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근무 소위 5000만·하사 4900만 원 연봉 받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방부가 오는 2027년 최전방부대에서 근무하는 소위의 연봉을 5000만원으로 만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현재 소위 소득은 기본급과 수당, 당직근무비 등 모두 합쳐 3900만원 선이다.
이번 계획을 구체적으로 보면 일반 부대에 근무하는 소위의 연봉은 올해 3393만원인데, 2027년까지 3910만원으로 15% 오른다.
소위의 연봉은 올해 3856만원에서 4990만원으로 30% 인상되고, 하사는 올해 3817만원에서 2027년 4904만원으로 28% 오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방부가 오는 2027년 최전방부대에서 근무하는 소위의 연봉을 5000만원으로 만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현재 소위 소득은 기본급과 수당, 당직근무비 등 모두 합쳐 3900만원 선이다.
국방부는 10일 향후 5년간 군인 복지정책을 담은 ‘23~27 군인복지기본계획’을 밝혔다. 1호봉을 기준으로 2027년 일반 부대 소위와 하사 연봉은 올해보다 14~15%, 전방 경계 부대의 소위와 하사 연봉은 같은 기간 28~30% 오른다. 이에 따르면 초급 간부 급여는 2027년까지 중견 기업 수준으로 인상될 계획이다.
그간 복무 기간에 비례해 월급이나 생활 여건이 보장되지 않아 초급 간부 지원율이 떨어진 상황을 타계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병장 월급은 2025년까지 150만원으로 오른다. ‘자산 형성 프로그램’에 따른 정부 지원금까지 합하면 최대 205만원을 받을 수 있다. 자산 형성 프로그램은 병사들이 월급의 일부를 적금하면, 납입 원금의 100%를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로 2025년부터 월 납입 한도가 40만원에서 55만원으로 늘어날 계획이다.
국방부는 “2025년에 육군에 입대하는 병사가 복무기간 18개월 동안 월 55만원을 꾸준히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이자(연 5%)까지 합해 전역 때 2000만원을 마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발표된 군인복지기본계획은 ‘군인복지기본법’에 근거해 5년마다 작성하는 기본문서다.
이번 계획을 구체적으로 보면 일반 부대에 근무하는 소위의 연봉은 올해 3393만원인데, 2027년까지 3910만원으로 15% 오른다.
일반 부대의 하사는 올해 3296만원에서 2027년 3761만원으로 14% 인상된다. 모두 기본급과 수당, 당직근무비를 합친 수치다.
GP(최전방 감시 소초), GOP(일반 전초) 등 경계 부대는 일반 부대 보다 2배 오른다. 소위의 연봉은 올해 3856만원에서 4990만원으로 30% 인상되고, 하사는 올해 3817만원에서 2027년 4904만원으로 28% 오른다.
정부지원금 계산방법이 복잡했던 ‘장병내일준비적금’의 정부지원금은 내년부터는 납입 원금의 100%를 정부지원금으로 지급하도록 단순화하기로 했다.
또 고용부에서 지급하는 ‘내일배움카드’를 현재는 전역예정 중장기복무 군인만 발급했지만 이를 단계복무 군인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승려들과 성관계 후 164억 뜯어내"…초대형 스캔들에 불교의 나라 발칵 - 아시아경제
- "운동장서 냄새난다더니"…초등학교서 코피·두통 잇달아 호소한 중국 - 아시아경제
- "너도 300만원 내라고 했어?" 비상…수백만원 벌금 폭탄에 여행객들 '화들짝' - 아시아경제
- 결혼사진 찍던 275만원짜리 웨딩드론…이젠 폭탄 달고 날아다닌다 - 아시아경제
- "뻔한 재료값 탓하지 마라"…유난스러운 '한국 빵값 고공행진' 다른 이유 있었다[빵값의 비밀] -
- "이제 그만 좀 사세요"…꾸준히 오르던 금, 갑자기 멈춘 이유 - 아시아경제
- "하루 보낼 줄은 몰라, 무료에 경악"…일본인 유튜버, 서울서 놀란 까닭 - 아시아경제
- 아이스크림 먹다가 '번뜩' 물 위를 나는 선박 개발…"한강에도 띄우고 파"[기업연구소] - 아시아
- "몇 달 치 월급을 써야 하는 거야"…'888만 원 페스티벌 티켓'이 불 지핀 줄인상 논란[주머니톡] -
- 통조림의 대명사 '델몬트' 파산했는데…주가는 왜 '멀쩡'할까[기업&이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