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보, 138년 만에 사라진다…KT, 서비스 종료 알려

김현정 2023. 11. 15. 21: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때 가장 빠른 통신수단이었던 전보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서비스 종료일은 다음 달 15일로 국내 전보 도입 이후 138년 만이다.

15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는 자사 홈페이지에 '115 전보 서비스'를 12월 15일 종료한다고 공지했다.

KT는 "통신 시장 환경변화로 전보 이용량이 매년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며 "누적 적자 증가로 더 이상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885년 서울-인천 첫 전보, 138년 역사
12월 15일 종료 예정

한때 가장 빠른 통신수단이었던 전보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서비스 종료일은 다음 달 15일로 국내 전보 도입 이후 138년 만이다.

15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는 자사 홈페이지에 '115 전보 서비스'를 12월 15일 종료한다고 공지했다. KT는 "통신 시장 환경변화로 전보 이용량이 매년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며 "누적 적자 증가로 더 이상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사진출처=연합뉴스]

한국에서 전신 업무가 개시된 것은 1885년으로, 한성전보총국이 설치돼 서울에서 인천 간 첫 전보를 보냈다. 이후 전국에 전화가 보급되기 이전인 197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전보는 위급한 소식을 알릴 때 주로 사용되는 통신 수단이었다.

1965년 기준, 시외 전보는 기본 10글자에 50원이었다. 당시 라면 한 봉지가 10원이었으므로 만만치 않은 가격인데다, 정해진 글자 수를 초과하면 글자 수만큼 요금이 추가돼 줄임말로 보내는 것이 특징이었다.

'기쾌유'(쾌유를 기원합니다), ‘부친사망급래’(아버님께서 돌아가셨으니 빨리 집으로 오시오), ‘음7일남아순산(음력 7일 남자아이가 무사히 태어났습니다)’ 등이 전보에 쓰이던 말이다.

이후 1980년대 전화가 보급되고, 2000년대 이메일과 휴대폰이 널리 사용되면서 전보는 이용량이 급격하게 줄었다. 2010년대부터는 관공서나 기업 등이 예의를 갖춰야 할 소식을 전할 때 축하용이나 선물용 등으로 이용되며 명맥을 유지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전보 서비스는 세계적으로도 종료되어 왔다. 미국 네트워크 기업 웨스턴유니온은 2006년 전보 서비스를 중단했으며, 독일 우체국도 올해 1월 1일 서비스를 종료했다. KT도 국제 전보 서비스는 지난 2018년 4월 8일 중단했다.

전보 서비스가 종료되기 전 이용을 희망하는 경우, 115에 전화해 상담원에게 받을 사람의 이름과 주소를 말하고 내용을 전달하면 된다. 50자까지는 2700원의 기본요금이 부과되고, 5글자마다 110원이 추가된다. 115 전보 홈페이지에서 직접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