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여 년 현직 경찰인데 요즘 유화 배웁니다, 왜냐면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박승일 기자]
필자는 현직 경찰공무원이다. '경찰관'이라고 하면 먼저 '몸을 쓰는 직업'이라는 생각이 든다. 실제로도 그렇다. 경찰관들은 취업을 준비하면서부터 시험에서 가산점을 위해 무도 자격증 하나씩은 가지고 입문하게 된다. 필자도 현재 태권도 3단이다. 그리고 직장생활을 하면서도 의무적으로 한 달에 몇 시간씩 무도훈련을 실시한다. 물론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내근부서도 마찬가지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가장 흔한 취미활동은 당연히 헬스다. 필자도 최소 10년 이상은 정기적으로 스포츠센터에서 운동해 왔다. 물론 몸짱이 되기 위해서는 아니었다. 사실 남들 다하니까 마지못해 하는 것도 있었다. 그렇게 20대와 30대를 보냈다. 그리고 현재 40대 후반이 되었다.
▲ 복싱 글러브 지난 3년 동안 코리안복싱클럽에서 운동하고 있다. |
ⓒ 박승일 |
그러다 3년 전쯤 찾은 취미활동은 '복싱'이었다. 그때 필자는 '내게 가장 잘 맞는 운동을 찾았다'며 주변에 자랑하곤 했다. 실제로 지난해에는 생활인 복싱대회에 출전하기 위해 준비까지 했었다. 그러다 부상에 따른 직장에서의 민폐(?)를 우려해 중간에 포기했다. 그만큼 경찰관에게 있어 운동은 필수이면서도 취미생활 그 자체였다.
그러다 지난해 11월 뭔가 새로운 취미생활을 시작하고 싶어졌다. 흔히 말하는 몸 쓰는 취미생활이 아니라 마음의 위로를 받을 수 있는 그런 취미생활 말이다. 그렇게 한 달여를 고민했다.
사실 20여 년 직장생활을 하면서 권태로운 것도 어느 정도는 있었지만 무엇보다 심리적 스트레스가 크게 다가왔다. 지난 17년 동안 내근업무를 하다, 최근 3년여 최일선인 지구대에서 마주하는 사건들이 녹록하지 않았다.
반복해서 만나는 변사, 술에 만취해 왜 싸움이 일어났는지도 제대로 말하지 못하는 폭행 현장, 가정폭력에 울음바다가 된 집 안 공기, 치매에 길을 잃은 노인의 하소연, 정신 질환으로 괴로워하는 청년과의 대화, 교제폭력으로 인한 여성의 흐느낌, 폭행 사건 현장에서 마주한 피해자, 매일 반복되는 주취자의 황당한 요구...
그래서일까. 경찰관이라는 직업 자체가 '육체노동'인 듯하면서도 '정신노동자'라는 말이 맞는 듯싶다. 112 신고 현장에서는 특히나 그렇다. 누군가의 이야기를 끊임없이 들어주는 일이 대부분이다. 그렇다 보니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도 많다.
▲ 취미 활동 새롭게 시작한 그림 그리기(유화) |
ⓒ 박승일 |
업무를 하면서 항상 누군가에게 끊임없는 위로의 말을 해야 했다. 계속 듣다보면 어느 때는 화가 나는 일도 있었지만, 동시에 참는 일도 많아지고 있었다.
필자는 경찰관이라는 직업 자체에 대한 자부심이 컸다. 취직할 때부터 '돈 받으면서 보람 있는 일을 할 수 있다니 이게 웬 떡인가' 싶었다. 사실 그랬다. 경찰관들 다수가 그렇다고 생각한다. 만약에 보람이 없다면 굳이 이 일을 할까 싶다.
그런데 언젠부턴가 직업적으로 얻는 '보람'보다 '스트레스'가 더 크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 같다. 요즘 말로 '번아웃'이라는 표현이 적절한 듯싶다. 그러다 보니 몸을 쓰는 취미보다 정서적인 취미활동을 찾고 싶었던 듯싶다.
그러다 문득 고등학교 때가 생각났다. 그때 필자는 일반대학을 준비하면서도 예체능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과 친하게 지냈다. 특히 주변에 미술을 전공하는 친구들이 많았다. 친구들이 화통을 메고 소매 자락에 묻어 있는 물감이 멋있어 보였다. 그래서 더욱 친하게 지냈던 것 같다.
그러다 문득 '나도 그림이나 그려볼까?', '제대로 한 번도 그려보지 않았는데 가능할까?', '경찰관이 그림을 그리러 다닌다고 하면 비웃지는 않을까?' 이런저런 생각이 많이 들었다. 그러다 문득 '생각만 하면 뭐 하냐. 일단 질러보자'는 결심을 하고 집에서 가장 가까운 미술교습소를 찾았다.
그때가 지난해 11월 말이었다.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입시반과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취미반이 함께 있었다. 취미반에 참여한 뒤 바로 그 자리에서 추가로 한 달 수업료를 결제했다. 매주 4시간씩 2회 꾸준히 그림을 그리고 있다. 그림 가운데서도 필자는 현재 유화를 그리고 있다.
▲ 자화상(유화) 그림을 배우기 시작하고 두달째가 되었다. |
ⓒ 박승일 |
처음 한 달은 대부분 '드로잉' 수업을 했다. 손도 그려보고 사물도 그려보면서 흥미를 조금씩 가지게 되었다. 무엇보다 서너 시간을 오롯이 집중하면서 아무 생각도 하지 않는 게 너무 좋았다. 그렇게 그림에 빠져들었다.
둘째 달부터는 유화의 기초에 들었갔다. 처음에는 풍경화를 그리고 지금은 필자의 자화상과 어머니 초상화를 그리고 있다. 물론 아직은 초짜 중에 초짜다. 그런데 너무도 흥미롭고 재밌다. 아마도 평생 안 해본 것을 도전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런 듯 싶다.
▲ 초상화 그림그리기 시작하고 세달째 되면서 어머니 초상화를 그리고 있다. |
ⓒ 박승일 |
그러다 요즘 생기가 돌기 시작했다. 업무는 물론이고 일상생활 자체가 바뀌기 시작했다. 미술 관련 책을 읽고 미술 관련 다큐 프로그램을 찾아보고 미술교습소를 가는 날이 즐겁다. 그렇게 세 달째가 되었다.
2024년도 벌써 한 달의 반이 지났다. 올해는 무엇인가 새로운 일을 도전해 보려는 직장인들에게 권한다. 현재 자신이 하고 있는 일과 전혀 관계없는 취미를 한번 가져보라고 말이다. 시작이 어렵지, 막상 도전해 보면 자신이 몰랐던 새로운 것을 찾을지도 모른다. 늦지 않았다. 지금 바로 문을 두드려보길 바란다.
덧붙이는 글 | 브런치스토리에도 게재했습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의자 없는 지하철' 상 주자? 이 나라에선 이미 실패한 실험
- 넷플릭스를 많이 본 죄? 저는 이렇게 됐습니다
- 1년 반 동안 긴 꿈을 꾸었다... 부디 행복하길
- 소통인가, 호통인가... 윤 대통령은 혼자만 옳다
- 한동훈 두번째, 이재명 열여덟번째... KBS의 노골적 편애?
- '서울의봄' 참군인을 찾아서 대전현충원에 모인 200여명
- 이틀 만에 5천만원..."살려주세요" 요청에 쏟아진 응원들
- 도쿄가 들썩... 일본인도 감동시킨 김대중 다큐의 마지막 장면
- "그날, 바다는 잔잔했어요... 분명히 모두 살 수 있었어요"
- 세 분 판사의 위대한 업적, 반드시 기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