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마켓처럼 AI 사고팔 수 있다…오픈AI 'GPT 스토어' 오픈 [팩플]
오픈AI가 ‘인공지능(AI) 판 앱 마켓’을 내놓았다. 오픈AI에는 시장 확장의 기회가, 다른 AI 기업에는 생존의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 AI 스타트업들의 대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
무슨 일이야
10일(현지시간) 오픈AI는 챗GPT 유료 가입자들 대상 GPT 스토어를 공개했다. GPT스토어는 기업·개인이 오픈AI의 GPT 모델 기반으로 개발한 맞춤형 챗봇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지난해 11월 오픈AI는 코딩을 할 줄 모르는 개인도 손쉽게 챗봇을 개발할 수 있는 도구(GPTs)를 선보였는데, 이렇게 만든 챗봇을 사고팔 수 있는 장터까지 내놓은 것이다.
당초 오픈AI는 GPT스토어를 지난해 11월 선보일 예정이었다. 하지만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 해고 사태 여파로 연기했다. 오픈AI에 따르면 이미 300만 개가 넘는 GPT기반 맞춤형 챗봇이 개발됐다. 오픈AI는 “1분기 내로 GPT 스토어 제작자를 위한 수익 모델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이게 왜 중요해
◦ ‘대(大) 챗봇시대’ 열렸다: 고도의 AI 기술 없이도 개인이 챗봇을 만들고 판매 할 수 있게 되면서, 기존의 AI 기업들은 GPT 스토어에서 쏟아질 서비스들과도 경쟁하게 됐다. 이 때문에 GPT스토어에서 판매될 서비스들이 AI 스타트업들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디인포메이션은 “AI 스타트업들이 심판대 앞에 섰다”고 분석했다.
◦ 구글‧애플의 새로운 경쟁자?: GPT 스토어는 개인이 직접 개발해 만든 상품을 사고팔 수 있다는 점에서 애플이나 구글의 앱마켓과 유사하다. 오픈AI는 GPT 스토어를 통한 수수료 추가 수익도 얻을 수 있게 됐다. 현재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등 앱마켓 사업자들은 앱 개발사에 최대 30%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오픈AI는 구글과 같은 기업과 경쟁을 목표로 성장하고 있다”며 “새로운 스토어를 통해 기업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변하고자 한다”고 평가했다. 시장조사업체 비즈니스오브앱스에 따르면 구글 플레이스토어의 연간 매출액은 2022년 4230억달러(약 560조원)로 추정된다.
한국 스타트업 대응은
◦ 고도화‧차별화로 승부: 국내 AI 스타트업들은 "아직까진 해볼 만하다"는 반응이다. GPT 스토어에서 고도화‧차별화된 서비스가 나오긴 쉽지 않을 거란 이유에서다. 특히 특정 산업에 맞춘 AI를 만들기는 어렵다는 게 이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파인튜닝(미세조정), 별도의 데이터 학습이 필요한데, 오픈AI에서 제공하는 자원만으로는 이를 만들기 힘들기 때문이다. 리걸테크 스타트업 BHSN의 임정근 대표는 “도메인(특정 분야)에 특화돼 있고 고도화된 전문 서비스는 GPT 스토어에서 출시되는 앱만으로 대체하거나 보완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웹툰 AI를 만들고 있는 리얼드로우의 최상규 대표는 “오픈AI의 이미지 생성 모델 ‘달리’로는 웹툰을 생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는 “개별 로컬(지역) 시장의 수요를 더 잘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 거인의 어깨를 타고: 위기는 곧 기회. GPT 스토어를 이용해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겠다는 스타트업도 있다. 경량화 거대언어모델(sLLM)을 개발한 포티투마루는 GPT 스토어에 자사의 챗봇 서비스인 ‘사이트버니’를 올릴 준비를 하고 있다. AI 개발 플랫폼을 운영하는 신정규 래블업 대표는 “GPT 스토어가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면 오픈AI와 경쟁하려는 다른 스토어가 많이 등장할 것”이라며 “다양한 기업이 나올수록 우리 고객이 많아지는 것이기에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
그럼에도 필요한 것
그럼에도 국내 스타트업들은 ‘공룡’ 오픈AI에 맞설 수 있는 각종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픈AI가 GPT라는 LLM부터 챗GPT라는 서비스에, 수수료를 받는 플랫폼까지 생성AI 관련 수직 계열화를 완성했기 때문이다. 국내 AI생태계 내에선 지원 대부분이 ‘네카엘스크’(네이버, 카카오, LG, SKT, KT 등 초거대 AI 개발 5개사) 등 대기업 중심 LLM‧반도체 경쟁에 쏠려 있다는 지적이다. 민명기 로앤굿 대표는 “LLM에만 집중하다가 앱을 제대로 키우지 못하면 해외 앱들이 들어와 시장을 모두 빼앗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엔비디아의 GPU(그래픽처리장치)가 아닌 다른 AI 반도체로도 AI를 개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SW)를 만든 모레의 조강원 대표는 “특정 부분에 집중하는 것이 아닌, 전체 AI 가치사슬 관점에서 균형 잡힌 지원‧투자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AI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 공급도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AI 아바타를 개발하는 딥브레인AI의 한종호 부사장은 “AI 특성상 많은 데이터를 학습시켜야 하는데, 데이터를 구하기도 너무 어렵고 데이터를 구매하는데도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며 “데이터를 정부에서 제공한다면 비용적 측면과 기술 고도화 측면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김남영·김인경 기자 kim.namyoung3@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탕웨이 "김태용과 이혼? 절대 불가능…딸보다 남편이 먼저" | 중앙일보
- "빚내서라도 보내라" "8명 중 3명 틱장애" 영유 엇갈린 시선 | 중앙일보
- 알몸에 박스 걸치고 압구정·홍대 활보한 20대 근황 | 중앙일보
- '불륜' 일본 배우 근황…여배우 3명과 산속 오두막 동거 | 중앙일보
- 신기한 '정치 MBTI'…와, 내가 이 사람 닮았어?
- 봉준호 "故이선균 수사 유출, 경찰 보안 한치의 문제 없었나" | 중앙일보
- 양육비 밀린 김동성, 고소당하자…"아빠 살아야 애들도 살지" | 중앙일보
- ‘73년생 정치 신인 한동훈’ 이 길 안 가면 조국2 된다 | 중앙일보
- 가수 박효신 전입신고 아파트, 79억 강제경매 나왔다…무슨 일 | 중앙일보
- 산유국 91년생 '훈남 왕자' 열흘 초호화 결혼식…신부는 누구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