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봄’ 블랙코미디와 누아르로 그려낸 그날..셰익스피어 비극 같다 [IS리뷰]

전형화 2023. 11. 17. 09:4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사는 사실에 후행한다. 그러니 역사는 일어난 사실을 뒷사람이 어떻게 적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의인을 악인으로 둔갑시키는 것도, 군사반란을 구국의 결단으로 둔갑시키는 것도, 다 뒷사람의 몫이다. ‘서울의 봄’은 신군부가 탱크로 민주주의를 짓밟은 그날을, 블랙 코미디가 더해진 누아르처럼 그렸다. 멀리서 보면 그렇게 비극인데, 가까이서 보면 그렇게 희극이다. 

박정희 대통령이 안가에서 여대생과 같이 술을 먹다가 경호실장에게 총을 맞아 죽었다. 전국에 계엄령이 내려지고,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이 계엄사령관에 임명된다. 군에 사조직 하나회를 만들어 이끌던 전두환 보안사령관이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장이 돼 전면에 나선다.

그런 전두환을 견제하기 위해 계엄사령관은 강직하기로 소문난 장태완을 수도경비사령관으로 임명한다. 정승화 계엄사령관은, 군은 본연의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며 정치군인을 경계한다. 하지만 전두환을 정점으로 한 하나회 멤버들은, 자신들을 견제하려는 수작이라며 반발한다. 

마침내 전두환은 하나회 멤버들을 이끌고 계엄사령관을 납치하고 자신들이 장악하고 있던 전방부대를 서울로 부른다. 짧았던 서울의 봄은 그렇게 막을 내린다.

서울의 봄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암살당한 10.26 이후 신군부가 학살을 자행한 5.18까지, 짧았던 대한민국 민주주의 봄을 일컫는 말이다. 정작 영화 ‘서울의 봄’에는 서울의 봄이 없다. 다만 10.26과 5.18 사이, 서울의 봄을 봄으로 끝나게 만든 결정적인 사건인 12.12를 그린다. 한편의 블랙 코미디 누아르로.

‘서울의 봄’은 사실을 다루지만, 실존 인물의 이름을 그대로 살린 건 박정희 전 대통령 밖에 없다. 전두환은 전두광으로, 정승화는 정상호로, 장태완은 이태신으로, 노태우는 노태건으로 이름을 바꿨다. 김성수 감독을 비롯한 ‘서울의 봄’ 제작진 등 뒷사람이 그날의 사실을 담은 방법이다. 사실을 바탕으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것. 그날의 악몽이, 별은 어깨에 가득 달았지만 한심한 사람들의 무능의 결과물이라는 걸, 그럼에도 누군가는 마지막까지 싸우려 애썼다는 걸, 얼음 속에 담긴 불처럼 묘사했다. 

그리하여 이 영화의 주인공은 전두환이다. 그는 셰익스피어의 멕베스처럼, 리처드 3세처럼 파멸이 예정돼 있는 역사에서 잠시 온 승리의 순간을 만끽한다. 영화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며, 마지막에 깔깔깔 웃는다. 관객은 영화 속에선 그의 승리를 보지만, 영화 밖에선 그의 몰락을 기억한다. ‘서울의 봄’은 그날에 집중해 오히려 관객이 극장 문을 나설 때 그날 이후를 되새기게 한다. 이 만듦새가 수려하다.

‘서울의 봄’은 그날의 정치적 의미를 구태여 들이밀지 않는다. 그저 서울을 뺏고 지키려는 과정을 긴장감 있게 몰아갈 뿐이다. 최전방을 지키는 군대를 빼서 서울로 진격하는 것에 대한 의미도 크게 부각하지 않는다. 국방부장관이 총성이 나자 잠옷 바람으로 달아난 것에 대한 의미도 크게 부각하지 않는다. 군 최고 통수권자인 대통령이 반란 진압 명령은 커녕 사후재가라며 소소한 저항을 한 것도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그저 누아르와 희극의 요소일 뿐이다. 그 담담한 시선이 외려 관객을 그날에 더 빨려 들어가게 만든다. 

하나회를 전면에 부각시킨 건, 신의 한수다. 적군과 아군을 극명하게 대비시키며, 그날의 혼란을 더 깊게 만들며, 무엇보다 모든 원죄를 전두광 한 명의 탓으로 떠넘기지 않는다. 엔딩 크레딧의 사진 한 장은, 그날의 승자를 기록하는 게 아니라 역사의 죄인을 기록한 머그샷이다. 뒷사람의 정의다.

전두광을 연기한 황정민은 매우 좋다. 그가 매진해왔던 연극 ‘리처드 3세’ 같다. 혹은 멕베스 같다. 황정민은 운명 위에서 춤추는 광대 같은 왕을, 훌륭히 연기했다. 이태신을 연기한 정우성은, 연출자의 페르소나다. 그러했길 바라는, 그래야만 하는, 그렇기에 관객을 동화시킬 수 있는, 그런 감독의 바람을 훌륭히 대변했다. 역사는 결코 양 축의 바퀴로 굴러가진 않지만, 영화 속에선 황정민과 정우성 두 축이 훌륭히 균형을 맞춘다. 

‘서울의 봄’은 빛 사용이 매우 좋다. 타락한 오렌지 빛과 무능한 푸르른 빛과 희생하는 갈색 빛과 외롭고 고단한 형광등 빛이, 영화 속 감정을 대변한다. 엔딩에 흘러나오는 군가 ‘전선을 간다’는 군인이란 무엇인가, 무엇이어야 하나,를 쓸쓸히 읊조린다. 

‘서울의 봄’은 뒷사람이 그려낸 역사의 한 토막이다. 비극이요, 희극이요, 누아르다. 그날의 기록을 이리 수려하게 재창조한 영화를, 편안히 극장에서 볼 수 있게 만든 시절에 감사하다.

11월 22일 개봉. 12세 이상 관람가. 

전형화 기자 brofire@edaily.co.kr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