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 고장에 얼어붙은 오피스텔…300세대에 "두 달 기다려라"

장서윤, 김대권 2024. 1. 9. 18: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앙난방이 고장난 서울 마포구 공덕동의 한 오피스텔에 임시로 온풍기가 놓여져있다. 주민 왕모(27)씨는 ″추워서 침대 위에서 이불을 덮고 생활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서윤 기자

서울 마포구 공덕동의 S오피스텔에 거주하는 왕모(27)씨는 8일째 침대 위 이불 속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2일 중앙난방이 작동하지 않으면서 방이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9일 찾은 왕씨 오피스텔은 침대 아래쪽에는 온풍기를 틀어 놓고, 위에는 두꺼운 솜이불과 일을 하기 위한 간이 책상이 놓여있었다. 그래도 실내온도는 17도. 왕씨는 “여기는 남향이라 그나마 17도지만 북향집은 10도까지 내려갔다고 한다. 옆집 사람은 아예 호텔 방을 잡고 나갔고, 본가로 피신한 이웃도 있다”고 말했다.

9일 오전 중앙난방이 고장난 서울 마포구 공덕동 오피스텔 실내 온도는 9.5도였다. 김대권 기자


아래층 임모(29)씨 집은 온도계가 9.5도를 가리키고 있었다. 거실에만 미약한 온기를 느낄 수 있었고, 방 안은 양말을 신어도 발이 시렸다. 임씨는 “잘 때는 온수 매트를 틀지만 공기는 여전히 차가워 코가 시리다”며 “창문이 달린 바깥방은 히터를 틀어도 소용이 없어 거실에서만 생활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씨는 집에 온기를 더하려고 가열식 가습기도 틀고, 주전자로 따뜻한 물을 데워 마시며 체온을 유지하고 있었다.


‘보일러 고장’ 300세대가 떨어 “부품 주문제작, 두 달 기다려라”


중앙난방이 고장난 서울 마포구 공덕동 오피스텔 세대 문앞에 난방기구가 배달돼있는 모습. 김대권 기자
새해 이튿날 S오피스텔 중앙난방 보일러 2개 중 저층부(3~13층) 약 300세대를 담당하는 보일러가 고장 나면서 벌어진 일이다. 입주민들이 제보한 사진에 의하면 세대별 실내온도는 9~14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난방이 나오지 않는 오피스텔 문 앞에는 입주민이 주문한 단열 뽁뽁이, 방한 텐트, 온풍기 등이 배달돼있었다.

오피스텔 관리사무소는 입주민들에게 “보일러 기계가 노후화돼 고장 난 부품을 주문 제작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난방 재개하려면 앞으로 두 달이 소요된다”고 안내했다. 운영위원회는 온풍기·온수매트 등 개별 난방기기 구매 비용으로 20만원씩 지원하겠다고 밝혔지만, 입주민 100여 명은 “주거권을 심각하게 침해당했다”며 보상 요구를 위한 공동 대응을 예고한 상황이다.

서울 마포구 공덕동의 한 오피스텔에 중앙난방이 고장나 저층부(3~13층) 300여 세대가 난방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관리사무소는 ″2월 말까지 수리하겠다″며 ″입주민에게 20만원씩 지원하겠다″고 안내문을 붙였다. 장서윤 기자

입주자 장모씨는 “운영위원회 대부분이 실거주자가 아니어서 세입자들만 고스란히 피해를 보고 있다”며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80만원·관리비 30만원을 내고 거주 중인데, 벌써 며칠간 외부 숙소에서 지내고 있다”고 말했다. 입주자 정모(34)씨도 “20만원으로 전열 기구를 산다고 해도 난방에는 역부족”이라며 “온열 기구를 틀면 전기세도 수십만원 나오지 않냐. 이걸 왜 우리가 부담하냐”고 성토했다.

이에 대해 운영위 측은 “운영위는 관리사무소 요구를 받아 이를 심의·의결하는 기구일 뿐 먼저 대책을 만들진 않는다”며 “장기수선충당금은 고장 난 시설을 수리하기 위한 비용이지, 지원이나 보상에 쓸 수 있는 금액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관리사무소 측은 “최선을 다해 추가 보상을 검토 중”이라면서도 “예산이 한정적이라 (입주자) 요구를 다 들어줄 수는 없을 것 같다. 지원 방안을 최종 결정하는 주체는 운영위”라며 서로 책임을 떠넘겼다.

중앙난방이 고장난 서울 마포구 공덕동 오피스텔 세대 내 온도조절기에 실내온도가 11.5도로 표시돼있다. 사진 독자 제공


임차인 대부분인 오피스텔…운영 갈등 계속되는 이유


사진 pxhere
오피스텔을 둘러싼 관리사무소·운영위원회와 입주민간 갈등 문제는 꾸준히 제기돼왔다. 오피스텔은 아파트와 달리 임차인이 거주하는 비율이 높고, 운영위는 실제 거주하지 않는 임대인으로 구성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6월 서울 서대문구 120세대 규모 오피스텔에서 승강기 추락 사고가 발생했지만 아무런 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주민들이 관리사무소와 건물주를 고소하는 일도 있었다. 주민들은 매달 10~20만원씩 관리비를 냈지만, 사무소에서 각 세대에 엘리베이터 교체 비용 100만원을 추가로 납부하라고 하자 주민들이 폭발한 것이다. 이에 주민들이 장기수선충당금 등 관리비 사용 내역을 공개 않는 관리사무소가 수십억 원의 관리비를 횡령했다며 고소했다.

김영두 충남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한국집합건물진흥원 이사장)는 “오피스텔은 임차인이 많아 보일러 고장처럼 소유자가 금액을 부담해야 하는 경우에도 관리단 회의를 개최해 사용 결의를 하기 쉽지 않고, 고장이 방치되는 상황이 오랫동안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실제 서울 오피스텔 관리 실태를 조사해보니 회계 처리에 통일성이 없고 뭉뚱그리는 경우도 많았다”며 “서울은 오피스텔을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부도 업무용 시설로만 보지 말고 주거 복지에 신경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서윤ㆍ김대권 기자 jang.seoyu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