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노랑부리저어새, 대전시 하천 준설이 답일까?
[글쓴이 :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낮은 물에서 먹이를 찾는 노랑부리저어새의 모습 |
ⓒ 이경호 |
철새지리정보 시스템에서 확인된 저어새 월동 지도를 통해 보면 저어새의 경우 대부분 해안을 끼고 있는 지역에서 월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내륙지역인 대전에서 노랑부리저어새가 확인되는 것 자체가 매우 놀라운 일이다. 노랑부리저어새는 천연기념물 205-2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매우 희귀한 겨울철새이다. 국내에 월동하는 노랑부리저어새는 약 400개체정도가 월동한다. 개체수가 적은 만큼 적극적이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 23년 12월 노랑부리저어새 분포현황 |
ⓒ 철새지리정보 |
근연종인 저어새와 함께 부리가 주걱이나 스푼모양을 닮은 생김새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영명은 spoonbill이라고 불린다. 저어새는 얼굴의 검은색이 많고 노랑부리어저새는 적다.
두 종은 모두 낮은 물에서 부리를 물솎에 넣고 노를 젓는 형태로 먹이인 물고기를 사냥한다. 부리의 감각기관만을 의존해 먹이를 찾는다. 약간은 어설픈 사냥모습이라 웃음을 감추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감각에 의존하는 사냥습성은 서식지 파괴와 개발 등의 환경변화에 적응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된 듯 하다. 때문에 저어새와 노랑부리어저새 두 종 모두멸종위기종이 된 것으로 보인다.
걸어다니면서 먹이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깊은 물이 있는 곳에서는 월동할 수가 없다. 하천의 지형적 특성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지난 3년 동안 노랑부리저어새의 월동이 확인된 만큼 '앞으로 하천의 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가 중요해졌다.
그런데 대전시는 2023년 11월 대전 3대 하천 중 총 33곳을 준설 할 계획을 발표했다. 대규모 준설로 사라질 모래톱과 자갈밭은 현재 저어새가 서식하는 서식처다. 월동중인 노랑부리저어새는 낮은 하중도 주변에서 먹이를 취식하고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결국 대규모 준설은 저어새의 월동지를 빼앗아 가는 것이다. 저어새 뿐만 아니다. 대전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2월 13일 대규모로 월동하는 멸종위기종 흰목물떼새를 갑천에서 확인했다. 흰목물떼새가 대규모로 월동중인 지역 역시 자갈밭이었다.
대전시 계획대로 하천이 준설된다면 결국 노랑부리저어새나 흰목물떼새는 월동을 포기해야 한다. 대규모 준설을 비롯한 하천개발은 지양해야 한다. 한강이나 청계천 같은 하천이 아니다. 지역별로 차이가 있고, 특성이 있다. 이런 특성이 유지되어야 이곳에서 살아왔던 생명들도 지속가능한 서식이 가능하다.
실제 준설의 홍수예방효과가 없다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나와있다. 하천 전구간에 일부 준설을 하더라도 수위가 내려가지 않는 다는 것이다. 이런 부정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제 토사를 걷어내 홍예방효과가 있다 해도 단기적인 대책에 불과하다.
하천의 경우 퇴적, 운반, 침식이 발생하면서 특정지역에는 토사가 계속 쌓인다. 이 때문에 준설을 하더라도 1~2년 정도의 매우 단기적인 대책밖에 되지 않는다. 매년 준설할 것이 아니라면 준설은 근본적인 홍수 대책이 되지 못한다. 근본적인 대책도 되지 않는 준설은 노랑부리저어새 흰목물떼새의 서식처만 훼손하는 꼴이 되는 것이다.
하천에 설치 되었지만 용도를 다해 필요가 없어진 횡단구조물(보, 낙차공)을 철거하는 것이 홍수효과가 더 높다. 더욱이 횡단구조물 때문에 준설의 효과가 없어지기도 한다. 준설을 하더라도 하류에 횡단구조물이 잇으면 준설의 의미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횡단구조물 만큼은 홍수위가 올라와 있기 때문에 상류의 준설은 무의미 해지는 것이다.
대전의 3대하천의 경우 평규적으로 300m마다 보나 낙차공이 설치되어 있어 준설은 의미가 없다. 결국 보를 철거하는 것이 홍수를 예방하는 근본적이고 효과적이 대책이다. 횡단구조물이 철거되면 새들 뿐만 아니라 물고기들의 이동까지 자유로워 질 것이다. 결국 생태계도 살고 홍수예방 효과도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천의 다양한 지형이 유지되어야 생택계의 균형이 이루어진다. 준설로 획일화된 지형을 만드는 위험을 생명들은 감당하지 못한다.
더욱이 도시의 침수는 하천이 넘쳐서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결국 도시 침수를 막기 위해서는 빗물순환 시스템 등을 도시에 도입하고 반영하는 것이 핵심이다. 도시계획 전체를 보고 판단하고 적용하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이런 근본적인 대안 마련과 실행은 시행착오조차 용납하지 않는 것이 국내의 현실이다.
도시계획과정에서 홍수터나 하천유역을 확보하는 방안도 있다. 홍수의 대책이 준설만 있는 것은 결고 아니다. 홍수 예방을 위해서는 도시 전체의 구조를 살펴야 한다.
대전시는 준설은 여러 대안들과 현실적인 대책 등을 뒤로하고 선택은 쉽고 효과는 가장 적은 대규모 토목사업을 선택한 꼴이다. 전세계적으로는 기후위기나 환경문제의 해결책을 자연기반해법을 찾고 있다. 토목이나 시설설치로 홍수나 자연재해를 예방하는 것은 구시대적인 페러다임이 되었다. 자연을 다시 회복시키고 복원을 통해서 재해에 대비하고 생태와 환경문제까지 해결하는 세계적인 흐름과도 역행하는 선택이다.
▲ 갑천 흰목물떼새 확인모습 |
ⓒ 이경호 |
대전에서도 이미 2023년 태봉보를 철거했다. 생태회복을 위해 철거 했지만 홍수위가 낮아지는 홍수예방ㅎ효과가 부차적인 목적도 달성했다. 효과가 입증된 대책을 놔두고 불필요한 토목사업을 벌이는 형국이다. 대전시는 하천준설계획만 발표하고 계획이 아직 공개되고 있지 않다. 대규모 준설은 공론화 절차나 밀실에서 진행하는 것은 지양 해야 한다.
▲ 태봉보가 철거된 모습 |
ⓒ 이경호 |
대전시는 3년째 월동지로 갑천을 선택한 노랑부리저어새의 지속적인 월동을 위한 정밀조사와 서식처 보전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지금 중요한 건 속도가 아니다. 제대로된 방향이다. 하천은 하천의 기능과 특성을 유지하는 자연기반해법을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기를 기대한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활쏘기가 가르쳐 준 역설... 취업도 이렇게 해보려 합니다
- 법원 왜? "바이든-날리면 명확치 않지만...허위보도"
- [단독] KBS, '이선균 보도' 삭제 거부 "최대한 절제"
- 경비원 숨진 강남 아파트, 이번엔 44명 해고... "내 인생 마지막 직업인데"
- 일본 기업, 5000만 원 안 주려고 서울지점 폐쇄했나?
- 한동훈보다 실세? 이준석 "이철규 통해 공천받는다는 말 나와"
- 윤 대통령은 대통령실이 하는 일을 모른다
- [사진으로 보는 일주일] 꽃이 짓밟혔다 "살려주세요!"
- 대검, '총선 출마 강행' 김상민 검사 중징계 청구
- 갑자기 펑! 우리 이웃에 살상 무기가 묻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