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리그 중계권 시리즈③] 콘텐츠 생산 다양화, 파워 크리에이터 등장 기대

안희수 2024. 1. 12. 17: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프로야구 뉴미디어 중계권 사업자 변경으로 더 많고 다채로운 콘텐츠 생산이 기대된다. 사진은 프로동네야구(맨 아래) 스톡킹(가운데 오른쪽) 야신야덕(가운데 왼쪽) LG 트윈스 공식 채널 로고, 이대호[RE:DAEHO] 채널 화면 캡처

KBO리그 유무선(뉴미디어) 중계 사업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OTT(Over The TOP·인터넷동영상서비스) 플랫폼만 보유한 CJ ENM이 중계권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십수 년 동안 포털 사이트를 통해 무료로 중계를 시청했던 야구팬은 혼란에 빠졌다. 한국야구위원회(KBO)와 야구단은 콘텐츠 저변 확대를 도모할 계기로 보고 있다. 본지는 3회에 걸쳐 프로야구 유무선 중계권 선정 상황과 전망을 짚어본다. 

현재 미국 스포츠는 중계권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유력 케이블 TV 지역 스포츠 네트워크(RSN) 밸리 스포츠를 운영했던 다이아몬드 스포츠그룹이 파산 절차를 밟고 있기 때문이다. 계약 관계에 있는 메이저리그(MLB) 미국프로농구(NBA) 구단들은 중계권료를 제대로 받지 못해 난처해졌다.

다이아몬드스포츠그룹의 파산은 미디어 환경 변화와 맞물려 있다. 스포츠팬의 구매 심리가 지상파·케이블 TV에서 OTT로 옮겨가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기왕 유료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면, 접근성이 좋은 유무선 플랫폼이면서도 다른 콘텐츠도 함께 즐길 수 있는 OTT를 선호하고 있다. 

OTT는 현재 북미 최대 스포츠 중계권 계약 큰손으로 자리매김했다. 아마존 프라임은 미국풋볼리그(NLF) 목요일 경기 중계권을 11년 동안 계약, 100억 달러(13조1600억원)을 썼다. 유튜브도 NFL 일요일 경기 중계권을 7년 계약하며 연평균 20억 달러(2조6300억원)를 냈다. 
국내 스포츠도 이미 OTT 독점 중계 시대가 열렸다. 쿠팡플레이가 2022년 4월 한국프로축구연맹과 국내 스포츠 최초로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K리그 뉴미디어·온라인 중계권을 보유했다.

그동안 포털 사이트에서 무료로 경기를 시청하던 이들 사이에선 볼멘소리가 나왔다. 업계 관계들도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지 못했다. 한 시즌(2023)을 보낸 현재, 쿠팡플레이는 축구팬 호평을 받고 있다. 중계와 하이라이트 영상 퀄리티가 크게 향상됐고, 프리뷰·리뷰쇼 시청 조회 수도 높다. 

OTT가 스포츠 중계에 진입하며 유료 시청에 대한 저항감도 과거보다 줄어들었다는 평가다. 진짜 스포츠팬들은 더 다양하고 획기적인 콘텐츠를 즐기기 바란다. 

프로야구 중계도 지난 8일 OTT 티빙을 보유한 CJ ENM이 유무선 중계권 사업자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한국야구위원회(KBO)와 CJ ENM은 다양한 모델과 정책을 마련해 중계 유료화를 우려하는 야구팬의 거부감을 줄이려고 한다. 특히 이전 사업자(통신·포털 컨소시움)와 달리 경기 영상 소스 활용폭을 넓혀, 더 많은 콘텐츠가 생산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동영상 공유 서비스 유튜브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상황, 영상 활용 제한 탓에 콘텐츠 제작에 한계가 있었던 야구단 자체 채널은 성장 동력이 생겼다. 그동안 주로 경기 전·후 인터뷰나 훈련 모습, 더그아웃 영상으로 채웠던 콘텐츠의 주제가 다양해질 수 있다. 

수년 동안 구단 채널 영상을 제작한 A구단 담당 프로듀서(PD)는 "CJ ENM이 유무선 중계권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뒤 영상 기획 회의가 많아진 게 사실이다. 누구나 영상 소스를 활용할 수 있다면 이전보다 훨씬 많은 크리에이터가 채널을 만들 것이다. 경쟁이 치열해질 게 분명하다. 높아지는 야구팬의 눈높이에 부응하기 위해 더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 

B구단 담당 프로듀서는 "야구단이 자생력을 키우고 있는 상황에서 유튜브가 수익 사업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 커질 것이다. 사람(시청자)이 몰리면, 돈도 몰린다. 자체 채널 제작진은 현장에 있기 때문에 일반 크리에이터보다 더 높은 퀄리티의 콘텐츠를 요구받는다. 야구팬뿐 아니라 구단의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한 노력이 영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했다. 

자체 채널 구독자 수가 가장 많은 구단은 21만명을 보유한 LG 트윈스다. 야구는 인기에 비해 관련 콘텐츠의 파워 유튜버, 인기 채널이 많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구독자 20만명 이상 보유한 채널은 주로 아마추어·사회인 야구를 기반으로 체험 콘텐츠를 만들고 있었다.

그라운드 영상을 활용할 수 있게 되면, 일반 팬들도 유튜버가 될 수 있다. 쏟아지는 콘텐츠 속에서 구독자를 확보하고 수익을 올리려면, 차별화가 필요하다. 밈(meme·짧은 온라인 유행어)이나 챌린지가 주목받으면 잠재 야구팬의 관심을 끌어낼 수 있다. 콘텐츠 경쟁 속에서 50만, 100만 유튜버가 등장할 수 있다. KBO가 이번 중계권 사업자 선정을 통해 노리는 게 바로 이런 현상이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