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 앞날 밝은 이차전지”…5년간 38조 정책금융으로 키운다
13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 따르면 내년부터 2028년까지 5년간 이차전지 산업 전분야에 38조원 이상의 정책금융이 지원될 방침이다. 정부서울청사에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차전지 전주기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한 결과다.
올해 말까지 총 1조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 펀드 조성이 추진되며,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개발 프로젝트를 포함해 내년 이차전지 관련 연구개발(R&D)에 총 736억원이 투입된다. 또 이차전지 관련 기업에 대출·보증·보험을 확대하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응한 북미 시설투자에도 금리·보험료 인하 등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사용 후 배터리’의 재제조·재사용·재활용 시장 관련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사용 후 배터리를 ‘폐기물’이 아닌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으로 전환시키는 사업으로, 핵심 광물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정부 추산에 따르면 모든 ‘사용 후 배터리’가 재활용될 경우 연간 전기차 17만대 분량의 핵심 광물을 확보할 수 있다.
사용 후 배터리 중 일부는 성능을 복원해 전기차용(재제조)으로 활용하고 그 외에는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나머지 용도(재사용)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재제조나 재사용이 어려운 배터리는 리튬·니켈 등 유가금속만 회수하는 방식으로 재활용한다.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한 전기차가 보급되면 전기차 가격도 이전보다 더 내려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관계자는 “최종 가격은 제조사가 정하는 것이지만 재제조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 가격은 새 제품과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전기차 배터리 화재 등 사고에 철저히 대응하기 위해 배터리 안전 검사와 이력 관리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사용 후 배터리의 안전성은 3단계에 걸쳐 점검하도록 했으며, 전기차 배터리의 이력 관리도 촘촘해진다. 2027년까지 배터리 제조·운행·순환 이용까지 전주기의 이력 정보를 연계·통합 관리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단계별 정보 입력도 의무화할 방침이다.
한편 이차전지 관련 정책을 논의하기 위한 이차전지 태스크포스(TF)가 이달부터 운영된다. 전기차 폐차 단계에서 배터리 탈거 전 성능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 관련 규제 완화를 비롯하여, 사용 후 배터리 관련 지원법도 내년 중 마련하기로 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애플 혼합현실 헤드셋 한 달 뒤 나올수도...비전프로 출시 임박 - 매일경제
- 볼보, 3000만 원대 ‘파격 EX30’ 승부수 [CAR톡] - 매일경제
- ‘13월 보너스’ 모르면 손해...이번 연말정산 얼마나 달라졌나? - 매일경제
- 전국에서 가장 작지만 강한 도시, 구리의 재발견 [스페셜리포트] - 매일경제
- 가짜 뉴스·광고 “짜증나요”...인스타·페북 떠나는 한국인 - 매일경제
- 인재 렌털 시대…회사가 나서서 체험케 하라 - 매일경제
- 하나만 파는 ‘라면박물관·위스키라이브러리’ 인기...시성비 때문이라는데? - 매일경제
- “당근마켓으로 만나 결혼까지” 밥솥이 이어준 인연 - 매일경제
- 교통 호재도 있다는데…별내선 연장 내년 개통 예정 - 매일경제
- 수능은 자녀가 보는데…고3 엄마들 왜 아프고 머리 빠질까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