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 안 낳아도 행복해요” 신혼부부 30% ‘딩크족’ 역대 최대
12월 18일 통계청의 ‘2022년 신혼부부 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초혼 신혼부부 81만5357쌍 가운데 맞벌이를 하면서 자녀가 없는 부부는 28.7%(23만4066쌍)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맞벌이·유자녀 부부(28.5%), 외벌이·유자녀 부부(22.7%), 외벌이·무자녀 부부(15.5%) 등이 뒤를 이었다.
초혼 신혼부부 중 ‘딩크족’은 2015년 21만2733쌍(18%)에 불과했다. 외벌이·유자녀 부부나 맞벌이·유자녀 부부보다도 적었다. 그러나 딩크족 비중은 2018년 21.7%, 2020년 25.8% 등으로 꾸준히 늘더니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반면 2015년 가장 흔한 신혼부부 유형이었던 외벌이·유자녀 부부 비중은 2018년 30%, 2020년 26.2% 등으로 감소세다. 이후 딩크족 비중이 2021년 27.7%로 오르면서 외벌이·유자녀 비중(24.3%)을 처음으로 역전했다.
이 같은 현상은 여성의 경제 활동 참가가 늘고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 ‘한국의 사회 동향 2023’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에서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2015년 27.7%에서 2020년 44.1%로 16.4%포인트 높아졌다.
초혼 신혼부부는 소득이 높을수록 평균 자녀 수가 감소하는 경향이다. 맞벌이로 소득은 높지만 자녀를 갖지 않은 부부가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소득 구간별 평균 자녀 수를 보면 연소득이 1000만원 미만일 때 자녀 수는 0.77명이었다. 1000만∼3000만원 미만은 0.71명, 3000만∼5000만원 미만은 0.72명, 5000만∼7000만원 미만은 0.66명, 7000만∼1억원 미만은 0.55명, 1억원 이상은 0.57명 등이다.
자녀를 가져도 출산 시기는 점점 늦춰지고 있다. 기간별로 보면 결혼 생활이 5년 이상일 때 첫째 아이를 낳는 비중은 2012년 5.3%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11.5%로 2배 뛰었다. 결혼 생활이 5년 미만인 신혼 때 자녀를 갖지 않은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뉴욕타임스 극찬 ‘돼지국밥’ ... 주인장 누구?[신기방기 사업모델] - 매일경제
- 42살까지 얼마 모아야 부자 가능? - 매일경제
- “임대료 비싸도 못 떠나”...강남·서초 몰리는 스타트업들 - 매일경제
- 골드만삭스 “삼성전자 사라”... 목표가 9만5000원으로 올렸다 - 매일경제
- 볼보, 3000만 원대 ‘파격 EX30’ 승부수 [CAR톡] - 매일경제
- ‘스위트홈2’서 잠실 박살낸 이 기술…OTT도 디지털 트윈 적용한다 - 매일경제
- “11세대 E클래스 떴다”…8년 만에 신차로 돌아온 벤츠의 심장 - 매일경제
- 베트남 시장 공략 속도 내는 ‘사람인’, 앱랜서 지분 확대 - 매일경제
- 올해 이용자 급증한 앱 2위는 알리익스프레스...1위는? - 매일경제
- 기대 못 미친 TL...엔씨소프트의 2024년은 ‘보릿고개’?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