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세 황석영의 첫 어린이 책 "이야기가 자산이고 능력이다"

김호정 2023. 11. 14. 16: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린이 민담집 1~5권 펴내 총 50권 계획
"우리 이야기에는 어떤 경우에도 신명이 있다"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다는 건 자산이면서 능력이다. 자신만의 이야기가 있어야 상상력과 창조성이 나온다.”

작가 황석영(80)이 아이들을 위한 이야기꾼을 자처하고 나섰다. 그의 첫 어린이 책인『황석영의 어린이 민담집』 다섯 권을 지난달 30일 출간했다. 환웅과 단군으로 시작해 김수로 왕, 해님 달님, 우렁각시, 지하 마왕과 한량까지 한국의 오래된 이야기들을 담았다. 이런 책이 내년까지 총 50권 나온다. 모두 150여 편을 담은, 황석영의 본격적인 이야기다. 그것도 어린아이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다. 작가는 ‘한 나무꾼이 깊은 산골에서 어머니를 모시고 살았습니다’처럼 아이와 대화하듯 문장을 이끌어나간다.

황석영 작가가 어린이들에게 우리의 이야기를 들려주기 시작했다. 총 50권의 어린이 민담집 출간을 기획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작가는 “우리 아이들에게 우리 이야기가 굉장히 필요하다”고 했다. 14일 출간 간담회, 직후 이어진 중앙일보와의 개별 인터뷰에서다. “우리는 전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다 세계 시민이다. 서로 소통하고 공유하면서 세계 시민이 돼 살아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건 자신이 누구인지 아는 것이다. 자기 정체성이 있어야 다른 문화와 접했을 때 서로 이해하고 남의 것도 존중할 수 있다.” 황석영은 뿌리부터 알려주고 싶다며 고조선에서 이야기를 시작했다.

여든에 어린이 민담집 출간을 시작한 황석영 작가. 전민규 기자


다양한 정보가 넘쳐 나지만, 이야기의 힘은 여전히 강하고 더욱 강해지리라 봤다. “인간은 서사적 존재다. 날마다 꿈을 꾸면서 서사를 생산하지 않나. 현실의 여러 사건을 매일 재편성, 재구성, 상징화하고 이야기하는 건 오로지 사람의 능력이다. 그걸 더 풍부하게 가지고 있는 것이 바로 문화적 능력이다.” 황석영은 “영상이 하도 많아져 서사가 이미지화된 시대이기 때문에 아날로그식으로 소화하고 씹고 생각하는 이야기가 필요하다고 본다”며 “아이들이 자라서 과학을 하든 경제를 하든 자신의 이야기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야기와 함께 자랐던 어린 시절을 회상했다. “여름이면 멍석을 깔아 모깃불을 피우고 옥수수를 삶아 놓고, 할머니와 어른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때는 보편적으로 그랬다.” 스스로 이야기꾼이 되기도 했다. “전쟁 이후 학교에는 선생님들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그럴 때면 반장이 나가서 시간을 때워야 했는데 내가 자주 그랬다.” 황석영은 “처음에는 어른들에게 듣고 책에서 본 이야기를 하다가 재료가 떨어지면 지어내서 했다”고 기억했다. 타고난 이야기 소질을 잘 개발한 이야기꾼 황석영은 “80이 넘으니 이제 한 시대의 할아버지 격”이라며 “다 내 손주 손녀 같아서 이야기해주듯 책을 썼다”고 했다.

(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황석영 소설가가 14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황석영의 어린이 민담집' 시리즈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2023.11.14/뉴스1


그는 민담의 방대한 자료 중에 아이들에게 들려줄 이야기를 골라내는 작업을 거쳤다. 우선 집필실에서 나온 오래된 메모들이 한몫을 했다. 방북 이후 수감 생활을 마쳤던 1998년께 구상했던 메모였다. “다시 작가 활동을 구상하며 민담 제목들을 적어 놓은 노트 20권짜리가 있었다. 버리려고 했는데 후배 문인들과 편집자들이 와서 박스를 다시 꾸렸다.” 여기에 설민석의 한국사 시리즈를 냈던 출판사 휴먼큐브의 제안으로 어린이 민담집이 출발했다.

황석영은『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 구전 설화』『대동야승』등 다양한 민담집에 들어있는 최소 6만개의 민담을 추렸다. 그의 말을 빌리면 “시골 곳곳의 마을 회관, 노인 회관에서 녹음기 틀어 놓고 옛날이야기 들은 것 같은” 자료집들이다. 이 속에서 황석영은 대단한 입담꾼들의 세계를 발견했다. “한 10명에 2,3명씩은 탁월한 이야기꾼이 있다. 우리에게는 굉장히 활달한 이야기의 능력이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이야기 문화는 세계로 뻗어 나갈 가능성이 충분하다 믿는다. “한국의 민담은 어떤 경우에도 신명이 있다. 풍자적이고 재미있다. 활달하고 낙천적이다. 또 서양은 왕들의 이야기지만 우리는 보통 백성들의 이야기다.” 황석영은 “아이들이 이런 풍부한 콘텐트에서 유년 시절을 출발해 파급력이 큰 문화를 만들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어린이를 위한 민담에는 황석영의 지문이 찍혀있다. 장면 전환과 흡인력에서 60년 넘는 소설 집필의 내공이 묻어난다. 그는 ‘호랑이와 곶감’ 이야기를 예로 들었다. 울던 아이가 곶감 이야기를 듣고 멈추자 호랑이가 곶감을 무서워하게 됐다는 데까지가 우리가 아는 이야기다. 황석영은 여러 버전을 참고해 이야기를 박진감 넘치게 완성했다. 소도둑과 곰이 함께 등장하는 황석영의 버전은 다이내믹 하다. 그는 “장황한 설명을 함축하고 느닷없는 사건을 몰아서 숨 가쁘게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황석영은 “내년 봄까지 민담집의 숙제를 끝내고 새로운 장편 집필에 전념할까 생각한다”고 했다. “지금 사는 군산에 650년 된 나무가 있다. 그래서 다음 작품의 제목이 ‘나무’다. 나무를 주인공으로 해서 자연과 나에 대해 명상하면서 하나 쓰려 한다. 민담을 쓰다 보니 자연과의 교감 쪽으로 넘어오게 됐다.” 그는 또 이렇게 덧붙였다. “아직 기운이 있으니 장편 두세 편은 더 쓰려 한다. 황석영은 글을 쓰다 심부전 같은 게 와서 책상머리에서 끝나야 근사하지 않겠나.”

김호정 기자 wisehj@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