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목은 줄 서고… 군선교사는 외면하고… 양극화 ‘비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군종목사(군목)와 민간 군선교사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군목은 장기 근무 등으로 갈수록 인사 적체가 심해지는 반면 군선교사는 '은퇴 러시'로 인력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양재준 군선교연합회 총무목사는 "인사 적체 현상으로 지원자가 군목이 되려면 2~3년 정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라며 "그사이 목사가 아닌 전도사라는 애매한 위치에 머물러야 한다"고 설명했다.
군선교의 양대 축 가운데 하나인 민간 군선교사의 상황은 정반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군종목사(군목)와 민간 군선교사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군목은 장기 근무 등으로 갈수록 인사 적체가 심해지는 반면 군선교사는 ‘은퇴 러시’로 인력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12일 교계 및 군선교계에 따르면 군선교의 핵심축인 군목은 현재 250명이 활동 중이다. 군종법사는 130명, 군종신부는 100명이다. 군목은 주요 부대에서 장병들의 종교 활동과 정신전력 증강에 일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군목을 중심으로 한 군선교 활동에 어려움이 감지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과 군 환경 변화로 부대 내 종교 활동이 위축됐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선 군목들의 인사 적체 현상이 새로운 복병으로 떠올랐다. 중령, 소령 등 비교적 고위급 군목이 많아지고 이들 가운데 장기 복무자가 늘면서 인력 수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군목의 인적 구조가 기존 피라미드 구조에서 항아리 구조로 돼 가고 있다는 전언이다.
양재준 군선교연합회 총무목사는 “인사 적체 현상으로 지원자가 군목이 되려면 2~3년 정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라며 “그사이 목사가 아닌 전도사라는 애매한 위치에 머물러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타 종교에서 군종 부족 현상이 심화하는 것과 상반된다. 개신교에선 여전히 군목이 되려는 지원자가 많고 소위 고인 물도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군선교의 양대 축 가운데 하나인 민간 군선교사의 상황은 정반대다. 정년에 도달해 은퇴자가 속출하고 있지만 빈자리가 제대로 충원되지 않다 보니 벌써부터 인력부족에 대한 걱정이 터져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내후년까지 은퇴하는 군선교사가 100명 이상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 때문에 군선교사의 인적 공백을 메우는 방안이 시급한 상황이다. 재단을 설립해 군선교사에게 정책적으로 모금·후원하는 제도를 만들어 지원을 유도해야 한다는 제안이 있다. 교단 차원에서 더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요청도 나온다.
배홍성 웨슬리언군선교사협의회장은 “현재 예장고신 측은 군선교사 1인당 월 50만원씩, 기독교한국침례회는 월 100만원씩 지원한다”며 “교단 차원에서 군선교비 내지는 생활비 사역비로 지원을 늘리는 게 현실적으로 효과적인 방안이다. 그래야 젊은이들도 군선교사를 지원한다”고 전했다.
최경식 기자 kschoi@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방전도 너무해” 맘카페가 뿔났다 - 더미션
- “축소사회 위기 속 교회·세상 잇는 다리 돼달라” - 더미션
- [이번 주 세계 교회 역사] 남김 없이, 후퇴 없이, 후회 없이 - 더미션
- ‘변치 않는 복음을 색다르게 전해보자’ 청년 목회자들의 ‘온라인 사도행전’ - 더미션
- 사전연명의향서 상담하는 교회… 기류 180도 바뀐 까닭은 - 더미션
- 연탄 후원 반토막·NGO 모금액 30% 뚝… 온정이 얼어붙었다 - 더미션
- 교회, 방과후 돌봄·성경 교육… 저출산 극복·다음세대 회복 ‘윈윈’ - 더미션
- 교회가 교회를 낳고 또 낳고… 5년 만에 ‘3대 분립’ 개척 결실 - 더미션
- 셀린 송 감독 “‘기생충’ 덕분에 한국적 영화 전세계에 받아들여져”
- “태아 살리는 일은 모두의 몫, 생명 존중 문화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