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의 그늘]①"이자 내려면 돈 못 써…연체보다 무서운 소비둔화"

심나영 2023. 12. 20. 06: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7월부터 소비 성장세 멈춰버려
금리 오르면서 지갑 닫아
대출 받고, DSR 늘면 소비증가율 둔화

"가족 네 명 설렁탕 외식하려다가 한 그릇에 만 원이 넘더라고요. 마트에서 간편식 설렁탕 할인하길래 네개 묶음에 1만6000원 주고 대신 사 먹었어요."

서울 성동구에 사는 회사원 장지용씨(44)는 허리띠를 더 바짝 졸라매기로 했다. 장씨는 작년 봄에 이사하면서 대출 5억원을 받았다. 당시 금리는 4.05%. 그때부터 한 달에 210만원씩 원리금을 내고 있다. 변동금리로 빌린 게 패착이었다. 이자는 롤러코스터를 탄 것처럼 올라갔다. "작년 겨울에는 280만원까지 월 상환금이 늘 땐 아찔했어요. 올봄에 다시 금리가 내렸을 땐 10만원 정도 줄긴 했어요. 이 정도로는 간에 기별도 안 가고요. 어쨌든 지금은 또 금리가 올라서 지난달부터 원리금이 다시 280만원이 됐습니다. 적자 안 나려면 한 푼이라도 덜 써야죠."

소비 둔화 → 내수 부진 직격탄

국민들의 지갑이 꽉 닫혔다. 작년 여름을 시작으로 올해까지 소비 성장세가 멈춰 섰다. 코로나19에서 벗어나 일상생활을 회복하던 2021년 1분기(206조8000억원) 이후부터 작년 3분기(224조8857억원)까지 가계소비가 빠르게 회복하던 것과 완전히 다른 모습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 소비액은 작년 4분기(223조7056억원)부터 올해 3분기(224조9707억원)까지 정체된 모습이다.

원인은 무엇일까. 정화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금리를 1순위로 꼽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금리는 작년 5월 4%를 넘은 이후 지금까지 4~5%를 넘나들고 있다.

정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취약차주로 인한 위기보다, 주담대 비중이 높아서 금리가 오를 때 소비 증가율이 굉장히 낮게 나타나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코로나19가 끝나도 이렇게 소비가 부진하면 내수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19일 정 연구위원이 발표한 '국내 가계부채 현황 및 위험요인' 보고서를 보면 금리인상기에 신규 대출을 받거나 이자 부담이 늘어난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들이 얼마나 소비를 덜 하는지 알 수 있다. 정부에서 실시한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2017~2022년)를 활용해 64세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빚 많으면 소득 늘어도 돈 안 써

먼저 신규 영끌족처럼 가계 부채액이 늘어난 경우부터 살펴보자. 여기 모든 조건이 똑같은 A가구와 B가구가 있다. A가구의 소비증가율이 1% 포인트 늘어났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B가구는 집을 사면서 소득만큼 빚이 늘어났다. 이럴 때 B가구의 소비증가율은 0.3%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친다. 빚이 늘어난 가구가 그렇지 않은 가구보다 소비를 덜 하게 된다는 의미다.

기존 영끌족처럼 금리가 올라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증가한 경우도 마찬가지다. A가구와 모든 조건이 똑같지만, DSR이 10% 포인트 더 높은 B가구가 있다고 치자. A가구의 소비증가율이 1%포인트 늘어날 때, B가구의 소비증가율은 0.78%포인트만 늘어난다. B가구의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A가구보다 돈을 덜 썼다는 뜻이다.

빚이 많은 가구는 소득이 늘어도 돈을 덜 쓴다. 자산 대비 부채 비중이 하위 80%에 있는 A가구와, 상위 20%에 속하는 B가구 소득이 10% 늘어났다고 해보자. 이 경우 A가구의 소비증가율은 1.47%포인트 높아진다. 하지만 빚 부담이 큰 B가구는 소비증가율이 1.15%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쳤다. 빚이 많으면 돈을 더 벌어도 소비를 꺼린다는 걸 알 수 있다.

'이자 과다 지출' 가구 크게 늘어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체감물가 상승률은 이보다 훨씬 높아 서민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30일 점심시간을 이용해 서울 한 제과점을 찾은 시민들이 빵을 먹고 있다. 강진형 기자aymsdream@

그렇다면 소득에서 차지하는 이자 부담은 얼마나 늘어났을까. 빚이 있는 가구의 소득 대비 이자 지출 비용(원금 제외)은 올해 2분기 5.7%에 달했다. 가구 월평균 소득은 582만4000원이었는데 이 중 32만9000원이 이자로 나갔다는 말이다. 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르기 직전인 작년 1분기 3.8%(575만9000원 중 22만2000원)와 비교하면 차이가 뚜렷하다.

정 연구위원은 "올해 4월 기준으로 소득의 10%를 이자 내는 데 쓰는 가구는, 이자를 내는 전체 가구의 19.6%에 달했다"며 "작년 4월만 해도 11.6%밖에 안 됐는데 1년 사이에 이자를 과대하게 지출하는 가구가 많이 늘어나면서 소비 여력이 줄고 있다"고 밝혔다.

가계부채로 인한 소비 둔화는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정 연구위원은 "소비 부진은 내수 경기 둔화로 이어진다. 특히 자영업자의 경우 내수 경기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 때문에 자영업자의 소득이 줄어들게 된다"며 "소비 부진 심화는 잠재성장률을 추가 하락 요인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