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필향만리’] 焉用佞(언용녕)

2023. 11. 13. 00: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어떤 사람이 공자의 제자 염옹(冉雍:자는 仲弓)을 평하여 “어질지만 말재주가 없습니다”라고 하자, 공자는 “말재주를 어디에 쓰겠소? 약삭빠른 말재주로 다른 사람의 말을 자주 막곤 하면 미움만 살 뿐이오”라고 말했다.

‘佞(녕)’은 바르지 못한 말로 아첨하는 것을 뜻하는 글자이고, 아첨은 “남의 환심을 사거나 잘 보이려고 알랑거리는 것”을 말한다. 예나 지금이나 출세를 위해서는 이런 아첨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실제로 정직한 사람의 미움 따위는 아랑곳하지 않고 비열한 아첨을 잘하는 사람이 출세하는 경우가 많다. 아첨의 가장 큰 문제는 다른 사람의 바른말을 막아버린다는 점이다. 바른말이 막히면 사회나 국가는 당연히 병든다. 아첨은 나라를 망하게 하고 자신도 망하게 하는 큰 죄악이다.

焉:어찌(어디) 언, 用:쓸 용, 佞:(말재주로), 아첨할 녕(영), 말재주를 어디에 쓰겠소? 23x70㎝.

‘냉난자지(冷暖自知)’라는 말이 있다. ‘뜨거운 물인지 찬 물인지는 마셔본 사람이 가장 잘 안다’는 뜻이다. 아첨으로 부귀영화를 누리고 있지만 그게 떳떳하지 못한 비열한 짓이라는 점을 누구보다도 본인 자신이 가장 잘 알고 있다. 말재주를 부리며 네 발로 기듯이 아첨을 일삼는 간신이나 밀정은 스스로 길짐승이기를 자원한 셈이니 이미 사람이 아니다. 사람 아닌 사람의 말재주를 어디다 쓰겠는가.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