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읽기] “한국 시장은 참 쉽다”
중국 웨이하이(威海)에서 물류 회사를 운영하는 가오(高) 사장. 한국 소비자가 주문한 중국 직구 상품을 인천으로 보내는 일을 한다. 직접 인터넷 스토어를 운영하기도 한다. 요즘 사업이 어떠냐는 물음에 엉뚱하게 대답한다.
“한국 시장은 참 쉽다.”
한국에서 장사하기 쉽다고? 그게 무슨 말이냐는 질문에 그는 ‘비어 있는 시장’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가성비 제품과 경쟁할 만한 한국 상품군이 없다는 얘기였다. 확인을 위해 인터넷 쇼핑 사이트를 뒤졌다. 그랬다. 골대는 비어 있었다.
전기면도기를 보자. 브라운, 필립스, 파나소닉…. 한국에서 인기 있는 제품은 대부분 해외 브랜드다. 이들의 쿠팡 가격은 쓸 만하다 싶으면 6만원이 넘는다. 고급형은 40만, 50만원에 달한다. 한국 기술이 만든 중저가 브랜드는 없다. 중국 구매사이트 알리익스프레스(이하 알리)는 달랐다. 검색창에 ‘전기면도기’를 치니 1만원대 중국 제품이 수두룩하게 떠오른다. 좀 고급스럽다는 ‘샤오미’ 제품도 3만원 선이다. ‘손색없는 품질, 그런데도 터무니없는 가격’. 가오 사장이 말한 비어 있는 시장이다.
거의 ‘폭격’ 수준이다. 우리는 올 1~9월 약 2조2217억원 어치의 중국 상품을 해외 직구로 샀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우리의 최대 해외 직구 대상국은 이제 미국이 아닌 중국이다. 아마존보다 알리를 더 찾은 셈이다. 중국의 ‘솽스이(11월 11일)’ 쇼핑 축제에 한국 소비자들이 열광할 정도다.
당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제품 원가 자체가 경쟁이 안 되기 때문이다. 중국 기업들은 거대 대륙 시장이 있기에 더 많이 팔 수 있고, 그만큼 원가를 줄일 수 있다. ‘규모의 경제’다. 국내 기업은 도저히 그 원가를 맞출 수 없으니 시장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한국은 쉽다’라는 말이 나온 이유다.
중국 의존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핵심 소재를 중국에 의존하고, 중간재 수출도 중국에 기댄다. 이젠 생산뿐만 아니라 소비도 중국에 의존해야 할 판이다. 한국 소비시장이 대륙의 ‘규모의 경제’에 편입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극복 방법은 하나, 혁신이다. 기술 혁신, 산업 구조 개혁만이 ‘규모의 경제’를 이길 수 있다. 그게 안 되니 ‘쉬운 한국’이라는 말을 듣는다. 요즘엔 오히려 중국 기업이 더 혁신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언젠가 가성비 높은 BYD 전기차를 알리에서 주문하는 날이 올 수도 있다. 골대가 비어 있으면 골은 먹히기 마련이다.
한우덕 차이나랩 선임기자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피임약 먹이고 친모 앞 성폭행…7년간 당하던 딸의 비극 | 중앙일보
- 형의 죽음에 짜증내던 동생, 통장 발견되자 “잔액은요?” | 중앙일보
- 월마트 집어삼켰던 이마트, 이젠 월마트가 부러운 이유 | 중앙일보
- 중국인 4명 딱 한그릇 시켰다…명동의 ‘전지현 짜장면’ 실화 | 중앙일보
- 남현희 녹취록 "전청조, 삼성보다 돈 많아…비밀 지키면 1500만원" | 중앙일보
- 123일 숨겨준 친구는 '유죄'인데…대법, 이은해 도피죄 "무죄" 왜 | 중앙일보
- [단독] 尹, 총선출마 참모들과 비공개 오찬 "뼈 묻을 각오 하라" | 중앙일보
- "불멸의 맛 봤다" 64세에 바다서 53시간, 180km 헤엄친 그녀 | 중앙일보
- 기술연마만 하는 '헛똑똑 韓AI'…'AI전쟁 시즌2' 英·獨에 배워라 [AI 전쟁 시즌2] | 중앙일보
- '얼죽아' 희소식…스벅 아메리카노 나흘간 이 시간엔 3000원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