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버 스톤 "한국영화 '판도라', 원전에 끔찍한 짓 했다"
올리버 스톤 감독 원자력 예찬
"핵 폐기물 아닌 기후 변화가
지구 파괴…원자력이 해결책"
‘플래툰’(1986) ‘J.F.K’(1991) 등을 만든 할리우드 사회파 영화감독 올리버 스톤(77)이 한국 영화 ‘판도라’(2016)가 반핵 여론 형성에 일조했다고 비판했다. 자신이 연출한 원자력 지지 다큐멘터리 ‘뉴클리어 나우(Nuclear Now)’(6일 개봉)에서다.
지난해 베니스영화제에서 처음 공개한 영화에서 그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일본‧스웨덴‧미국 등 전 세계가 멀쩡한 원전을 유행처럼 폐쇄했다”며 특히 “한국에는 숙련된 엔지니어와 과학자가 많고 표준형 원자로가 있으며, 아주 저렴한 가격에 전기를 생산하고 있었는데 탈원전 정책을 펼치기 시작했다”고 언급했다. 또 “2016년 성공을 거둔 영화 ‘판도라’는 실제 후쿠시마보다 더 끔찍한 원전사고를 다루었고, 반핵 여론 형성에 일조했다”고 주장했다. '판도라'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 모티프를 딴 작품으로, 대규모 지진에 따른 원전 사고를 그린 작품이다.
스톤 "영화계, 원자력 산업에 끔찍한 짓 해"
‘뉴클리어 나우’는 그 제목 그대로 원자력 도입의 시급성을 웅변하는 캠페인성 다큐다. 극심한 가뭄‧홍수 등 최악의 기후변화 원인을 화석연료로 인한 탄소배출로 보고 원자력을 “화석연료를 퇴출 못 한 현재로써 유일하고도 강력한 해결책”이라 지목한다.
스톤 감독이 미국 아메리칸 대학 정치학과 명예교수 조슈아 골드스타인과 스웨덴 에너지 엔지니어인 스타판 A 크비스트의 공동 저서 『기후는 기다려주지 않는다(A Bright Future)』(프리뷰)를 토대로 공동 각본을 겸했다. 다큐를 통해 풍력‧태양력 등 재생에너지와 함께 원자력 발전 개발에 앞장서온 스웨덴‧프랑스‧러시아 등 사례를 소개하며, 그간 여러 대중매체가 확산해온 원자력에 대한 집단공포는 “과학적 근거가 빈약하다”고 반박했다. “영화라기보다 테드(TED) 강연 같다”(할리우드리포터) “영상 프레젠테이션에 가깝다”(LA타임스)는 리뷰가 나온다.
할리우드에서 번번이 투자를 퇴짜맞아서다. 지난 6월 미국 매체 ‘버라이어티’와의 인터뷰에서 스톤 감독은 “시작 단계부터 거부당했다. 어떤 회사도 투자를 원치 않았다”며 “그들(할리우드)은 원자력을 좋아하지 않는다. 원자력에 겁먹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영국 매체 가디언, 미국 뉴욕매거진과 인터뷰에서 스톤 감독은 “영화산업은 원자력 산업에 끔찍한 일을 해왔다. 방사능에 대한 공포를 조장했다”며 “그들은 잘 모르면서 쉽게 만든다”고 거듭 비판한 바 있다. 미국 핵발전소 노동자(메릴 스트리프)에 관한 실화 바탕 영화 ‘실크우드’(1983), 사회운동가이자 배우 제인 폰다가 핵 위험성을 고발하는 기자로 분한 ‘차이나 신드롬’(1979) 등을 그런 사례로 들었다.
NYT "원전사고 피해 계산 쉽지 않아"
다큐에서 직접 내레이션을 맡은 스톤 감독은 “우리는 처음부터 원자력을 두려워하라고 배웠다. 히로시마‧나가사키(원자폭탄)의 원죄도 있었다”면서 “사람은 겁에 질리면 제대로 생각하지 못한다. 저 또한 원자력이 위험하다고 믿었다. 무의식적으로 핵전쟁과 원자력을 혼동했다”고 말한다. 향후 30년간 전기사용량이 현재의 2~4배 증가할 거로 예측하면서 풍력‧태양열 등 청정에너지만으론 감당할 수 없고 원자력을 함께 활용해야 한다는 논지를 편다.
역대 두 번째 규모인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해서도, 발전소 설계 시 방파제 높이 문제를 짚으며 “원전 사고로 부르지만, 원전으로 인한 사망자는 한명도 없었다”고 했다. 그러나 실제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손상 이후 적어도 두 차례 이상 발전소에서 근무했던 근로자가 당시 보호복을 갖췄음에도 결국 방사성 피폭으로 사망했다고 2018년 공식 인정한 바 있다.
미국 매체 ‘뉴욕타임스’는 지난 6월 ‘뉴클리어 나우’에 대한 스톤 감독과의 인터뷰 기사에서 체르노빌 원전 사망자에 대해 “일각의 추정치는 (영화가 제시하는 것보다) 훨씬 더 높다. 대륙 전역에 걸친 장기적 피해를 계산하고 무수한 요인들을 통합하는 건 모호한 작업”이라며 다큐가 간과한 부분을 지적하기도 했다.
나원정 기자 na.wonjeo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빠, 내 마약 때문에 졌죠?" 장남이 묻자 남경필의 대답 | 중앙일보
- '다저스' 간 오타니, 첫 출전 무대는 고척돔…김하성과 대결 | 중앙일보
- 강남 룸살롱에 총장 불렀다, 대통령 아들 ‘홍어 회식’ 비극 | 중앙일보
- 객실 엿보던 펜션집 아들…3년간 성관계 영상 134회 찍었다 | 중앙일보
- 이건희 장례 때 취토도 했다…0.02%, 삼성 왕별은 누구 | 중앙일보
- 9억에 산 버스 3000만원 팔고, 48억 중국 버스 방치하는 지자체 | 중앙일보
- '존 윅'의 수난…집에 스토커 이어 떼강도 들었다 | 중앙일보
- 사우디 사막에 새우 양식장 만든다? 투자 전문가도 홀린 이 기술 | 중앙일보
- 오타니 '10년 9420억' 잭팟…북미 최고 몸값 받고 다저스 간다 | 중앙일보
- 피의자는 또 이재명…14번째 압색 당한 경기도 "해도 너무하네"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