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진 영화만사] ‘소년시대’의 인기에 대해 한 마디 한다면

전형화 2023. 12. 21. 06: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년시대' 포스터

국내 OTT 쿠팡 플레이에서 메가 히트를 치고 있는 드라마 ‘소년시대’가 인기다. 많은 사람들이 이 드라마에 대해 얘기를 한다. 그만큼 많은 수가 이 작품을 보고 있다는 얘기다. 모두들 극중 인물들이 어쩜 그렇게 충청도 사투리 연기를 천연덕스럽게 잘 하느냐고 입을 모은다. 

특히 주인공 역의 임시완이나 이선빈에게 칭찬이 모아진다. 임시완은 이 드라마로 영화 쪽에서 얻은 부진한 흥행성적에 대해 나름 설욕을 한 셈이다. 그의 근래 영화는 ‘비상선언(2022)’과 ‘1947 보스톤(2023)’이었다. 

현재 시즌1을 끝낸 ‘소년시대’는 1980년대 후반에 고등학교 2,3학년을 다니는 학생들의 이야기이다. 배경은 충남 온양과 부여다. 아이들은 온양에 살며 부여 농고를 다니는 중이며 어느 시대나 다 그렇지만 학교 내에 ‘짱’이 있고 그를 따라 다니는 무리들이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찌질이’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늘 괴롭힘과 뭇매의 대상이다. 

주인공 병태(임시완)의 하루는 가능하면 장경태라는 폭력 성향의 아이(이시우)를 어떻게 하면 피해 다니고, 또 어떻게 하면 ‘질이 낮은’ 매를 맞고 살 수 있느냐가 최대 관심사이다. 그는 또 다른 여학생 싸움꾼인 지영이(이선빈)로부터 싸움의 기술을 배우게 되고 서서히 학교의 맨 위 자리로 올라서기 시작한다. 

‘소년시대’를 보게 되면 자연스럽게 몇 가지 생각과 의문이 동시에 떠올려진다. 드라마의 전체 분위기처럼 아주 유쾌하거나, 낄낄거릴 만큼 재미있거나 하는 단상은 아니다. 그보다는 조금 더 진지한 것이다. 그 첫 번째가 한국의 드라마가 이제야 드디어, 그리고 완벽하게, 지역 이동을 했다는 점이다. 충청도 사투리가 마침내 주류사회로 진입했다는 느낌을 준다. 그간의 한국 드라마가 사용했던 지방 언어는 줄곧 두 가지 중 하나였다. 경상도 사투리 아니면 전라도 사투리다. 비율로 따지면 영남 쪽이 약간 더 많다. 그건 어디까지나 인구 수가 워낙 많기 때문이고 정치적으로도 그 권력이 늘상 우위에 서있다고 생각되어지는 지역이기 때문일 것이다.

충청도 사람들은 축약된 언어로 복잡한 인간 관계의 여러 측면을 동시에 표현해 낼 줄 아는 슬기와 지혜를 지녔다. 드라마 속에서도 자주 나오지만 ‘~이’같은 접미어 하나로 거의 모든 상황의 감정을 표현해 낸다.  그건 ‘소년시대’의 주인공 병태가 보여 주는 모습과 같다. 병태는 점점 학교의 ‘짱’으로 변신해 가되 착한 마음이 변질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 드라마 한편이 충청도 특유의 사투리가 지닌 지역색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소년시대' 포스터

더 중요한 것은 이 드라마가 586 세대에 대한 기존의 이미지, 특히 이들 전 세대에 대한 현 2030 세대의 반감을 다소 누그러뜨리는 데에 일조를 할 것인 가에 대한 관심 여부다. ‘소년시대’의 주인공들은 69~70년생으로 보인다. 굳이 대학 학번으로 따지면 88학번에서 90학번까지이다. 이른바 86 세대(80년대 학번, 60년대생)에서 끝물을 차지하고 있는 인물들이다. 

80년대 초반 학번들만큼 격렬한 민주화 과정을 거친 세대여서 세대적 동질감은 7,80년대 이후 세대인 아래 쪽 보다 윗 쪽인 586에 가깝다. 이들 모두 기득권 층으로 공격받는 세대의 인물들이다.

그러나 드라마를 보면 이들 역시 그저 지질하기가 그지 없다. ‘소년시대’는 온갖 정치적 경제적 혜택을 누렸다는 비난과 비판을 받고 있는 586세대의 모습이 그렇게 윤택하지 않았음을 드러내게 해준다. 586이 기득권 세대라는 것은 586 세대 안에서도 특화된 계층의 애기일 뿐이며 그들 대다수 역시 현 젊은 세대가 안고 살아 가는 삶의 고통, 빈궁함과 비루함을 똑 같이 겪었음을, 이 드라마는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하면 지나친 확대해석일까. 만약 이 드라마를 젊은 세대들이 많이 본다면 세대적 갈등이 조금 완화될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는 것 역시 지나친 기대일까. 

왜 젊은 세대들은 드라마 속 인물들의 모습이 현실의 앞선 세대의 어렸을 때 모습과 같은 것이라는 사실을 등치 시키지 못하는 것일까. 왜 현실과 드라마를 철저하게 분리하는(드라마와 영화는 그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음에도), 일종의 유체이탈 화법과 같은 세상 인식을 하게 된 것일까.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지 않을 수 없다. 

어쨌든 드라마 ‘소년시대’는 세상의 갈등을 조금이나마 줄어들게 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드라마가 일단 가르치지 않아서 좋다. 시선이 낮아서 좋다. 이제 이런 류의 작품은 극장보다 TV 컨텐츠가 제격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해서 보여주고 있다. 극장용 영화는 이제, 조금 더 거대담론의 이야기를 가져가야 하는 것일까. 그게 꼭 그렇지만은 아닌 걸까? 케이스 바이 케이스인 것일까. 트렌드가 잡힐 것이다. 조금 더 지켜 볼 일이다.     

오동진 영화평론가
오동진 영화평론가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