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오늘 워크아웃 신청…PF 부실 뇌관 우려 확산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가능성이 커지면서 건설업계 전반에 구조조정 등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수습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PF 대출 잔액과 연체율이 증가하는 등 만기를 연장하며 버텨온 건설사들이 한계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파장이 커질 경우 금융권 연쇄 부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 가닥…새 기촉법 적용
2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태영건설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워크아웃 신청을 의결할 계획이다. 전날 워크아웃설에 대한 한국거래소 조회공시 요구에 "현재 경영 정상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나 구체적으로 확정된 바가 없다"고 밝혔지만, 업계에서는 사실상 워크아웃 수순에 돌입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워크아웃은 법정관리 전 단계로 고강도 자구 노력을 요한다. 채권단에서 기업 스스로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자율협약이 어렵다고 판단하면 워크아웃에 들어가게 된다. 이 경우 채권단 주도로 구조조정이 이뤄지는데 자율협약보다 속도가 빠르다. 대신 경영권이 채권단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기존 경영진이 해고될 수 있다.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할 경우 이달 초 제정된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이하 기촉법) 첫 적용 사례가 된다. 당초 워크아웃 제도는 지난달 15일 기촉법 일몰로 효력이 상실됐다. 그러나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산업계 지적에 국회는 기촉법을 다시 제정했다. 새 기촉법에 따라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기업은 채권단 75% 이상이 동의하면 차입금 만기 연장, 자금 지원 등을 받을 수 있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연결기준 태영건설의 순차입금은 1조8176억원, 부채비율은 478.7%에 달한다. 유동성 위기의 핵심인 차환이 필요한 PF 차입금 잔액은 직접 매입한 PF 유동화증권을 제외하고 2조3456억원 규모다. 이 중 담보 가치가 있는 자산의 PF 차입금을 제외하면, 미착공 또는 사업 철수 중인 사업장 관련 PF 우발채무는 1조2565억원 수준이다.
한국기업평가는 "리스크 현실화 가능성이 높은 PF 우발채무 규모는 약 1조원으로 추산된다"며 "이달부터 내년 2월까지 1900억원가량이 만기가 도래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월별 회수 예정인 공사대금 등을 감안하면 단기 유동성 대응은 가능하겠지만, 2020년 분할 이후 가중된 재무 부담을 현 신용등급 수준에 부합하도록 개선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와 관련해 유동성 대응 및 사업관리 능력을 지속해서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건설업계 공포 확산…태영건설 "자구 노력 중"
태영건설은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구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주사인 TY홀딩스는 최근 그룹 내 알짜 사업으로 손꼽힌 물류회사 태영인더스트리를 2400억원에 매각했다. 태영건설도 지난 22일 이사회를 열고 화력발전소 포천파워의 지분 15.6%를 420억원에 매도하기로 했다. 처분 예정일은 서울 성동구 오피스 개발 관련 480억원 규모의 PF 대출이 만기를 맞는 28일로 공시한 바 있다.
경기 부천시 군부대 이전 사업장의 공동 경영 시공사도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태영건설 관계자는 "물류회사 매각 자금이 이달 말에 들어올 예정이며 포천파워 보통주도 매각하는 등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파장이 심상치 않다. 당장 하도급업체가 문제다. 올해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태영건설은 하청 건설사 10곳에 519억원, 9개 현장에 2313억원의 하도급대금 지급보증을 제공했다. 업계에서는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에 들어가더라도 지급보증 청구에 한계가 있고, 대금 지급까지는 시간이 걸려 하도급업체들이 유동성 압박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파장은 건설업계 전반에도 큰 타격이다. 그동안 미분양 등에 따른 PF 손실이 커지면서 중소형 건설사의 재무건전성 악화 우려가 끊이지 않았다. 그런데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태영건설마저 사실상 워크아웃 수순을 밟으면서 금융권의 부동산 PF 부실에 대한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 됐다. 가뜩이나 고금리와 공사비 인상, 경기 침체 등이 겹쳐 업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금융권이 부동산 PF 부실 정리에 나서면 건설업계 줄도산도 현실화할 수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국내 PF 대출 잔액은 134조3000억원으로, 3년여 전인 2020년 말(92조5000억원)과 비교해 약 42조원(45%) 급증했다.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 1.19%에서 올해 9월 말 2.42%로 뛰었다. 대출 부담이 완화되려면 고금리 기조가 꺾여야 하는데 아직 시기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는 내년 상반기부터, 한국은행은 하반기부터로 예상할 뿐이다.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장은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할수록 부동산 PF 브릿지론의 30~50%는 최종 손실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간 부도업체 수도 2년 연속 증가세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21개 건설사가 부도 처리됐으며, 특히 종합건설사 수가 2021년 1개에서 2022년 5개, 올해 9개로 늘어났다. 대표적으로 시공능력 75위 대우산업개발, 109위 대창기업 등이 있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 달에 150만원 줄게"…딸뻘 편의점 알바에 치근덕댄 중년남 - 아시아경제
- 버거킹이 광고했던 34일…와퍼는 실제 어떻게 변했나 - 아시아경제
- "돈 많아도 한남동 안살아"…연예인만 100명 산다는 김구라 신혼집 어디? - 아시아경제
- "일부러 저러는 건가"…짧은 치마 입고 택시 타더니 벌러덩 - 아시아경제
- 장난감 사진에 알몸 비쳐…최현욱, SNS 올렸다가 '화들짝' - 아시아경제
- "10년간 손 안 씻어", "세균 존재 안해"…美 국방 내정자 과거 발언 - 아시아경제
- "무료나눔 옷장 가져간다던 커플, 다 부수고 주차장에 버리고 가" - 아시아경제
- "핸들 작고 승차감 별로"…지드래곤 탄 트럭에 안정환 부인 솔직리뷰 - 아시아경제
- 진정시키려고 뺨을 때려?…8살 태권소녀 때린 아버지 '뭇매' - 아시아경제
- '초가공식품' 패푸·탄산음료…애한테 이만큼 위험하다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