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음저협, 음악 저작권료 징수 4,000억 돌파 "1조 원 저작권 시장 개척할 것"

이정범 기자 2024. 1. 9. 18: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음저협의 한해 음악 저작권료 징수액이 4,000억 원을 돌파했다.

9일 한국음악저작권협회(회장 추가열, 이하 한음저협)는 2023년 한 해 동안 4,061억 원의 음악 저작권료를 징수하고 3,887억 원을 분배하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 음악 수준에 걸맞은 저작권 제도를 확충하고 징수 확대를 지속하겠다"라며 "향후 1조 원 이상의 저작권 시장을 개척해 저작권 강국으로서 입지를 굳혀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엑스포츠뉴스 이정범 기자) 한음저협의 한해 음악 저작권료 징수액이 4,000억 원을 돌파했다.

9일 한국음악저작권협회(회장 추가열, 이하 한음저협)는 2023년 한 해 동안 4,061억 원의 음악 저작권료를 징수하고 3,887억 원을 분배하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4%, 18% 증가한 수치로, OECD 국가 중 최저 관리수수료율인 평균 9.79%를 유지하며 이룬 결과다.

한음저협은 이번 성과를 협회 설립 60주년을 맞이해 이룬 쾌거라고 자평했다. 더불어 저작권 개념이 희미했던 시절부터 노력해 온 원로 작가들부터 현재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젊은 작가들에 이르기까지 51,000여 명의 협회원이 함께 이룬 성과라고 강조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를 중심으로 한 정부의 저작권 침해 단속 강화 및 저작권법 개정이 없었다면 이루어낼 수 없었던 성과라며 정부에게도 공을 돌렸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CD와 같은 음반 제작 시 발생하는 복제 사용료가 전년 대비 46% 증가한 1,198억 원을 기록하는 등 두드러지는 성장을 보였다. 이는 세계적인 K-POP 시장의 발전과 다양한 신규 아티스트의 등장, 복합 결합 상품 출시(예 : 포토카드) 등을 통해 달성된 성과로 분석된다.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의 성장으로 전송 분야에서도 전년 대비 144억 원 증가한 1,721억 원을 징수했다. 그리고 콘서트, 노래방, 매장 음악 등 공연 사용료에서는 코로나19의 영향을 극복하고 506억 원을 징수했다. 해외 사용료 분야에서도 K-POP 소비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53억 원 증가한 273억 원을 징수했다.

방송 분야에서는 방송사들과 계약 문제로 인한 부침을 겪어 299억 원을 징수했다. 이 분야에서는 목표 예산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한음저협은 정부 및 사업자와 지속적인 실무 논의를 통해 방송 음악 저작권료를 정상화한다는 방침이다.

추가열 회장은 취임 후 2년 동안 1,176억 원의 징수 성장을 이루며 4,000억 원 징수 시대를 연 것에 대한 소감을 전했다. 그는 "대한민국 음악 수준에 걸맞은 저작권 제도를 확충하고 징수 확대를 지속하겠다"라며 "향후 1조 원 이상의 저작권 시장을 개척해 저작권 강국으로서 입지를 굳혀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한편, 한음저협은 국내 최대 음악 저작권 신탁 단체로, 약 51,000명의 작사가와 작곡가의 저작 재산권을 신탁 관리 중이다.

사진 = 한음저협

이정범 기자 leejb@xportsnews.com

Copyright © 엑스포츠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