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AI 도입해 경계작전 땐 병력 3분의1 이하까지 줄일 수도" [AI 미래철책]

이근평 2024. 1. 10. 05: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군 당국이 ‘인공지능(AI) 활용 경계작전 혁신체계’ 시범사업에 공을 들이는 궁극적 배경은 저출산과 무관치 않다. ‘인구절벽’ 시대에 해마다 병력도 줄어드는 가운데 철책 방어의 효율성을 꾀하는 특단의 조치가 더는 늦어져선 안 된다는 문제의식이 한 몫 했다.

지난해 12월 26일 오후 경기도 파주시 육군 1사단 신병교육대대에서 입영장정 대표가 선서하고 있다. 육군은 병역자원 감소와 첨단과학기술을 고려한 군 구조 혁신 차원에서 내년부터 서부전선 전방사단인 1사단과 9사단, 25사단의 신병교육대대의 임무를 해제한다. 연합뉴스

국방부에 따르면 2035년까지는 상비병력 50만 명 수준을 간신히 유지할 수 있지만, 이후 2차 인구절벽이 찾아오면 병역자원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입영 대상이 되는 병역자원은 2020년 33만 4000여명이었는데, 2035년 22만 7000여명까지 줄어들 전망이고, 2041년부터는 약 13만 명으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계작전에 투입되는 병력도 현재 수준을 유지하는 게 어려워진다. 지금은 동·서 전 철책 248㎞에 대한 경계작전에 약 10만 명이 투입되고 있다. 전체 약 50만 명 병력 중 5분의 1에 달하는 수치다.

군 당국이 AI 도입 시범사업을 진행하면서 정식 도입 목표를 2030년대로 잡은 이유도 이런 고민과 맞닿아 있다. 2030년대 중반부터 병역 자원이 급격히 줄어드는데, 지금처럼 10만 명이나 전방에 투입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경계작전과 관련, 획기적 체질개선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미국-멕시코 국경 장벽 모습. AFP=연합뉴스

이에 국방혁신4.0을 새 국방 과제로 삼은 현 정부는 출범 후 본격적으로 AI 기반의 유·무인 경계작전 개념 연구에 돌입했다. 미국 등 군사 선진국 사례를 참고하기도 했다.

이스라엘 사례에서도 힌트를 얻었다고 한다. 이스라엘은 시리아와 접경 지역에 감시센터를 세워 여군 2명이 약 25㎞를 맡는 식으로 경계 임무를 펼치고 있다. AI를 기반으로 레이더와 카메라 각 10여 개에서 탐지된 정보가 무인기 등과 실시간 연동돼 가능한 일이다.

특히 해당 접경 지역의 지형이 한국의 DMZ와 유사한 산악 지대라는 점을 군은 주목했다. 지난해 10월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기습에 뚫린 가자지구와의 접경지대에도 스마트 펜스가 설치돼 있긴 했지만, 사람과 장비의 접근이 용이한 평지로 돼 있다는 점이 결정적으로 다르다. 이스라엘이 첨단장비에 지나치게 의존해 경계 병력을 대거 다른 곳으로 배치한 것도 기습에 당한 주된 원인이었다.

군 당국은 AI를 도입해 경계작전에 투입되는 병력을 3분의 1 이하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중대급 100여명이 대대급 500여명의 임무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동시에 병력의 효율적 운용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군 당국은 기대한다. AI 도입으로 1개 대대가 하는 경계작전을 1개 중대가 맡게 되면 나머지 중대들은 전·평시를 대비해 타격·교육 등 훈련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다.

병력 절감뿐 아니라 경계력 향상을 위해서도 AI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군 당국의 주장이다. 군 관계자는 “지난해 한 정책연구 결과, AI 기반 체계에서 경보 신뢰성을 좌우하는 오경보 확률은 1% 수준에 불과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시범부대의 중대장 김태완 대위는 “AI의 도움을 받으면 경계작전에 따른 장병들의 피로도 역시 줄어들 것”이라며 “이는 정예 병력의 전투력 상승과도 연관돼 미래전을 대비하는 데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근평 기자 lee.keunpyu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