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생, 멘탈도 다르다?… '이런 성향' 뚜렷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대표 지성 집단으로 꼽히는 서울대 의과대학 학생들은 어떤 심리적 특성을 갖고 있을까? 의정부을지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오상훈 교수가 최근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이들은 완벽주의 성향이 덜하고 시험에 덜 불안해했으며 예민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상훈 교수는 "예민한 성격(신경증)은 성격 특성이므로 변화시키기가 어렵지만 시험불안이나 완벽주의는 인지행동치료 등을 통해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한다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시험불안이나 완벽주의는 아예 없애기보다는 적절한 수준으로 관리해야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정부을지대병원 오상훈 교수 연구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BMC Psychology’에 학업성취도와 관련 있는 심리적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먼저 학업성취도가 높은 집단으로 서울의대생 102명을 선정하고, 비교군으로 서울 소재 대학생 120명을 모집했다. 학업성취도는 수능 성적과 현재 학점으로 평가했으며, 심리요인으로는 스트레스 대처 방식, 성격 특성, 시험불안, 회복탄력성, 완벽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했다.
분석 결과, 서울의대생들은 비교군보다 시험불안과 신경증적 성향(예민함·노이로제)이 낮았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도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선생님이나 부모님 등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엄격한 평가와 완벽함을 기대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말한다. 즉, 외부 기대에 크게 개의치 않는다는 뜻이다.
반면, 자기효능감은 더 높았다. 자기효능감이란 어떤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스스로에 대한 믿음을 뜻한다. 학업성취의 동기에 있어 외부의 기대보다는 내면의 자신감이 더 크게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가능하다.
심리요인 중 학업성취도와 직접 연관이 있는 요소로는 시험불안, 완벽주의, 신경증이 꼽혔다. 오상훈 교수는 “예민한 성격(신경증)은 성격 특성이므로 변화시키기가 어렵지만 시험불안이나 완벽주의는 인지행동치료 등을 통해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한다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시험불안이나 완벽주의는 아예 없애기보다는 적절한 수준으로 관리해야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 교수는 “학업 스트레스를 관리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결국 학업소진(academic burnout)이 오게 되고 학업성취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며 “높은 학업성취를 위해서는 학생에게 좋은 교육환경을 만들어주는 것뿐 아니라 마음 관리도 함께 신경써야 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한편, 오상훈 교수는 이러한 근거가 실제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디지털 인지행동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연구와 영재학생들의 스트레스 검사도구 표준화 연구를 함께 진행하고 있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도 모르는 사이… 자주 만나는 사람과 ‘이것’ 공유하고 있을지도
- 무지외반증·하지정맥류 막아주는 ‘발가락 가위 바위 보’ 아세요?
- 의사들은 ‘다이어트 중 가장 피해야 할 영양 성분’으로 뭘 고를까?
- 입 심심해 디저트 당길 때… 입에 ‘이것’ 넣어보세요
- MZ 사이에서 유행한다는 ‘건강한 마라탕’의 정체는?
- 불과 20세에 '이 약물' 중독 후 사망… 무슨 일 있었던 걸까?
- 과자보다 훨씬 좋을 것 같은데… ‘채소칩’ 왜 많이 먹으면 안 되는 걸까?
- ‘연예인도 탈밍아웃’… 아직 젊은데 모발이식 고백한 스타, 누구?
- 귤 먹으면 손·발 노랗게 변하기도… 눈까지 노래지면 ‘이것’ 의심
- 2028년 글로벌 매출 1·2위 차지할 '비만약', 제약사 간 희비 갈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