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만 써도'...우울증 진단 기술 등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상적인 통화나 문자 등 스마트폰 사용 내역 만으로도 우울증 등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이성주 교수 연구팀 등은 사용자가 쓴 언어 사용 패턴을 스마트폰에서 자동 분석해 정신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스마트폰에 대량으로 발생하는 사용자 언어 데이터로부터 정신건강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론을 개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근아 기자]
일상적인 통화나 문자 등 스마트폰 사용 내역 만으로도 우울증 등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이성주 교수 연구팀 등은 사용자가 쓴 언어 사용 패턴을 스마트폰에서 자동 분석해 정신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논문은 지난 6∼10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자연어 처리 분야 최고 권위 학회인 'EMNLP'(Conference on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에서 발표됐다.
이는 사용자가 작성한 문자 메시지 등의 키보드 입력 내용과 스마트폰 마이크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신건강 진단을 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임상적 정신질환 진단이 환자와 상담을 하는 일종의 언어 사용 분석으로 이뤄진다는 점에 착안했다.
이런 언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민감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어 활용이 어려웠지만, 연합학습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사용자의 기기 외부로 데이터 유출을 하지 않고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해 사생활 침해 우려를 없앴다.
연구팀은 스마트폰에 대량으로 발생하는 사용자 언어 데이터로부터 정신건강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론을 개발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업무 시간보다는 저녁 시간에, 또 가족이나 친구들과 나누는 대화에서 정신건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단서가 많다고 판단해 중점을 두고 분석하는 식이다.
(사진=연합뉴스)
박근아기자 twilight1093@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