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원전 이어 K-공항 플랫폼 수출…인도네시아 바탐공항 가보니

이수기 2023. 11. 22. 17: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천공항, 공항 증축과 운영 노하우 이식
"2030년까지 해외 운영 공항 10개로" 포부
EPC, IT, 면세와 금융 등 시너지 효과 커
인도네시아 바탐공항 터미널과 항공정비(MRO) 단지의 모습. 바탐공항은 완공된지 40여년이 지나 상대적으로 낡고 좁은 느낌을 줬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현지 기업들과 함께 25년간 바탐공항의 운영 및 시설 개보수 등을 맡았다. 바탐(인도네시아)=이수기 기자


1980년대 김포공항과 닮았다-. 22일 오전 11시(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바탐 항나딤공항(바탐공항)의 첫인상은 이랬다. 좁다란 공항 터미널은 곳곳에서 공사가 한창이었다. 휴게 공간은 넓지 않았고, 출국 심사대나 검색대도 비좁았다. 승객들은 길게 늘어서 순서를 기다려야 했다.


바탐공항, 인천공항 등에 업고 규모 5배로


규모도 작다. 바탐공항은 길이 4025m, 폭 45m짜리 활주로 한 곳만 운영하고 있다. 1만7000개 이상의 섬으로 이뤄진 인도네시아는 국제공항만 30여 개를 두고 있지만, 이처럼 일부 시설은 고속버스 터미널 수준이다.

하지만 지금 바탐공항은 ‘변신’이 한창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가 현지 공기업 등과 손잡고 세운 사업운영조직(SPC)을 통해서다. 시설을 대거 증·개축하고, 인천공항의 운영 노하우를 바탐공항에 이식하는 게 목표다. 계획대로라면 현재 3만600㎡ 규모인 바탐공항 터미널은 향 5배 이상(15만3355㎡)으로 확대된다.

인도네시아 바탐공항 터미널과 항공정비(MRO) 단지의 모습. 바탐공항은 완공된지 40여년이 지나 상대적으로 낡고 좁은 느낌을 줬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현지 기업들과 함께 25년간 바탐공항의 운영 및 시설 개보수 등을 맡았다. 바탐(인도네시아)=이수기 기자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 등 공항 운영 공기업이 이처럼 전 세계를 대상으로 ‘K-공항’ 플랫폼 확산에 팔을 걷어붙였다. 최근 해외에서 수주 성과를 낸 ‘방산’과 ‘원전’에 이어서다. 단순한 시설 건설을 넘어 장기간에 걸쳐 운영 노하우도 이식한다.

인천공항공사가 2021년 12월 수주한 바탐공항이 그 시작이다. 국내 최초로 해외 공항 운영·개발 사업에 진출한 사례다. 한해 400만 명 이상의 여행객이 오가는 바탐공항의 운영 및 유지보수, 확장 업무를 25년간(2022~47년) 담당한다. 사업 기간 중 총사업비는 6000억원, 예상 누적 매출은 6조4000억원에 이른다.

인구 2억7000만 명에다 세계 최대 섬나라라는 국토 구조 덕분에 바탐공항은 수요도 탄탄한 편이다. 코로나19 기간에도 항공 여객 수가 46%가량 줄었는데 이는 사정이 나은 편이다. 같은 기간 인천공항은 95%가 감소했다. 인도네시아는 오는 2040년이면 세계에서 네 번째로 항공 여행객이 많은 나라가 될 전망이다.

인도네시아 바탐공항 터미널과 항공정비(MRO) 단지의 모습. 바탐공항은 완공된지 40여년이 지나 상대적으로 낡고 좁은 느낌을 줬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현지 기업들과 함께 25년간 바탐공항의 운영 및 시설 개보수 등을 맡았다. 바탐(인도네시아)=이수기 기자

프랑스·독일 경쟁 기업 해외 매출은 30%대


국내 공항 운영사의 해외 진출은 필수다. 인천공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시설·운영 경쟁력을 자랑하지만, 극동아시아라는 입지 조건은 약점이다. 여기에 여객과 테넌트(입점 상점)에 몰려있는 매출 구조로 코로나19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취약하다. 인천공항공사의 경쟁자인 독일 프라포트(Fraport)나 프랑스 파리항공공단(Groupe ADP)은 전체 매출 중 해외 비중이 31~37%에 이른다. 반면 인천공항은 해외 매출이 1% 미만이다.
김영옥 기자


인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 등은 꾸준히 해외 공항 사업에 도전하고 있다. 인천공항공사는 ▶쿠웨이트공항 제4터미널 운영과 제2터미널 위탁운영 제안 참여 ▶필리핀 수도·지방공항 투자 개발 및 컨설팅 사업 수주 등을 추진 중이다. 한국공항공사는 ‘마추픽추의 관문’인 페루 친체로 공항을 짓고 있다.

항공 업계는 K-공항 플랫폼 수출을 통한 시너지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항 건설 및 운영에 필요한 설계조달시공(EPC)·정보기술(IT)·면세·금융 등 관련 기업도 동반 진출할 수 있어서다. K-공항 진출에 따른 낙수 효과다. 최근 신라면세점이 바탐공항에 입점하기로 한 게 대표적이다. 사업 관련 자금도 현지에 진출한 국내 은행들을 통해 조달 중이다.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오는 2030년까지 인천공항이 운영하는 해외 공항 수를 10개 이상으로 늘리겠다”며 “우수 국내 기업과 현지에 동반 진출해 한국형 공항플랫폼(K-Airport)을 통째로 수출하면 국가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바탐(인도네시아)=이수기 기자 lee.sooki@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