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음식 살 때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 확인하세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4년부터는 식품 포장재에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이 표기된다.
식품을 섭취할 수 있는 기간을 직관적으로 표시해, 먹을 수 있지만 유통기한이 지났다는 이유로 버려지는 식품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서다.
유통기한은 식품의 품질이 변화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60~70% 정도 앞선 기간으로 설정하지만, 소비기한은 80~90% 정도 앞선 수준에서 설정하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에 표시해온 유통기한을 소비기한으로 대체하는 ‘소비기한 표시제도’를 지난해 1월 도입했다. 안정적인 제도 안착을 위해 1년간의 계도기간을 거친 후 올해 1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유통 판매가 허용되는 기간을 말하는 반면, 소비기한은 표시된 조건에서 보관했다면 소비해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간을 말한다.
표기가 변하는 만큼 소비자도 주의가 필요하다. 유통기한이 조금 지난 식품은 올바르게 보관했다면 품질변화가 없어 먹어도 된다. 그러나 소비기한이 지난 식품은 섭취하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 유통기한은 식품의 품질이 변화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60~70% 정도 앞선 기간으로 설정하지만, 소비기한은 80~90% 정도 앞선 수준에서 설정하기 때문이다.
식약처는 산업계의 소비기한 표기 전환을 돕기 위해 2022년부터 총 66개 식품유형 698개 품목의 소비기한 참고값을 공개해왔다. 소비기한 참고값은 식약처가 식품별로 소비기한 설정 실험을 수행해 제시한 잠정 소비기한이다.
다만, 소비기한 표시제도가 본격 시행돼도 당분간은 슈퍼에서 ‘유통기한’이 표시된 제품을 접할 수 있다. 계도기간 중 생산돼 유통기한을 표시한 제품은 1월 1일이 지나도 표시된 기간까지는 판매할 수 있어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식품제조·판매업체가 식품별 특성에 적합한 소비기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식품별 소비기한 참고값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식약처와 산업계로 구성된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소비기한 참고값이 필요한 품목을 논의하는 등 제도 정착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감기엔 비타민C'… 정설처럼 믿었는데 아니라고?
- [아미랑] 소아암 환자, 발레 공연 ‘호두까지 인형’으로 초대합니다 外
- [밀당365] 만두 포기할 수 없을 때 ‘두부밥 만두’ 어때요?
- 정수리 탈모 막으려고 ‘맥주 효모’ 먹는데… 머리 왜 안 자랄까
- 먹으면 바로 화장실 직행… ‘이 음식’ 특히 주의해야
- “파릇파릇 샐러드에 들어가는 ‘이것’”… 美 질병통제예방센터 뽑은 가장 건강한 채소, 효능
- “항상 배고파” 6개월 만에 ‘10kg’ 증가하는 희귀질환… ‘로하드 증후군’ 뭐길래?
- 무엇을 먹는지 살펴보면 '우울증'을 알 수 있다
- 자는 시간 들쑥날쑥한 아이, '이런' 문제 행동 보인다
- “불과 25세에 대장암 말기”… 英 20대 여성, ‘3가지 신호’로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