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AVES

전혜진 2023. 12. 19. 01: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now Shapes〉(2023). 화집 〈Shapes〉의 표지작이다.

Q : 올해만 두 권의 화집을 엮었다. 지난 9월 출간한 〈Shapes〉는 어떤 풍경을 담고 있나

A : 2022년 스코틀랜드에서 작업하던 시절, 작업실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견한 바위와 국내에서 관찰한 바위의 형상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걸 깨달았다. 그렇다면 내가 느낀 그 형상들은 서로 닮은 게 아닐까 하는 궁금증이 일었다. 이 책에서 바위에서 눈으로 형상을 이어가며 덩어리의 감각을 그려보고 싶었다. 강릉과 스코틀랜드, 아이슬란드부터 제주까지. 내가 바라봤던 풍경 또한 일정한 리듬과 질서 속에서 유사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 같아서 그것을 발견하려는 시도였다.

Q : 〈Shapes〉는 2021년 독일국제책디자인공모전에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수상한 화집 〈Feuilles〉와는 확연히 다른 계절감이 느껴진다

A : 주로 돌과 눈의 형상을 표현하다 보니 채도가 낮다. 색에 대한 인상보다 형태감에 더 집중하고 싶어서 일부는 의도적으로 채도를 낮춰 작업했다. 더 명료하고 담백하게 대상을 그리려 했달까.

〈Night Face〉(2021). 엄유정은 ‘밤 얼굴’ 시리즈에서 어떤 얼굴들을 포착한다.

Q : 연이어 엮어낸 〈Night Waves〉에서는 사람과 자연의 형상이 한 장에서 만난다. 두 대상 사이에 어떤 관계성이 있나

A :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이어진 ‘밤 얼굴’ 시리즈와 같은 시기에 그린 식물 드로잉을 한 장에서 만나도록 배치했다. 그림이 여러 장 완성되면 그림 사이의 관계도 새롭게 생긴다. 평소 관찰하는 모든 대상을 평등한 관계로 여기는데, 어떤 사람을 그릴 때 구체적으로 누군인지 설명하기보다 순간의 인상에 집중하는 태도가 나무를 관찰할 때와 크게 다르지 않다. 나는 주변의 모든 것을 하나의 풍경으로 인식한다. 이 책을 통해 두 대상의 새로운 관계를 발견하고 싶었다.

Q : 인공보다 늘 자연에서 낯선 감각을 느꼈다고 말했다. 왜 자연을 그리나

A : 주변 세계를 가까이 관찰하고 그리는 것에 관심이 있다. 익숙한 것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전혀 모르고 있었던 것 같다. 그림은 내가 세계를 감각하고 경험하는 과정이다. 한 마디로 그림을 통해 나도 새롭게 주변 환경을 인지한다. 도시 삶에 익숙해서인지 자연에서 늘 생경한 감각과 형상을 발견하는 것 같다.

〈Bush Shape〉(2023).

Q : 2017년 1월, 기록적인 한파로 서해가 얼었다는 보도를 우연히 보았고 그때 대부도에 찾아가 얼어붙은 해빙을 그렸다는 이야기도 흥미롭다

A : 그전에 아이슬란드에서 빙하를 그리는 작업을 했는데, 국내에서도 유사한 대상을 좀 더 관찰해 보고 싶었다. 그러다 우연히 대부도에 바닷물이 얼었다는 보도를 접하고 찾아가게 됐다. 하지만 그리는 대상을 자연으로 국한하고 싶지는 않다. 자연스럽게 다른 무엇으로 변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Q : “책은 작업의 연장선이자 또 하나의 갤러리”라고도 했다. 화집과 전시를 유기적으로 엮는 것은 당신에게 얼마나 중요한가

A : 전시가 그동안의 작업을 하나의 공간에 펼쳐 보이는 형식이라면, 책은 종이를 넘기며 한 장 한 장 겹쳐진 시간과 만날 수 있다. 2014년부터 총 여섯 권의 책을 만들었는데, 내 작업을 가능한 범위에서 많은 사람에게 소개할 수 있는 아카이브라고 생각한다. 전시 형태는 실제 공간뿐 아니라 인터넷, 책 혹은 또 다른 무엇으로도 가능하다고 본다.

지난 10월에 출간한 올해 두 번째 화집 〈Night Waves〉.

Q : 생명력이 느껴지는 자연물과 달리 ‘밤 얼굴’ 시리즈 등에서 보여지는 특정한 ‘얼굴’은 가끔 공허해 보이기도 혹은 지나치게 즐거워 보이기도 한다. 단순화된 선과 형태, 색감으로 표현한 ‘얼굴’이 가리키는 특정 대상은

A : 인물 드로잉은 생활하듯 자연스럽게 해오던 것인데, 구체적인 누군가를 지칭하기보다는 내가 경험한 것을 몸의 표정에 빗대 이야기하는 것과 가깝다. 손과 몸의 기울기, 눈의 위치, 고개의 각도에 따라 많은 것을 전할 수 있다.

Q : ‘밤’의 정서에 주목하기도 했다. 당신의 작품에서 밤은 어떻게 읽히길 바랐나

A : ‘밤-긋기’ 시리즈를 작업할 때 주로 밤에 했다. 여름날은 덥고 산만한지만 밤은 고요하다. 그림과 나, 둘만 있는 시간처럼 느껴진다. 많은 것이 침잠하고 그 이후에 더욱 집중하게 되는 장면을 다뤄보고 싶었다.

2021년 학고재 디자인 프로젝트 스페이스에서 열린 〈엄유정: 밤 - 긋기〉 전시.

Q : 작업실을 열 번이나 이동했다. 청주와 경기도, 아이슬란드, 문래동과 홍대, 망원동까지. 작업실 장소가 특별한 힘을 발휘하나

A : 분명 낯선 장소가 주는 새로운 에너지가 있다. 작업실 이동은 더 나은 장소를 찾아 전전한 것이다. 언젠가는 한 공간에 적을 두고 작업할 수 있는 날이 오길.

Q : 당신이 그림을 그리는 동력은

A : 작업마다 고비처럼 느끼지만, 결국 그림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렇게 붙잡고 있는 것 아닐까? 어떤 대상을 관찰하고 그릴 때 대부분 감정적으로 동요하지 않는다. 대상으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감을 유지하며 관찰하다 다시 멀어지기를 반복하고, 더 나은 방법을 시도하며 다시 뭉개는 과정을 반복하기도 한다. 물론 잘될 때도 있고, 먼 길을 돌아갈 때도 있고, 완성 기준도 계속 변하지만 그런 데에서 매력을 느낀다.

올해 에이라운지 갤러리에서 개최된 개인전 〈Three Shapes〉 전경.

Q : 올해는 어떤 겨울을 나고 싶나

A : 어쩌다 보니 많은 일을 했던 한 해가 지나간다. 이번 겨울은 차분하게 마음을 비우고, 느린 속도로 시간을 채우고 싶다.

Copyright © 엘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