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콕!건강]겨울철 갑작스런 치통, 알고보니 '신경통'?

이춘희 2024. 1. 6. 0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차신경통은 안면부에 발생하는 신경통 중 하나다.

삼차신경은 총 12쌍의 뇌 신경 중 얼굴 부위에 주로 분포하는 제5 뇌 신경을 일컫는 말이다.

신경은 압박을 받거나 손상되면 일상적 활동에서도 잘못된 통증 신호가 발생하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삼차신경이 동맥, 정맥 등 주변 혈관에 의해 압박을 받으면 삼차신경통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삼차신경통은 턱과 입 주변에서 감각 및 씹는 기능을 관장하는 아래턱 신경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0대 직장인 A씨는 최근 날씨가 갑작스레 추워지면서 오른쪽 볼과 턱에 전기가 관통하는 듯한 짜릿한 통증을 겪는 경우가 늘었다. 양치를 하거나 음식을 먹을 때 통증이 심해져 치통이 아닌가 하는 생각에 치과를 찾았다. 하지만 치과의사는 "치아에는 이상이 없다"며 신경외과를 가볼 것을 권유했고, 신경외과에서는 A씨에게 이름도 생소한 ‘삼차신경통’이라는 진단을 내렸다.

치통으로 오인하기 쉬운 삼차신경통 [사진제공=강남베드로병원]

삼차신경통은 안면부에 발생하는 신경통 중 하나다. 삼차신경은 총 12쌍의 뇌 신경 중 얼굴 부위에 주로 분포하는 제5 뇌 신경을 일컫는 말이다. 감각신경의 뿌리가 세 갈래로 나뉘어서 삼차신경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신경은 압박을 받거나 손상되면 일상적 활동에서도 잘못된 통증 신호가 발생하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삼차신경이 동맥, 정맥 등 주변 혈관에 의해 압박을 받으면 삼차신경통이 발생하게 된다. 때로는 뇌종양이나 뇌동맥류 등의 질환으로 발생한 신경 손상으로 생기기도 한다. 주로 얼굴 우측 부위에서 더 많이 나타나고, 감각신경이 차가운 자극을 감지하고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겨울철에는 발병 빈도가 늘어나게 된다.

특히 삼차신경통은 턱과 입 주변에서 감각 및 씹는 기능을 관장하는 아래턱 신경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되면 볼, 치아와 턱 부근에 전기가 흐르는 듯 강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10만명당 4~5명꼴로 발생해 평소 흔히 보기 어렵고, 부위가 입 주변이다보니 치통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많다.

삼차신경통은 양치, 대화, 식사 및 면도나 흡연 등 사소한 행동에도 갑작스럽게 예기치 못하게 찾아오고는 해 환자의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지기 쉽다. 출산이나 심한 전기 쇼크 등에 비견될 만큼 통증도 심하다. 빈도 면에서도 심한 경우 하루에도 수십번씩 통증을 겪는 등 통증의 기간과 양상마저 일정치 않아 통증이 언제 나타날지 예측도 어렵다.

윤강준 강남베드로병원 대표원장[사진제공=강남베드로병원]

증상 개선을 위해서는 빠른 진단과 적절한 초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윤강준 강남베드로병원 대표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삼차신경통의 원인 자체는 신경 이상은 아니지만 압박을 받는 과정이 계속되면 신경 손상이 일어날 위험이 높아 정밀 진단 및 초기 치료의 중요성이 크다”며 “특정 질환으로 인한 삼차신경통도 원인이 되는 질환 치료가 선행돼야 해 정확한 원인 파악 및 적절한 치료 계획의 수립이 꼭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치료는 일차적으로는 진통제 및 항경련제 등 약물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를 진행한다. 하지만 재발이 잦거나 통증이 악화한 경우, 장기간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 때 등에는 수술적 요법인 미세혈관감압술도 고려할 수 있다. 신경과 이를 압박하는 혈관을 분리해 통증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신경외과 치료술이다. 귀 뒷부분을 4~5㎝가량 절개하고, 문제가 되는 신경과 혈관을 분리한 뒤 완충 역할을 하는 물질인 테프론을 삽입해 혈관 박동 전달을 막는다. 지난 30여년간 꾸준히 시행되어 온 수술로 완치율이 상당히 높고, 최근에는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정밀한 모니터링 및 고도화된 수술 기법을 적용하면서 수술 예후가 더욱 좋아지는 추세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