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대통령 순방 동행에 최태원 “존재감 보여주는 브랜드 효과”

박해리 2023. 12. 19. 14: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지난 18일 대한상의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 대한상의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은 “반도체 경기는 지금 락바텀(Rock bottom, 깊은 바닷속 돌) 형태를 벗어나고 있는 단계”라며 “가능한 한 빠르게 내년 상반기 중에 회복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18일 오후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부터 이어진 반도체 불황에 대해 “아직 전체적인 회복보다는 일부 어떤 수요가 전체 시장을 끌고 가는 모습”이라며 “D램은 나아지고 있지만, 낸드플래시 쪽은 거의 잠자는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SK하이닉스는 작년 4분기부터 4개 분기 동안 누적 10조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나, 최근 인공지능(AI) 붐에 힘입어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가 늘면서 D램 부문이 흑자로 전환했다.

최 회장은 최근 기술 경쟁과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대규모 투자 양상에 대해서도 우려했다. 그는 “과잉 투자 때문에 상당히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며 “보호무역주의를 하다 보니 자국에서 만든 것만 쓰겠다는 개념으로 접근하면 우리처럼 시장은 작고 생산은 많은 곳은 불리한 상황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해외에서 보조금을 주는 것처럼 우리나라도 뭔가 새로운 인센티브로 장기적인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는 걸 상의 차원에서 (정부에) 계속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반도체 경기 회복세를 자동차와 함께 내년 한국 경제를 우상향으로 이끌 긍정적 시그널로 꼽았다. 최 회장은 “긍정적·부정적 사인이 모두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경제가) 약간 회복되는 방향으로 갈 거라고 보고 있다”며 “상반기는 큰 변화가 없겠지만, 하반기에는 경기 회복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중국 경기가 얼마나 빨리 회복되느냐가 단기적으로는 가장 큰 변수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중 간 무역 분쟁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한국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질문에 대해선 “좋든 싫든 중국은 아직 한국의 최대 교역국”이라며 “솔직히 미·중 갈등이라 하지만 어떤 미국 기업은 한국 기업보다 훨씬 중국을 자주 방문하고 투자를 약속하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우리도 필요한 분야에서 협력을 계속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답변했다. 미국이 첨단 반도체 공을 차단한 상황에서도 화웨이가 자체 칩을 탑재한 스마트폰을 선보인 것에 관련해선 “중국이 규제의 틀 안에만 계속 갇혀 있지 않을 거라는 교훈을 우리에게 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2030 부산 엑스포 유치 실패 이슈가 나오자 “패자는 유구무언”이라면서도 “유치 활동을 하며 얻었던 정보와 네트워킹을 유지해 새 시장을 개척하고 사업을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하는 해외 순방 등의 행사가 지나치게 잦다는 일각의 비판에 대해서는 “경제인 입장에서 보면 주요 나라나 시장에서 다 같이 존재감을 보이는 것은 브랜드 효과 측면에서 꽤 괜찮다고 본다. 그 나라에서도 우리를 상당히 높게 평가할 것”이라며 “순방은 어느 정부에서나 항상 해왔던 일이며 너무 많아 문제라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지난 7일 SK그룹 인사에서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이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에 선임된 것에 대해서 “혈연관계만 볼 게 아니라 전문적 커리어나 나이, 위치로 보면 충분히 맡을 수 있는 자리”라며 “너무 많은 해석을 집어넣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 앞으로 잘하는지 못하는지를 보면 될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중국 춘추전국시대부터 내려온 오래된 격언인 ‘장강후랑추전랑(長江後浪推前浪)’을 언급하며 “장강의 앞 물결은 뒷물결에 밀려간다. 항상 인사는 계속돼야 다른 사람들에게도 계속 기회가 열리는 것이며, 단지 그게 언제 일어나느냐 뿐이다”라며 “언젠가는 나도 앞물결이 될 것”라고 말했다.

박해리 기자 park.haele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