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봄’으로 첫 천만까지…정우성과 김성수 감독의 26년 인연

이세빈 2023. 12. 27. 05:3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충무로 부부’라는 이야기가 감독님 입에서 나온 거냐. 하...” (정우성)

“‘충무로 부부’라는 타이틀? 전혀 마음에 들지 않는다.” (김성수 감독)

‘틱틱대는 사이지만, 호흡은 인정’이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영화 생짜 초보였던 20대 배우를 청춘의 아이콘으로 올려놨고 26년 뒤 함께 영화 인생 첫 1000만을 만들어낸 김성수 감독과 배우 정우성의 이야기다.

영화 ‘서울의 봄’은 크리스마스 이브 당일 천만 영화에 이름을 올리는가 하면 하루가 지난 크리스마스 당일 올해 최고 흥행작이었던 ‘범죄도시3’를 제치고 올해 박스오피스 1위에 오르며 침체에서 헤어나지 못했던 한국 영화계에 봄을 가져왔다.

나란히 첫 천만 배우, 천만 감독이 된 정우성과 김성수 감독에게 관심이 쏠렸다. 특히 두 사람은 ‘비트’를 시작으로 ‘태양은 없다’, ‘무사’, ‘아수라’, ‘서울의 봄’까지 다섯 번의 호흡을 맞추며 ‘영혼의 단짝’, ‘충무로 부부’ 등의 애칭을 얻기도 했다. 물론 두 사람은 ‘충무로 부부’ 같은 애칭을 거부하지만 말이다.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SNS

정우성과 김성수 감독의 인연은 ‘비트’에서 시작됐다. 고독하고 위태로운 청춘의 면면을 그린 ‘비트’에서 신인 배우와 신인 감독으로 만난 두 사람은 서로의 성장에 양분이 됐다. 특히 김성수 감독은 당시 신인 배우였던 정우성을 신인으로 생각하지 않고 동료, 그 사람 자체로 존중했다. 당시 신인 배우였던 정우성이 ‘비트’ 속 “나에겐 꿈이 없었다”는 내레이션을 직접 썼던 것도 이러한 존중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다.

김성수 감독은 정우성의 이 내레이션을 ‘서울의 봄’ 천만 돌파 기념 축전에 썼다. “나에겐 꿈이 없었다. 근데 천만이라니~ 관객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라는 글로 정우성을 향한 애정도 함께 전했다.

정우성은 역시 김성수 감독과 호흡을 맞춘 ‘태양은 없다’를 통해 청춘의 아이콘으로 등극했다. 당시 김성수 감독은 배우들 덕을 봤다며 배우에게 공을 돌리기도 했다. ‘김성수 감독은 배우를 동료 그 자체로 존중한다’는 정우성의 말이 틀린 게 하나 없다는 걸 그때도 보여준 것이다.

정우성과 김성수 감독은 네 번째로 호흡을 맞춘 ‘아수라’를 통해 다시 한번 성장했다. 정우성은 비리 형사 한도경 역을 맡아 새로운 매력을 보여주며 호평받았고 김성수 감독은 중국 시장 진출을 꿈꿨지만, 아쉬운 성과를 낸 ‘무사’ 이후 ‘아수라’로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인간의 추악한 면모를 드러낸 수작으로 평가받았던 ‘아수라’ 이후 7년 만에 ‘서울의 봄’으로 다시 손을 잡은 정우성과 김성수 감독. 정우성과 다섯 작품을 함께 한 김성수 감독은 정우성의 페르소나 설을 강력히 부인하고 정우성은 “김성수 감독을 현장에서 볼 때는 죽이고 싶을 때가 많다”며 다소 과격하게 표현하기는 했지만, 자그마치 26년이라는 세월을 알고 지낸 두 사람의 끈끈함은 영화와 인터뷰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SNS

특히 ‘충무로 부부’라는 애칭이 붙은 것에 대해 정우성은 “나랑 감독님이 부부싸움을 한 것 같았다고 하더냐. 그러면 ‘충무로 부부’라는 이야기가 감독님 입에서 나온 거냐. 하…”라며 잠시 말을 잇지 못했고 김성수 감독은 “전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충무로 형제’, ‘충무로 동료’로 정정을 요구했다.

이렇게 ‘충무로 부부’라는 애칭을 부정하지만, 이들의 시너지가 ‘서울의 봄’에서 극대화된 건 분명한 사실이다. 김성수 감독은 정우성의 강직함을 이태신 역으로 보여줬고 정우성은 호연으로 김성수 감독의 연출이 더욱 빛나도록 했다. 이를 통해 두 사람은 대한민국 영화계의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다. 같은 생각을 가진 두 사람이 꿋꿋하게 걸어가는 길은 어디까지 이어질까. ‘서울의 봄’이 쓰는 신기록만큼 두 사람의 26년 서사를 대중이 흥미롭게 지켜보는 이유다.

이세빈 기자 sebi0525@edaily.co.kr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