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4일 근무제…유행처럼 좇지 마세요 [경영칼럼]

2023. 12. 30. 21: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캐나다서 시범 운영해보니…93% “계속 유지”
모든 직무서 맞는 건 아냐…지속 가능성 따져야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중 하나가 일하는 방식이다. 재택근무가 활성화하며 일하는 공간이 어디여야 할지, 또 몇 시간을 일해야 할지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 주 4일 근무제 이슈 역시 코로나19가 불러일으킨 논쟁 중의 하나다.

주 4일 근무제가 가능할까 의심하는 이가 적지 않다. 해외 사례를 보면 불가능한 일만은 아닌 것 같다. 캐나다는 지난해 2월부터 올해 4월까지 30개 기업 3500여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주 4일 근무제를 실험했다. 시범 운영은 WTR-CoE와 보스턴칼리지가 맡았다. 홍보, 기술, 마케팅 등 직무도 다양했다. 과거 주 5일, 하루 8시간씩 하던 기존 업무를 유지하며 주 4일 내 40시간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32시간으로 줄였다.

최근 그 결과가 발표됐다. 결론부터 말하면 참여 기업의 93%가 앞으로도 주 4일 근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회사 측 응답자 90%가 생산 효율성이 동일하거나 오히려 더 증가했다고 답했다. 86%는 인재 유치에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근로자 96%는 만족도가 높아졌다. 영국에서도 비슷한 실험 결과가 나왔다. 주 4일 근무제를 시범적으로 운영한 61개 기업 가운데 92%가 시범 운영 기간이 끝난 후에도 계속 유지하기로 했다. 구성원 스트레스는 줄고 번아웃 강도가 약해졌다는 결과가 나왔다. 퇴사율도 57%나 줄어드는 등 각종 지표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이런 결과만 놓고 보면 주 4일 근무제는 뿌리칠 수 없는 광고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주 4일 근무제의 긍정적인 측면만 부각되는 걸 경계해야 한다. 모든 기업과 모든 구성원에게 적합한 해결책이 아니라는 점 또한 분명하기 때문이다.

근무 일수를 줄이며 동일한 양의 업무를 처리하려면 효율적인 업무 관리와 리더십이 전제돼야 한다. 동일한 일을 4일로 압축해 하다 보면 업무의 촘촘함이 떨어질 수 있다. 주 4일이라는 시간 제약으로 구성원은 피로를 느끼기도 하고, 업무를 끝마치지 못해 다시 야근을 해야 하는 새로운 형태의 초과 근무가 나타날 수도 있다. 생산성에 대한 논란도 남았다. 주 4일 근무제가 생산성을 높인다는 연구와 그렇지 않다는 연구가 동시에 나온다는 점이 이를 말해준다. 앞선 캐나다의 실험에서도 한계가 분명 있었다. 다양한 직무에 접목시켰다고는 하나, 모든 직업군에 대해 실험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핵심은 조직 구성원 업무를 면밀히 분석해 주 4일 근무제가 지속 가능한지를 살펴보는 일이다. 회사 입장에서 본다면 직원 근무 시간을 줄인 만큼, 추가 채용을 얼마나 해야 하는지를 따져야 한다. 또한 어떤 직무가 가능하고 어떤 직무는 불가능한지, 또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에 저해가 되는 면은 없는지 등 꼼꼼하게 분석해야 한다. 인재 유치가 기업의 사활을 걸 만한 중요한 이슈가 됐다. 그렇다 보니 기업은 구성원 중심으로 생각한다. 특히 젊은 세대에게는 주 4일 근무제가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 그러나 지속 가능성을 고민하지 않고 유행만 좇는 근무 형태로서 주 4일 근무제를 택한다면, ‘과대 광고’에 속는 소비자의 꼴이 될 수 있다.

[천장현 머서코리아 부사장]

천장현 머서코리아 부사장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240호 (2023.12.27~2023.12.31일자) 기사입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