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 치고 지붕킥!…bhc 가격 인상, 배달치킨 3만원 될듯
bhc, “가맹점 수익성 위한 조치” 주장
치킨 물가 2020년보다 20% 가까이 상승
프랜차이즈 치킨 가격이 또 오른다. bhc치킨이 가격 인상에 동참하면서다. 전국가맹점협의회가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가격 인상을 요구했다는 게 명분이 됐다. 인기 메뉴인 ‘뿌링클 치킨’ 단품 가격은 2만1000원으로 인상된다. 배달비 5000~6000원을 감안하면 배달 치킨 한 마리 가격이 3만원을 육박하게 된다. 배달 치킨 성수기인 연말연시, 소비자들은 다시 고물가를 체감하게 됐다.
bhc는 오는 29일부터 치킨 메뉴를 비롯해 85개 제품의 권장 소비자 가격을 500~3000원 인상한다고 27일 밝혔다. 전국 매장에 동시 적용하기로 했다. 평균 인상률은 12.4%다. 인기 메뉴인 뿌링클 치킨은 1만8000원에서 2만1000원으로 3000원 오른 가격에 판매된다.
치킨 프랜차이즈업계는 지난해부터 연쇄적으로 가격을 인상해 왔다. 지난해 5월 BBQ가 일괄 2000원씩 가격을 올렸고, 지난 4월 교촌치킨이 500~3000원 올렸다. 8개월 여 만에 bhc도 가격 인상에 합류했다.
3대 치킨 프랜차이즈기업이 2년 동안 연달아 가격을 올리면서 치킨 한 마리 단품 가격은 2만원 안팎에 이르게 됐다.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표 메뉴 가격은 2만1000~2만4000원에 이른다. 신제품 가격은 이미 2만원대를 넘겼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1년 내내 치킨 가격 오른 소식을 듣는 기분이 든다”는 호소도 나온다.
소비자의 치킨 가격 인상 체감은 수치로 확인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치킨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4.5% 올랐다. 2021년보다 15.2%, 2020년 대비 19.6% 뛰었다. 대형 치킨프랜차이즈 기업 가운데 bhc까지 가격을 올리면서 소규모 치킨가게 메뉴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물가 인상 압박이 있다 보니 치킨 프랜차이즈업계도 가격 인상에 부담을 느끼고는 있다. 교촌치킨은 지난 4월 가격 인상 직후 소비자의 거센 비난에 직면했다. 일부 소비자는 등을 돌렸고, 이는 매출로도 확인됐다. 교촌에프앤비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6% 줄었다.
bhc는 물가 인상에 기여하는 게 부담스럽지만, 소상공인인 가맹점주를 고려하면 “불가피한 조치”라는 입장이다. 교촌치킨과 BBQ가 가격을 올릴 때도 같은 논리였다. bhc는 “악화된 가맹점 수익 개선을 위해 부득이하게 가격 조정에 나선다”고 밝혔다. 2021년 12월 이후 2년 만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가맹점주의 가격 인상 요구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지난 14일 서울 송파구 bhc 연구·개발(R&D)센터에서 진행된 전국가맹점협의회와 간담회에서 소비자가격 인상의 필요성이 거론됐다. 당시 간담회에 참여한 한 가맹점주는 “수익성 개선을 위해 가격 조정이 필요하다. 전반적으로 형성된 치킨 물가 범위에서의 조정이라면 소비자들이 이해하고 가맹점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가격 인상의 부담을 감수할 만큼 가맹점주의 수익성을 악화시킨 요인은 뭘까. 일단 원재료 가격은 아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생닭 한 마리 산지매입 가격은 1200~1800원대에 형성돼 있다(최근 한 달 기준). 프랜차이즈 치킨 메뉴에 쓰이는 10호 도매가격은 3200~3500원대 이른다.
하지만 치킨 가격도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비교하면 30%가량 올랐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해바라기씨유와 밀가루 등의 가격도 덩달아 올랐다. 올해 다소 안정세를 보였지만 전쟁 이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에 형성돼 있다.
치킨 프랜차이즈업계는 무엇보다 ‘주문중개 수수료’와 ‘배달 대행 수수료’가 가격 인상의 주된 요인이라고 지목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전화로 주문할 때 수수료는 200~300원이었다. 배달 플랫폼이 생기면서 주문 중개 수수료가 10배로 뛰었다. 여기에 배달 수수료까지 더해지면 ‘원가 부담’이 더 크게 뛰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bhc 가맹점의 일부 원부자재 공급가도 품목에 따라 평균 8.8% 수준 오른다. bhc 관계자는 “여러가지 비용 인상에 따른 본사의 부담도 적지 않다”며 “소비자 가격 인상 폭보다 공급가를 덜 올려서 가맹점 수익성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배우 김혜선·래퍼 도끼, 건보료 수천만원 체납…명단 공개
- 한동훈 “민주당, 검사 싫다면서 검사 사칭한 분을 절대존엄으로”
- “이기적 죽음”… 이선균 사망에 악플 수천개 쏟아졌다
- “특허 침해” 애플워치, 미국 판매 금지…출시 3개월만
- 또 ‘빼먹지오’… 잠실서도 졸속·날림 공사로 시끌
- ‘장제원 아들’ 래퍼 노엘, 대뜸 “민주당 지지” 선언
- 16년째 쌀 놓고 간 ‘익명 천사’… 누적 무게만 9600㎏
- “강남 사는 영희, T야?”… 정부, ‘지역별 MBTI’ 구축한다
- “쓰레받기로 물 퍼내”… 한겨울 ‘물폭탄’ 동탄레이크자이
- “84년생 OOO”… ‘췌장암 상간녀’ 신상 폭로한 유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