)이 지난해 발표한 ‘한국교회의 사회적 신뢰도 조사 결과 보고서’를 보면 국민 가운데 한국교회를 신뢰하는 비율은 21.0%에 그쳤다. 직전 조사(2020년) 수치(31.8%)보다 10.8% 포인트 떨어진 결과다. 반면 ‘신뢰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74.0%로 2020년에 견줘 10.1% 포인트 올랐다.


기독교는 ‘호감’과도 거리가 멀었다. 한국리서치가 지난달 발표한 ‘주요 종교 호감도’에서 기독교(33.3점)는 불교(52.5점) 천주교(51.3점)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다.

정재영 실천신학대학원대 교수는 15일 “신뢰를 잃은 교회의 구제와 봉사는 다른 사람들에게 전도를 위한 수단으로 받아들여 질 뿐”이라며 “사람들이 모델하우스 전단지를 거부하듯이 교회 전도지를 거부하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기독교인을 빌런(악역)으로 내세우는 영화·드라마들이 기독교 불신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수리남’ 마약 목사 전요환과 ‘D.P. 시즌2’의 비리 장군 구자운은 ‘권력자 빌런’으로 등장했고 ‘오징어게임’ 기도남과 복수에 눈이 먼 ‘마스크걸’ 김경자는 ‘서민 빌런’의 전형을 보여줬다.

윤영훈 성결대 문화선교학과 교수는 “극 중 기독교인이 빌런으로 등장하는 까닭은 대중에게 기독교인이 위선자로 인식되고 있는 탓”이라며 “한국교회는 미디어에 반영된 세간의 비판에 반발하기보다 수용하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지니 포기하지 아니하면 때가 이른다’(갈 6:9)는 말씀을 기억하자”고 권면했다.

박용미 이현성 기자 mee@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