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꽁치구이' 조롱까지…이준석 아무리 긁어도 한동훈 무대응, 왜

심새롬 2024. 1. 13. 09: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의 요즘 저격 상대는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다. 이 전 대표는 12일 KBS 라디오에 나와 “‘우리가 세계 최고의 꽁치구이를 한다’ 이래 가지고는 횟집에 손님을 모을 수 있겠냐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며 “한 위원장이 지금 김건희 특검법에는 전향적인 발언을 내놓지 못하고 보조 반찬만 건드리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한 위원장이 대통령실과 다른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걸 ‘횟집 상차림’에 빗대 비판한 것이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연합뉴스


이 전 대표는 전날 뉴시스 인터뷰에서도 “한 위원장이 김건희 여사나 윤석열 대통령과 관계를 생각해서 할 말을 하지 않으면 선거에 진다”며 “외람되지만 제2의 황교안이 된다”고 말했다. 21대 총선에서 민주당에 163석을 내주고 84석으로 참패한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대표와 한 위원장은 모두 검사 출신이다.

이 전 대표는 특검이 아닌 이슈에서도 ‘한동훈 때리기’에 매진한다. 그는 지난 11일 YTN 인터뷰에서 한 위원장이 부산 자갈치시장에서 숫자 ‘1992’가 크게 적힌 티셔츠를 입어 화제가 된 걸 거론하며 “롯데자이언츠가 1992년 이후 우승을 못 했다는 것이 어떤 분들한테는 조롱의 의미”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이어 부산 출신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을 거론하며 “부산도 부산의 지도자를 원하겠지만, (한 위원장은) 아마 부산 다선 의원들을 다 자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을 두고 국민의힘에선 “안 그래도 영남 중진 분위기가 최악인데, 당 상황에 밝은 이 전 대표가 일부러 기름을 들이부었다”(재선 의원)는 평가가 나왔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경남 양산시 통도사를 찾아 조계종 종정예하 중봉 성파대종사를 예방하고 있다. 뉴스1


정작 당사자인 한 위원장은 이 전 대표의 잇따른 공격에 무반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지난달 26일 “정치는 게임과 다르다”는 취지의 취임 수락 연설을 두고 “이 전 대표를 겨냥한 것”(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이란 해석도 나왔지만, 그게 전부였다. 한 위원장은 다음날 ‘이 전 대표의 세대포위론을 어떻게 보느냐’는 기자들 질문에 “나이 기준으로 갈라치기 하는 건 누군가에겐 정략적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을지 몰라도, 세상에는 해로울 수 있다”는 원론적 답변으로 충돌을 비껴갔다.

돌이켜 보면 지난해 10~11월에도 한 위원장의 기조는 ‘무대응’이었다. 당시 이 전 대표가 한 위원장을 “긁지 않은 복권”, “여당에 천사 같은 존재”, “군계일학” 등으로 칭하며 “정계 입문이 빠를수록 좋다”고 부채질했지만, 한 위원장은 한 번도 ‘이준석’ 이름 석 자를 입에 올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정치 신인인 한 위원장 입장에서는 총선이 임박한 때에 굳이 복잡하게 전선을 칠 필요가 없다”며 “차라리 ‘내 상대가 되지 않는다’는 스탠스가 유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개혁신당(가칭) 정강정책위원장은 맡은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개혁신당 10대 기본정책 중 첫 번째로 '공영방송의 사장 선임구조 및 방송산업의 규제 완화'를 발표하고 있다.뉴스1


다만 보수층이 환영하는 ‘젊은 엘리트’ 이미지가 겹친다는 점에서 두 사람의 경쟁은 필연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서울법대를 나온 한 위원장(1973년생)과 하버드대를 졸업한 이 전 대표(1985년생)는 소띠 띠동갑이다. 윤 실장은 “‘80년대생 목동 키즈’ 이준석과 ‘강남 8학군 X세대’ 한동훈의 경쟁은 유권자 입장에서 무척 흥미를 끄는 구도”라며 “장기적으로는 과거 YS·DJ처럼 서로 ‘윈윈’하는 경쟁자 관계가 모두에게 이득일 수 있다”고 말했다.

심새롬 기자 saerom@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