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온탕 오간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청약…3조6000억 몰리며 70대1 경쟁률

김경진 2023. 11. 9. 18: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기업공개(IPO)의 마지막 대어로 꼽혔던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일반 청약에 3조6000억원의 증거금이 몰렸다. 2차전지주 열풍을 주도했던 에코프로 그룹의 상장으로 관심이 집중됐지만 기대한 만큼의 성과는 내지 못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오는 17일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 예정이다. 상장 시가총액은 확정공모가 기준 2조4698억원이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본사 전경. 연합뉴스.


일반 청약 경쟁률 70대1, 증거금 3조7000억원 몰려


9일 증권투자업계에 따르면 8~9일 이틀간 진행된 일반 청약 결과 3조6705억원의 증거금이 몰렸다. 청약 주식 수 기준 2억278만7390주의 신청이 접수되며 경쟁률은 70.04대 1을 기록했다.

증권사별 청약 주식 수는 대표주관사인 미래에셋증권이 1억3914만주, 공동주관사인 NH투자증권 5759만주, 인수사인 하이투자증권 604만주다.

앞서 ‘고평가’ 논란이 일며 기관투자자 수요 예측에서 흥행에 참패했던 점을 고려하면 그나마 안도의 한숨을 내쉴 성적표다. 지난 7일 공개된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결과에 따르면 경쟁률은 17.2대 1로 올해 상장을 추진한 기업(리츠 제외) 중 가장 낮았다. 공모가도 희망범위(3만6200~4만4000원) 최하단인 3만6200원으로 결정됐다. 이로 인해 상장 후 시가총액도 2조4698억원까지 낮아졌다.

김경진 기자

고경범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전구체 기업임에도 유사 경쟁 업체 선정 과정에서 이미 주가가 많이 오른 국내 양극재 기업(포스코퓨처엠·코스모신소재)과 비교한 탓에 고평가 논란이 불가피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전구체는 양극재 이전 단계기 때문에 양극재 기업에 비해선 낮은 밸류에이션을 적용받는다. 2017년 출범한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2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전구체를 대량 생산하는 국내 유일 기업이다. 주요 제품은 하이니켈 전구체로, 올해 상반기 총매출액의 90% 비중을 차지한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중국 업체를 포함한 글로벌 전구체 업체의 2025년 실적 기준 평균 주가수익비율(PER)은 9.7배, 국내 양극재 업체들의 평균 PER은 31.8배 수준이다.

허준서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고평가라는 시각과 적정가치라는 시각이 혼재한다”며 “공모자금 투입 후 증설 완료되는 2025년의 예상 실적을 기준으로 보면 PER은 28.4배 수준”이라고 말했다.


2차전지주 급락에 울고, 공매도 금지에 웃고


여기에 고금리 장기화 우려와 전반적인 2차전지주 부진으로 인해 가격 조정으로 에코프로머티리얼즈 흥행에는 먹구름이 끼었다. 대장주인 에코프로의 경우 지난 7월 종가가 100만원을 넘으며 ‘황제주’에 올랐지만 지난 1일엔 59만7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그나마 지난 하지만 6일 정부가 공매도를 전면 금지하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공매도 금지 이후 ‘에코 3형제’ 등 2차전지주의 주가가 롤러코스터를 타며 에코프로머티리얼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 덕에 공모주 청약 분위기가 달라졌다는 것이다.

김경진 기자

성주완 미래에셋증권 IPO본부장은 “증권신고서를 제출한 뒤 2차전지주 주가가 전반적으로 많이 빠지면서 수요 예측 결과는 기대에 못 미친 밴드 하단에서 공모가가 결정됐지만, 공매도 금지 효과로 시장 분위기가 바뀌었다”며 “수요예측 때 보다는 좋은 흐름으로 일반 청약이 마무리됐다”고 평가했다.


적은 유통물량·상장 첫날 상승 폭 확대 등 변수


상장 전부터 에코프로머티리얼즈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냉·온탕’을 오간만큼 상장 이후에도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경우 공매도 금지뿐 아니라 확대된 가격 상승 폭의 적용을 받는 만큼 상장 후 변동폭은 더 커질 수 있다. 지난 6월 26일 이후 코스피·코스닥 시장 신규 상장 종목의 첫날 가격 상승 폭이 기존 공모가의 260%에서 400%로 변경됐기 때문이다.

유통 물량이 적다는 점도 단기적으로 주가의 변동성을 키울 수 있는 요소다. 8일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기재정정 투자설명서에 따르면 상장 예정주식 수(7112만2158주) 중 상장 직후 유통 가능한 물량은 약 18.7%(1330만1400주) 수준이다.

허준서 연구원은 “적은 유통물량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주가가 오버슈팅할 수 있지만 2차전지 소재의 최종 사용처는 결국 전기차”라며 “최근 전기차의 수요 둔화와 2차전지 핵심 원재료인 니켈 가격의 하락 등으로 주가 변동성이 심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경진 기자 kjink@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