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는 '멍게 껍질' 추출물에서 친환경 전자소자 개발 [세상을 깨우는 발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해양폐기물로 버려지는 '멍게 껍질'에서 섬유를 추출해 친환경 소자를 개발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21일 "최근 환경 규제 강화 추세에 따라 탄소중립 실현과 생분해 가능한 전자 소재 및 소자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신소재공학부 윤명한 교수와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 화학공학과 심봉섭 교수 공동연구팀이 멍게 껍질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와 전도성 고분자의 복합화를 통해 '친환경 섬유형 유기 전기화학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창재 기자]
▲ GIST 신소재공학부 윤명한 교수와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심봉섭 교수 공동연구팀이 연구한 (a) 멍게껍질 (b) 멍게껍질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 (c) 나노화된 셀룰로오스 |
ⓒ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21일 "최근 환경 규제 강화 추세에 따라 탄소중립 실현과 생분해 가능한 전자 소재 및 소자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신소재공학부 윤명한 교수와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 화학공학과 심봉섭 교수 공동연구팀이 멍게 껍질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와 전도성 고분자의 복합화를 통해 '친환경 섬유형 유기 전기화학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연구 성과에 대해 "재생 가능하면서 친환경 소재인 멍게껍질로부터 추출된 나노셀룰로오스를 사용함으로써 향후 친환경적인 웨어러블 또는 이식형 섬유 기반 전자기기 및 센서 개발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GIST에 따르면, 유기 전기화학 트랜지스터(organic electrochemical transistor, OECT)는 전해질 내에서 구동하는 트랜지스터 중 하나로, 인가된 게이트 전압에 의한 전해질 내 존재하는 이온과 반도체층과의 전기적·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반도체층의 도핑/탈도핑을 유도함으로써 전기적 신호를 스위칭 및 증폭하는 소자이다.
그리고 '섬유형 유기물 전기화학 트랜지스터'는 이온 주입을 통한 신호 증폭, 스위칭이 가능하기 때문에 체내 이식 또는 피부에 부착해 뇌, 심장, 근육 등 다양한 생체전기 신호를 쉽게 검출할 수 있어 헬스케어, 군사 의류, 스포츠웨어 및 패션 아이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잠재적 활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일반적인 유기 고분자와 달리 금속이나 반도체의 전기적, 자기적, 그리고 광학적 성질을 동시에 갖는 고분자를 의미하는 '전도성 고분자(conductive polymer : 금속 전도체처럼 전기 전도성을 지닌 고분자) 소재의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각기 다른 장점을 지닌 두 물질을 혼합하는 복합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고도로 정렬되고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복합 전도성 섬유 및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
ⓒ GIST 제공 |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높은 결정성과 방향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ellulose nanofiber; CNF)와 대표적인 전도성 고분자로서 유기물 전기화학 트랜지스터 활성층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PEDOT:PSS)을 복합화해 분자 수준에서 한 방향으로 고도로 정렬시킴으로써 기계적 유연성과 우수한 전기·전기화학적 특성을 겸비한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생체전기 신호 쉽게 검출, 헬스케어·군사 의류·스포츠웨어·패션 아이템 등 활용 기대
▲ 사진 왼쪽부터 GIST 윤명한 교수, 인하대학교 심봉섭 교수, GIST Minhu Huang 박사과정생, 인하대학교 이승현 박사 |
ⓒ GIST 제공 |
윤명한 GIST 교수는 "이번 연구는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천연 유기물을 이용해 엔지니어링 고분자의 다양한 특성을 강화했다"면서 "특히, 절연체인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자발적 구조화를 유도해 전도성 고분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킨 것은 구조화 효과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학술적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심봉섭 인하대학교 교수는 "생분해가 가능하고 재생 가능한 소재인 나노셀룰로우스를 활용해 미래에 입을 수 있는 친환경 섬유 전자 장치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이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일상생활 속 스마트 섬유를 현실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사업(BRL)의 지원을 받아 윤명한 GIST 교수와 심봉섭 인하대 교수가 주도하고, GIST Minhu Huang 박사과정생, 인하대학교 이승현 박사가 공동으로 수행했다. 연구 결과는 생체재료 분야 국제학술지인 <카보하이드레이트 폴리머(Carbohydrate Polymers(IF = 11.2))>에 2023년 11월 11일 온라인 게재됐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연봉도 워라밸도 아니었다... 진짜 퇴사 이유 감추는 청년들
- 국힘, 행정전산망 먹통 비판에 "문재인 정부 때도..."
- 이정섭 검사 처남댁 "이상한 마약수사, 이정섭 영향력 의심"
- 시민운동 운동권세대 보십시오... MZ 활동가들 4시간 성토
- 상반된 '김포 서울편입' 여론조사...유선 RDD 100%, 결과 갈랐다
- 가계빚 1875조...부동산 논란 빚은 '50년 만기 주담대' 영향?
- [10분 뉴스정복] "총선 지면 대통령 물러나야", <조선>의 위기감
- '의대정원 증원' 최대 2025년 2847명, 2030년 3953명 희망
- '이태원 참사 댓글 닫기' 요청에 '귀 닫은' 언론사는 어디였나
- 몰려든 지지자 환호 속 민주당 맹공한 한동훈 "깨끗한 척 재벌 뒷돈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