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女 10명 중 3명만 "결혼 생각"…청년 60% 부모와 산다

한지혜 2023. 12. 15. 14: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30대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지난 2008년 이후 계속 감소하는 추세다. 지갑이 얇아진 탓에 미혼 청년의 절반 이상은 부모와 동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마포구 아현동 웨딩거리 한 웨딩드레스 판매점. 연합뉴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에 따르면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청년층에서 특히 낮았다. 여성 청년이 2008년 50% 수준에서 지난해 20대 27.5%, 30대 31.8%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남성 청년은 70% 수준에서 20대 41.9%, 30대 48.7%로 감소했다.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결혼자금 부족'이 모든 연령층에서 가장 많았다. 특히 20대에서 32.7%, 30대에서 33.7%를 차지했다.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는 응답도 20대에서 19.3%, 30대에서 14.2%를 차지해 뒤를 이었다.

동거와 독신에 대한 청년들의 긍정적 인식은 많이 증가했다. 동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2015년 25.9%에서 2020년 40.6%로 증가, 독신 8.6%포인트보다 동거 14.7%포인트가 더 컸다.


미혼 청년 59.7%는 부모와 사는 '캥거루족'

지난해 19∼34세 청년의 가구 유형 가운데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청년가구는 59.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청년 독거가구(25.4%), 청년 부부가구(8.1%), 청년과 자녀 가구(6.8%) 순이 뒤를 이었다.

혼자 사는 청년 독거가구의 경우 40∼50%가 연립 다세대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 사는 청년 독거가구의 경우 오피스텔 거주 비율도 32.4%로 높은 수준이었다. 반지하·지하·옥상의 거주 비율은 수도권 거주 청년 독거가구에서 3.24%로 가장 높았다.

청년들이 꼽은 가장 필요한 주거정책은 전세자금과 주택구입자금 대출, 주거비 지원 등 금전적인 지원이 80% 이상으로 높았다.


지갑 얇아진 20대, 소득 줄고 부채는 늘었다

지난 3년간(2018∼2021년) 20대 이하 가구주의 가구소득은 2018년 3363만원에서 2021년 3114만원으로 7.4% 줄었다. 다른 연령대는 같은 기간 가구소득이 30대 11.5%, 40대 10.8%, 50대 10.6%, 60대 이상 22.5% 등으로 늘었다. 모든 연령층에서 20대 이하만 유일하게 감소한 것이다.

20대의 소득은 줄었지만, 빚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부채 보유 비율은 20대 이하에서 2018년 50.8%에서 2021년 60.4%로 9.6%포인트 증가했다. 전체 가구는 64.1%에서 63.3%로 큰 변화가 없었다.

부채 보유 가구 비율은 30대와 40대가 지난해 기준 76.5%로 가장 높았다. 60대 이상은 46.5%로 가장 낮았다.

4년간 부채보유액 증가율은 20대 이하와 30대에서 두드러졌다. 특히 20대 이하 부채보유액 증가율은 같은 기간 93.5%였다. 30대는 8088만원(2018년)에서 1억1307만원(2022년)으로 증가해 40대 다음으로 높았다.

한지혜 기자 han.jeehy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